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대량 출혈 프로토콜
본 내용은
"
Massive Hemorrhage Protocol in Adults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2.22
문서 내 토픽
  • 1. 대량 출혈 프로토콜
    대량 출혈 프로토콜(Massive Hemorrhage Protocol, MHP)은 적절한 환자, 팀, 중재를 적절한 시점에 결합하는 임상 경로입니다. 대량 출혈은 24시간 내에 환자의 추정 총 혈액량과 동등한 혈액 성분을 수혈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성인에서 10단위 이상의 농축 적혈구 수혈에 해당합니다. 대량 출혈의 정의는 환자 관리에 유용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초기 트라넥사민산 투여, 적혈구:신선동결혈장 1:1 비율의 기초 비율 투여, 환자 상태와 검사 결과에 따른 추가 수혈 등 3가지 전략을 제안합니다.
  • 2. 대량 출혈의 합병증
    수혈 관련 순환 과부하, 희석성 응고장애, 저마그네슘혈증, 고칼륨혈증, 저체온증, 출혈성 이상출혈, 산증, 혈소판감소증, 저칼슘혈증, 혈전색전증, 파종혈관내응고 등이 대량 출혈의 주요 합병증입니다.
  • 3. 신선동결혈장 수혈 지침
    응고검사 이상이 경미한 경우 예방적 신선동결혈장 수혈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응고인자가 30% 미만으로 감소한 경우, PT가 참고범위의 1.5배 이상인 경우, aPTT가 참고범위의 1.5배 이상인 경우 신선동결혈장 수혈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간기능 장애, 파종혈관내응고, 와파린 효과 긴급 보정 등의 경우에도 신선동결혈장 수혈이 고려될 수 있습니다.
  • 4. 혈소판제제 수혈 지침
    출혈이 없는 안정 상태에서는 혈소판수를 10,000-20,000/uL 이상으로, 출혈은 없지만 불안정한 상태에서는 20,000-50,000/uL로, 활동성 출혈이나 침습적 처치 시에는 50,000-100,000/uL로 유지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혈소판 기능 이상, 지속적인 혈소판수 감소 예상, 응급 상황 등에서도 혈소판제제 수혈이 고려될 수 있습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대량 출혈 프로토콜
    대량 출혈 프로토콜은 심각한 출혈 상황에서 신속하고 체계적인 대응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의료 절차입니다. 이 프로토콜은 출혈 원인 파악, 출혈 억제, 혈액 제제 투여, 수술적 처치 등 다양한 단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신속한 출혈 진단과 함께 혈액 제제 투여, 지혈 처치, 수술적 처치 등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또한 의료진 간 원활한 의사소통과 협업이 필수적입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생명을 구하고 예후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대량 출혈 프로토콜은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을 통해 의료진의 숙련도를 높이고, 실제 상황에서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할 것입니다.
  • 2. 대량 출혈의 합병증
    대량 출혈은 심각한 합병증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합병증으로는 저체온증, 산증, 응고장애 등이 있습니다. 저체온증은 체온 저하로 인한 혈액 점도 증가와 혈액 응고 기능 저하를 초래합니다. 산증은 조직 관류 저하로 인한 젖산 축적으로 발생하며, 응고 기능 저하를 유발합니다. 응고장애는 혈액 응고 인자 소모와 희석으로 인해 발생하며, 지속적인 출혈을 야기합니다. 이러한 합병증들은 서로 악화 작용을 하며, 환자의 예후를 크게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대량 출혈 상황에서는 이러한 합병증을 신속히 진단하고 적극적으로 치료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체온 유지, 산-염기 균형 교정, 응고 인자 보충 등의 집중 치료가 필요합니다.
  • 3. 신선동결혈장 수혈 지침
    신선동결혈장(FFP)은 대량 출혈 상황에서 중요한 혈액 제제입니다. FFP에는 응고 인자, 단백질, 전해질 등이 포함되어 있어 출혈 억제와 조직 관류 개선에 도움을 줍니다. FFP 수혈 지침은 출혈 상황, 응고 검사 결과, 기저 질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수립되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출혈이 지속되고 프로트롬빈 시간(PT)이나 활성화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