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TA 표준용액 제조 및 표준화 실험
본 내용은
"
분석화학실험 A+ ( 결과 레포트 ) EDTA 표준용액 제조 및 표준화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8.31
문서 내 토픽
-
1. EDTA 표준용액 제조Na2H2Y·2H2O를 이용하여 EDTA 표준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입니다. 0.50g의 Na2H2Y·2H2O를 정량하여 250mL 용량플라스크에 용해시킨 후 증류수로 표선까지 채워 표준용액을 만듭니다. 이 과정에서 정확한 칭량과 용해가 중요하며, 최종 농도는 약 0.02M의 EDTA 표준용액이 됩니다.
-
2. EDTA 표준화제조된 EDTA 표준용액의 정확한 농도를 결정하기 위해 표준화 과정을 수행합니다. 칼슘 표준용액을 이용하여 적정을 진행하며, 에리오크롬 블랙 T(EBT)를 지시약으로 사용합니다. 여러 번의 적정을 통해 평균값을 구하고, 이를 통해 EDTA 용액의 정확한 factor를 계산합니다.
-
3. 적정 방법 및 지시약EDTA 표준화에서는 칼슘 이온과 EDTA의 킬레이트 반응을 이용합니다. 에리오크롬 블랙 T(EBT)를 지시약으로 사용하여 pH 10의 암모니아 완충용액에서 적정을 수행합니다. 종말점은 용액의 색이 적색에서 청색으로 변할 때이며, 이를 통해 EDTA의 농도를 정확히 결정할 수 있습니다.
-
4. 실험 결과 및 계산여러 번의 적정 결과를 바탕으로 EDTA의 factor를 계산합니다. 칼슘 표준용액 25mL를 사용하여 적정한 결과, 평균 적정량은 약 25.54mL이며, 이를 통해 계산된 EDTA의 factor는 약 0.978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제조된 EDTA 용액의 실제 농도가 약 0.0196M임을 의미합니다.
-
1. EDTA 표준용액 제조EDTA 표준용액 제조는 킬레이트 적정 실험의 기초가 되는 중요한 단계입니다. EDTA는 금속 이온과 안정한 복합체를 형성하므로 정확한 농도의 표준용액 준비가 필수적입니다. 일반적으로 EDTA 이나트륨염(Na₂H₂EDTA·2H₂O)을 사용하며, 정확한 질량 측정과 적절한 용매 선택이 중요합니다. 표준용액은 보통 0.01M 또는 0.05M 농도로 제조되며, 증류수에 용해시킨 후 메스플라스크를 이용해 정확한 부피로 조정합니다. 제조된 용액은 밀폐된 용기에 보관하여 오염을 방지해야 하며, 장기 보관 시 농도 변화를 고려해야 합니다.
-
2. EDTA 표준화EDTA 표준화는 제조된 용액의 정확한 농도를 결정하는 과정으로, 적정 실험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표준 금속 이온(예: 칼슘, 아연)을 사용하여 역적정 또는 직접 적정을 수행합니다. 표준화 과정에서는 여러 번의 반복 측정을 통해 평균값을 구하고, 상대표준편차를 계산하여 데이터의 신뢰성을 검증합니다. 정확한 표준화를 위해서는 표준 금속 이온의 순도, 적정 조건(pH, 온도), 그리고 지시약의 선택이 모두 영향을 미치므로 신중한 조작이 필요합니다.
-
3. 적정 방법 및 지시약EDTA 적정에서 지시약의 선택은 정확한 종말점 판정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지시약은 에리오크롬 블랙 T(EBT)로, 금속 이온과 결합할 때 적색을 띠고 EDTA에 의해 금속이 제거될 때 청색으로 변합니다. 적정 방법은 금속 이온의 종류와 농도에 따라 직접 적정, 역적정, 또는 치환 적정 등으로 나뉩니다. 정확한 적정을 위해서는 적절한 pH 조절(보통 pH 10 완충용액 사용), 적정 속도 조절, 그리고 종말점의 명확한 색 변화 관찰이 필수적입니다.
