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복음 20장 19-31절: 부활하신 예수와 도마의 믿음
본 내용은
"
230810 요한복음20장19-31절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8.25
문서 내 토픽
-
1. 예수의 부활과 평강부활하신 예수님이 두려워하는 제자들에게 나타나 평강의 인사를 건넵니다. 이는 단순한 인사가 아니라 죄와 사망을 이기신 후 주신 선물입니다. 예수님은 손과 옆구리를 보여 실제 육체의 부활을 증명하며, 제자들의 근심을 기쁨으로 변화시킵니다. 이는 예수님이 약속한 말씀의 성취이며, 세상이 줄 수 없는 영적 평화를 제공합니다.
-
2. 제자들의 파송과 성령부활하신 예수님은 제자들을 세상으로 파송하시며, 성령을 받으라 명하십니다. 하나님으로부터 파송받아 온 예수님이 이제 제자들을 파송하는 연결고리를 보여줍니다. 성령은 제자들의 정체성과 사역에 결정적 역할을 하며, 아버지와 아들이 성도와 함께 거하신다는 약속을 의미합니다.
-
3. 죄 용서와 제자의 사명세상에 파송받는 제자들의 주요 사역은 죄 용서를 증언하는 것입니다. 진리를 말하여 어둠 속의 영혼들을 빛으로 인도하고, 주의 이름으로 세례를 베풀어 죄 용서를 선언합니다. 그 영혼이 그리스도 안에서 성령의 충만함으로 날마다 거룩하게 되는 것이 목표입니다.
-
4. 도마의 의심에서 믿음으로도마는 예수의 부활을 직접 보지 못해 의심합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도마의 의심을 아시고 친절하게 자신의 몸을 보여주십니다. 도마는 '나의 주님이시요 나의 하나님이시니이다'라고 고백하며, 이는 구약의 하나님이 예수님임을 인정하는 신앙고백입니다. 도마의 변화는 영적 무지에서 확신으로의 전환을 보여줍니다.
-
5. 보지 못하고 믿는 자의 복예수님은 직접 부활을 목격하지 않고도 증언의 말씀을 듣고 믿는 자가 복되다고 하십니다. 이는 요한복음의 독자들이 예수의 부활을 직접 보지 못했지만, 증인들의 기록을 통해 믿을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요한이 기록한 목적은 예수가 하나님의 아들 그리스도임을 믿게 하고, 그 이름으로 생명을 얻게 하려는 것입니다.
-
1. 주제1 예수의 부활과 평강예수의 부활은 기독교 신앙의 핵심 사건으로, 죽음을 넘어선 생명의 승리를 상징합니다. 부활 후 제자들에게 주어진 '평강'은 단순한 감정적 안정이 아니라, 죄와 죽음의 권세로부터의 해방을 의미하는 영적 평화입니다. 이는 불안정한 세상 속에서도 흔들리지 않는 영적 기초를 제공합니다. 부활의 평강은 제자들의 두려움을 극복하게 하고, 그들을 선교의 사명으로 나아가게 하는 원동력이 됩니다. 현대에도 이러한 부활의 평강은 신자들에게 희망과 용기를 주는 중요한 영적 자산입니다.
-
2. 주제2 제자들의 파송과 성령제자들의 파송은 예수의 지상 사역을 계승하는 중요한 위임입니다. 성령의 충만함 없이는 이 사명을 감당할 수 없으므로, 성령의 역할은 절대적입니다. 성령은 제자들에게 담대함, 지혜, 능력을 부여하여 세상 속에서 증인의 역할을 하도록 합니다. 파송과 성령은 분리될 수 없는 관계로, 성령의 인도함 속에서만 참된 선교가 이루어집니다. 이는 개인의 노력만으로는 불가능한 영적 사명이 하나님의 능력으로 가능해짐을 보여줍니다.
-
3. 주제3 죄 용서와 제자의 사명죄 용서는 기독교 구원의 핵심이며, 이를 선포하는 것이 제자의 중요한 사명입니다. 예수의 죽음과 부활을 통해 성취된 죄 용서의 메시지는 모든 인류에게 희망을 제공합니다. 제자들은 이 용서의 복음을 전하는 중보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죄 용서의 선포는 단순한 종교적 메시지가 아니라, 인간의 영혼을 변화시키고 새로운 삶으로 인도하는 능력 있는 말씀입니다. 제자의 사명은 이 용서의 메시지를 신실하게 전하고 실천하는 것입니다.
