현대건축에서의 빛의 표현 특성 연구
본 내용은
"
성이나시오 성당- 빛에 관하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9.12
문서 내 토픽
-
1. 건축가별 빛의 해석르 코르뷔지에는 빛과 그림자의 구성으로 물체를 비추는 조소적 빛을 강조했고,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는 그림자 없는 공간을 채우는 빛의 공간적 투명성을 추구했으며, 루이스 칸은 침묵과 중용의 빛으로 빛을 본질적 가치로 해석했다. 스티븐 홀은 자연광에 대한 적극적이고 대담한 시도를 통해 시간과 빛 등 비물질적 속성이 공간에 생명을 부여한다고 생각했다.
-
2. 빛의 시대별 의미와 역할고대와 중세에는 빛이 종교적 상징성을 가졌으며, 근대에는 인간과 공간, 물리적 투명성의 관계에서 빛을 해석했다. 현대에는 인간, 형태, 공간의 다원성과 현상적 투명성 속에서 빛을 다루며, 투명재료와 철, 유리의 구조법에 의한 양적 팽창, 하이테크놀로지에 의한 선택적 유희적 조절이 특징이다.
-
3. 스티븐 홀의 간접적 빛 도입 기법스티븐 홀은 넓은 벽을 창 앞에 세워 직사광선을 차단하고, 각 차단장치의 뒷면을 밝은 색으로 칠해 주위 벽에 은은하게 비치는 빛을 만들었다. 또한 벽 옆에 보색의 작은 렌즈들을 설치하여 작고 강렬한 빛을 발하게 했으며, 나르텍스, 네이브, 성찬 예배실 등 각 공간에 초록, 빨강, 파랑, 노랑 등의 색상과 렌즈를 배치하여 공간별 특성을 표현했다.
-
4. 현대건축에서의 빛의 조형적 역할현대건축에서 빛은 공간을 연출하는 핵심 요소로, 확산, 반사, 굴절하는 빛이 빛 자신을 위한 빛으로 작용하며 그림자는 여분으로 간주된다. 공간은 변화의 속성을 지닌 유동적인 것으로, 시간과 빛 등 비물질적 속성이 공간에 본질적인 생명을 부여하며, 눈에 보이는 것과 감각이 느끼는 것이 빛과 그림자에 따라 형성된다.
-
1. 건축가별 빛의 해석건축가들은 빛을 단순한 기능적 요소가 아닌 공간을 정의하는 핵심 재료로 인식해왔습니다. 르 코르뷔지에는 빛을 기하학적 형태를 강조하는 도구로 활용했으며, 루이스 칸은 빛 자체를 건축의 주인공으로 격상시켰습니다. 각 건축가의 철학과 미학에 따라 빛의 해석이 달라지는데, 이는 같은 공간이라도 빛의 도입 방식에 따라 전혀 다른 감정과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다양한 해석들은 현대건축에 풍부한 표현 가능성을 제시하며, 건축가의 창의성과 의도가 빛을 통해 어떻게 구현되는지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2. 빛의 시대별 의미와 역할역사적으로 빛은 시대마다 다른 의미를 가져왔습니다. 고대에서 중세까지 빛은 신성함과 영적 초월을 상징했으며, 르네상스에서는 과학적 이해와 함께 원근법의 기초가 되었습니다. 산업혁명 이후 인공조명의 등장으로 빛은 기능성과 효율성의 상징이 되었고, 현대에는 감정적 경험과 공간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재평가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건축에서 빛을 다루는 방식의 진화를 반영하며, 각 시대의 기술 발전과 미학적 가치관이 빛의 역할을 어떻게 형성했는지 보여줍니다.