-
4. 실험 결과 및 계산EDTA 적정 실험의 결과 계산은 적정에 사용된 EDTA 용액의 부피와 농도를 기반으로 시료 중 금속 이온의 농도를 결정합니다. 기본 계산식은 n₁V₁ = n₂V₂ (n은 몰수, V는 부피)를 사용하며, 금속 이온의 질량이나 백분율을 구할 수 있습니다. 여러 번의 반복 측정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평균값, 표준편차, 상대표준편차를 계산하고 데이터의 정확성과 정밀성을 평가합니다. 이상치 제거(Q-test 등), 유효숫자 관리, 그리고 오차 분석을 통해 실험 결과의 신뢰성을 검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7주차 분석화학실험 EDTA 표준 용액 제조 및 표준화1. EDTA EDTA는 분석화학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킬레이트제(chelator)이며, 직접적정법, 치환적정법, 역적정법 등 다양한 적정법을 사용하면, EDTA로 주기율표 상 대부분의 원소를 분석할 수 있다. EDTA는 수소 이온을 받거나 내줄 수 있는 두 개의 아민 그룹과 네 개의 카르복실산 그룹을 가진 육양성자성 산(hexaprotic acid)이다...2025.01.24 · 자연과학
-
분석화학실험 실험 5 EDTA 표준용액 제조 및 표준화 결과1. EDTA 표준용액 제조 및 표준화 EDTA는 금속과 결합할 때 주로 내줄 수 있는 수소 이온을 모두 잃은 상태인 Y4-로 존재하며, EDTA 적정 반응에서는 Eriochrome Black T 지시약이 사용된다. 지시약의 색은 pH에 의존하므로 pH 10 완충용액을 사용하여 일정한 pH 영역에서 반응이 진행되도록 한다. 실험에서는 탄산칼슘을 이용해 0....2025.05.09 · 자연과학
-
분석화학실험 실험 5 EDTA 표준용액 제조 및 표준화 예비1. EDTA 표준용액 제조 및 표준화 EDTA는 분석화학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킬레이트제이며, 다양한 적정법을 사용하여 주기율표상 대부분의 원소를 분석할 수 있다. 이번 실험에서는 EDTA 표준용액을 제조하고 탄산칼슘 표준용액을 이용하여 EDTA 용액의 정확한 농도를 결정한다. EDTA는 수소 이온을 받거나 내줄 수 있는 두 개의 아민 그룹과 네 개의 ...2025.05.09 · 자연과학
-
[건국대 분석화학실험 A+]예비_실험7_EDTA 표준용액 제조 및 표준화1. EDTA EDTA는 분석화학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킬레이트제이며, 다양한 적정법을 사용하면 EDTA로 주기율표상 대부분의 원소를 분석할 수 있다. EDTA는 수소이온을 받거나 내줄 수 있는 두 개의 아민 그룹과 네 개의 카르복실산 그룹을 가진 육양성자성 산이다. EDTA는 알칼리 금속을 제외한 대부분의 금속과 1:1로 안정한 착물을 형성한다. 가장 ...2025.05.03 · 자연과학
-
7주차 분석화학실험 EDTA 표준 용액 제조 및 표준화 결과레포트 202011177 화학공학부 이승환1. EDTA EDTA는 분석화학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킬레이트제(chelator)이며, 직접적정법, 치환적정법, 역적정법 등 다양한 적정법을 사용하면, EDTA로 주기율표 상 대부분의 원소를 분석할 수 있다. EDTA는 수소 이온을 받거나 내줄 수 있는 두 개의 아민 그룹과 네 개의 카르복실산 그룹을 가진 육양성자성 산(hexaprotic acid)이다...2025.01.24 · 공학/기술
-
EDTA 표준용액 제조 및 표준화 결과보고서1. EDTA 표준용액 제조 및 표준화 이번 실험은 EDTA 표준용액을 제조하고 탄산칼슘용액으로 표준화하여 농도를 결정하는 실험이다. EDTA는 분석화학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킬레이트제이며, 다양한 적정법을 사용하면 주기율표상 대부분의 원소를 분석할 수 있다. 하지만 EDTA는 일차표준물질이 아니므로 일차표준물질로 적정해서 사용해야 한다. 이번 실험에서는...2025.05.07 · 자연과학