-
3. 스티븐 홀의 간접적 빛 도입 기법스티븐 홀의 간접적 빛 도입 기법은 현대건축에서 빛을 다루는 정교한 방식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입니다. 그는 직접적인 채광보다는 벽면, 천장, 구조체를 통해 빛을 걸러내고 확산시키는 방식을 선호하여, 공간에 신비로움과 깊이감을 부여합니다. 이러한 기법은 빛과 그림자의 미묘한 상호작용을 통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공간의 경험을 만들어냅니다. 간접적 빛의 도입은 거주자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하면서도 공간의 조형성을 극대화하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현대건축의 감정적 품질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
4. 현대건축에서의 빛의 조형적 역할현대건축에서 빛은 더 이상 보조적 요소가 아니라 건축의 형태와 공간을 직접 조형하는 주요 재료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빛은 물질적 구조와 상호작용하여 공간의 경계를 정의하고, 색감과 명암을 통해 시각적 계층을 만들며,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동적인 환경을 조성합니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빛의 제어가 더욱 정밀해지면서, 건축가들은 빛을 통해 추상적인 개념과 감정을 표현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건축 공간이 단순한 물리적 용기에서 벗어나 감각적이고 경험적인 환경으로 진화하고 있음을 의미하며, 빛의 조형적 역할은 앞으로도 계속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해체주의 건축: 쿱 힘멜브라우와 장누벨1. 해체주의 건축 해체주의는 양식으로서 규범할 수 없는 설계 접근 방식으로, 자크 데리다의 철학을 사상적 기초로 하여 구성주의의 영향을 받은 건축 동향입니다. 1988년 뉴욕 현대미술관에서 마크 위글리와 필립 존슨이 공동 기획한 해체주의 건축전을 통해 건축계에 널리 알려졌습니다. 전통적인 건축 개념에 도전하며 단편성, 불균형성, 경사성 등을 특징으로 하고...2025.11.12 · 공학/기술
-
한국문화자원의 이해1. 한옥의 배치 한옥의 배치는 단순하게 풍향이나 일조를 고려하는 것뿐만이 아니다. 한옥은 '풍수'라는 고유한 철학적·지리적 관점을 바탕으로 설계해서 건축하기 때문이다. '풍수'에서는 지역의 지형, 주변 환경, 물의 흐름 등 다양한 요소를 따진 뒤 집의 방향과 위치를 결정한다. 따라서 풍향이나 일조에 불리할지라도 풍수의 원칙에 따라 북향이나 서향으로 집을 ...2025.01.24 · 문화/관광
-
서양미술사 정리1. 고전 예술 고대 그리스와 로마로 거슬러 올라가는 서양 미술사의 고전 시대는 조화, 균형 및 이상적인 형태에 중점을 둡니다. 주요 특징으로는 인간 형태를 중심 주제로 사용, 대칭과 비율에 중점을 둠, 이상적인 아름다움과 완벽의 묘사, 이야기와 신화적 주제의 사용 등이 있습니다. 2. 중세 예술 서구 미술사의 중세 시대(5-15세기)는 종교적 주제와 상징...2025.05.05 · 예체능
-
베를린 유대인 추모관 _ 분석1. 다니엘 리베스킨트의 건축 개념 다니엘 리베스킨트는 현대 건축과 도시화에 대해 '맥락주의'나 '유토피아'라는 전통적 생각을 따르기보다, 과거와 미래를 동시에 논박하면서 기존 현실의 변형을 수용하는 전략을 채택한다. 그는 디자인 단계에서 장소의 기원을 연구하고, 도시설계에서는 기존의 건조 환경을 존중하여 새 건물이 주위 환경에 더해져 관계를 바꾸도록 한다...2025.05.05 · 문화/관광
-
미술관 계획 및 설계 사례 분석1. 미술관 공간 구성 및 기능 현대 미술관은 예술품 전시뿐만 아니라 작업, 교육, 연구를 위한 문화적 구심체로 기능한다. 전시활동(30%), 교육활동(30%), 수장활동(20~25%), 관리·봉사활동(20%), 휴식·식사·물품판매(5%)로 구성되며, 각 활동에 필요한 전용 공간이 배치된다. 관람객, 관리자, 자료의 동선이 명확히 분리되어야 하며, 쾌적한 ...2025.11.14 · 예체능
-
미술관 개념 및 설계계획1. 자연 현대를 있게 해준 것은 역사이고 역사가 있을 수 있던 이유는 자연과 인간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를 건축적으로 역 발상하여 '무(아무것도 없는 자연)에서 유(건축으로 활성화된 도시)'라는 개념이 나오게 되었습니다. 그로 인해 현대와 역사가 공존하는 문화중심지역에 위치한 site를 '자연'이라는 주제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2. 시작 작가 박선기의 표현...2025.01.13 · 예체능
-
Museum of Arles 49페이지
MUSEE D”ARLES - Henri CirianiHenri Ciriani 1936 페루 리마 출생 1955 렝제니에라 국립공과대학 1961 도시계획 국립 연구소 1964 프랑스로 이주 1965 도시 계획간 건축 아뜰리에의 일원 1969 파리 7 건축학교에서 교수 1978 UNO 결성 1983 생 - 드니 탁아소로 은삼각자상 건축학 부분 국가 대상Neo- Corbusian 비물질성 , 물질성 내부와 외부의 상호 관입 비대칭적 균형감을 갖는 매스와 볼륨으로서의 공간 개념 개방성과 팽창성 방향성을 제시하고 필로티와 보이드를 통한 부유...2022.03.12· 49페이지 -
건축작품에 반영된 맥락적사고 18페이지
건축작품에 반영된 맥락적 사고 _ 주한프랑스대사관건축작품연구건축에 있어서의 '맥락적 사고' ?건축에 있어서 맥락적 사고 도시적인 맥락에서 띄는 문화적인 동질성이나 지형적 특징을 살린 배치, 혹은 그 일대를 거닐던 이들이 거리낌 없이 그 건축물이 가진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는 이해도, 주변 건물들과의 관계 맺음에 있어서 안정감, 등의 다양한 방식으료 표현되고 있고 이해되어 질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보았을 때 맥락이라는 말은 관계라는 보다 쉬운 표현으로 바꾸어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한 의미에서 구체적인 한 사례를 들어보고자 ...2024.02.27· 18페이지 -
경동교회에 대한 공간분석 35페이지
경동교회 에 대한 공간분석 건축과 사회문화목차 1. 건축가 김수근 - 건축가 소개 - 김수근의 건축세계 - 건축의도 2. 공간소개 - 건축 개요 - 역사 - 지역사회의 요구 , 지역과의 관계 3 . 모폴로지 분석 - 공간의 위계분석 - 건축의 조형적 분석 - 건축공간의 표현 특성 및 표현요소 4 . 결론건축가 011 건축가 김수근 출생 : 1931 년 – 1986 년 , 현대건축가 . 출생지 : 서울 * 주요수상 : 국민포장 (1970), 미국 범태평양건축상 (1971), 이탈리아문화공로훈장 (1979), 철탑산업훈장 (1984),...2025.01.19· 35페이지 -
건축에서의 미니멀리즘2 11페이지
1. 서론1960년대 후반 모더니즘의 이념에 대한 변용과 수용과정에서의 다원적인 건축양식이 형성하게 된다. 이런 모더니즘의 수용과 변용의 일환으로 극단적인 절제적 경향으로 미니멀니즘(Minimalism)이라 불리는 예술사조가 등장하는데 건축뿐 아니라 음악, 문학, 영화, 조각, 회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파생되었습니다.건축의 본질을 추구하기 위해서 환원적 상태를 시작점으로 삼고 있는 현대건축에 있어서의 미니멀리즘은 Less is More 와 연관하여 양식시대 건축이 지녔던 지나친 매너니즘을 극복하고자 했던 근대 건축의 정신과 상통하는...2022.07.04· 11페이지 -
현대미술과 패션 색채 응용 36페이지
색채의 음악성-칸딘스키23415678색의 본질로서의 빛-모네색채예술로서의 회화-마티스순수한 색채와 구성-몬드리안보편적 색채와 형태- 알버스, 로드코색채의 단일성-리만, 저드확대된 영역에서의 색채-설치미술 :Stockholder, 푀르그, 메르쯔예술매체의 비물질화-건축적으로 결합된 빛, 플래빈,터렐Contemporary art Color한가지의 색깔을 의미.몇 세기에 걸쳐 예술의 거장들은 까만 잉크의 다른 종이에 단색 그림을 창조하기 위하여 그늘, 명암을 이용. 과거 잉크는 명암의 빛과 그늘을 간단하게 표현할수 있는 가장 적합한 도구...2020.12.11· 36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