-
[분석화학실험] EDTA 표준용액 제조 및 표준화 결과레포트 4페이지
1. 제목EDTA 표준용액 제조 및 표준화2. 실험 일시2020. 04. 22.3. 실험 결과EDTA 표준용액 제조 및 표준화1. Na2H2Y 칭량값 : 7.5 g2. CaCO3 칭량값 : 0.50 g3. Na2H2Y 용액을 탄산칼슘 용액 적정적정 시작뷰렛 눈금종말점뷰렛 눈금Na2H2Y 사용량(mL)1차0.0 mL24.7 mL24.7 mL2차0.2 mL25.2 mL25.0 mL3차0.1 mL24.9 mL24.8 mL평균과 표준편차24.83330.15284. 0.01M Na2H2Y 표준화를 통한 factor 계산: 위 실험에서 발생하...2021.04.16· 4페이지 -
[분석화학실험] EDTA 표준용액 제조 및 표준화 예비레포트 6페이지
분석화학실험(ㅇ요일 1~4교시)실험6. EDTA 표준용액 제조 및 표준화학과:학번:이름:교수님 성함:조교님 성함:1. 제목EDTA 표준용액 제조 및 표준화2. 실험 일시3. 실험 목적가장 널리 사용되는 킬레이트제인 EDTA의 성질과 특성에 대하여 이해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EDTA 시약을 이용하여 용액을 제조한 뒤 일차표준물질인 탄산칼슘으로 제조한 표준용액을 이용하여 EDTA 용액의 정확한 농도를 결정한다.4. 이론 및 원리● EDTAEDTA는 분석화학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킬레이트제(chelator)dlau, 직...2021.04.16· 6페이지 -
분석화학실험 A+ ( 예비 레포트 ) EDTA 표준용액 제조 및 표준화 10페이지
제출일자 :EDTA 표준용액 제조 및 표준화학 과 :학 번 :성 명 :1. 실험 목표가장 널리 사용되는 킬레이트제인 EDTA의 성질과 특성에 대하여 이해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하는 EDTA 시약을 이용하여 용액을 제조한 뒤 일차표준물질인 탄산칼슘으로 제조한 표준용액을 이용하여 EDTA 용액의 정확한 농도를 결정한다.2. 실험 이론1. EDTAEDTA 는 분석화학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킬레이트제(chelator) 이며, 직접적정법, 치환적정법, 역적정법 등 다양한 적정법을 사용하면 EDTA 로 주기율표상 대부분의 원소를 ...2023.08.31· 10페이지 -
[분석화학실험]EDTA 표준용액 제조 및 농도 결정 12페이지
EDTA 표준용액 제조 및 농도 결정1. 실험 목적가. EDTA 표준용액을 이해하고CaCO _{3}일차 표준물질을 사용하여 EDTA 표준용액의 농도를 정확히 결정한다.나. 킬레이트제인 EDTA 시약을 이용하여 용액을 제조한 뒤 표준용액을 이용하여 EDTA의 정확한 농도를 결정한다. 이 과정을 통해 EDTA의 성질과 특성에 대하여 이해한다.2. 실험 이론 및 원리가. 착화반응(Complexion reaction)1) 착화합물착화반응이란 전자가 풍부한 화학종(비공유 전자쌍들을 소유한 화학종)이 전자가 부족한 화학종에 전자쌍을 제공하면서...2021.03.29· 12페이지 -
7주차 분석화학실험 EDTA 표준 용액 제조 및 표준화 13페이지
제출 일자: 2024년 5월 21일 화요일EDTA 표준용액 제조 및 표준화1.서론널리 사용되는 킬레이트제인 EDTA의 성질과 특성에 대하여 이해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하는 EDTA 시약을 이용하여 용액을 제조한 뒤 일차표준물질인 탄산칼슘으로 제조한 표준용액을 이용하여 EDTA 용액의 정확한 농도를 결정한다.2.실험이론• EDTA는 분석화학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킬레이트제(chelator)이며, 직접적정법, 치환적정법, 역적정법 등 다양한 적정법을 사용하면, EDTA로 주기율표 상 대부분의 원소를 분석할 수 있다.• 그림...2024.10.27· 13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