-
4. 주제4 도마의 의심에서 믿음으로도마의 의심은 많은 신자들의 신앙 여정을 대표합니다. 직접 경험하지 못한 것을 믿기 어려운 인간의 본성을 보여주지만, 도마가 결국 '나의 주, 나의 하나님'이라 고백한 것은 의심을 넘어선 깊은 믿음의 도달을 의미합니다. 이는 의심이 반드시 부정적이 아니며, 진정한 질문과 탐구를 통해 더욱 견고한 믿음으로 나아갈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도마의 변화는 신앙의 성숙 과정을 보여주는 귀중한 사례입니다.
-
5. 주제5 보지 못하고 믿는 자의 복보지 못하고 믿는 자의 복은 신앙의 본질을 드러내는 말씀입니다. 물리적 증거나 감각적 경험에 의존하지 않고 영적 확신으로 믿는 것이 참된 믿음입니다. 이는 신앙이 이성적 증명을 넘어 영적 차원의 신뢰와 헌신을 요구함을 의미합니다. 현대의 과학주의 시대에서도 이 말씀은 신앙의 독특한 가치를 강조합니다. 보지 못하고 믿는 자들의 복은 영적 깊이와 성숙함의 표현이며, 신앙 공동체의 기초를 이루는 중요한 원리입니다.
-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 그리고 연합 14페이지
목 차Ⅰ서론---------------------------연구목적Ⅱ본론--------------------1.그리스도의 신성1) 예수그리스도의 신성의 필요성2)성서에 나타난 그리스도의 신성(신적 명칭, 신적 속성, 신적 사역, 신적 영광)--------------------2.그리스도의 인성1) 예수그리스도의 인성의 필요성2)성서에 나타난 그리스도의 인성(인적 명칭, 인적 속성, 인적 행위, 인성의 무죄성)---------------- 3.그리스도의 일인격성1)그리스도의 일인격성 증거2)그리스도의 두 본성간의 관계Ⅲ결론------...2012.01.07· 14페이지 -
예수님의 12제자 연구 6페이지
『주님의 제자 열두 사람』그 성에 성곽은 열두 기초석이 있고 그 위에 어린 양의 십이 사도의 열두 이름이 있더라(계21:14)거룩한 성의 열두 기초석 위에 어린 양의 열두 사도의 이름이 새겨져 있는 환상을 보았다고 계시록의 저자는 기록했다. 이 열두 사도는 기독교 교회의 초석이다.열두 사도의 이름은 신약의 네 곳(마10:2-4, 막3:16-19, 눅6:14-16, 행1:13)에 나타나 있다.그들은 예수님의 부름을 받고 예수님과 함께 동행하고 그르침을 받았다. 그러므로 그들에 관한 사실뿐만 아니라 그들에게 있어서 사도란 직분은 무엇을...2009.05.21· 6페이지 -
요한복음 정리 5페이지
요한복음을 읽기전에 우리가 알아야 할 것Ⅰ저자저자에 대해서는 단지 책 이름이 요한복음 이니까 요한이 기록했다고 설명하지 마시고 신약성경에 요한이라는 이름을 가진 사람이 다섯명이 있다는 설명과 함께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1. 세례요한 (요 1:6; 15,19,26,29) - 이 사람은 요한복음의 모든 내용이 이루어지기 훨씬 전에 이미 헤롯에 의해 참수를 당했기 때문에 요한복음의 저자가 될 수 없다.2. 베드로의 부친 요한(요한의 아들 시몬아~~^^)(요1:42) - 이 사람은 단지 베드로의 아버지였다는 이야기만 나올 뿐 복음이나 예수...2007.12.12· 5페이지 -
신약 정경화의 형성 13페이지
신약 정경의 형성Ⅰ. 정경화 작업의 시작① 정경- 갈대, 척도, 표준, 규칙, 규범을 의미하는 것으로 4C 이후에야 고대교회에서 정경으로서의 가치를 인 정하는 성서 목록을 기술하는 것이 의미를 갖게 됨- 라틴 교회는 그리스 교회로부터 개념을 전해 받고 표준과 척도라는 의미에서 이해② 구약의 정경화- 원시 그리스도교는 구약성서를 정경으로 간주했고, 정경으로서 구약성서의 종국적 완성은 1세기 말경 회당으로부터 계획- 토라에 대해 정경으로 받아들였을 때에도 아가서, 솔로몬의 설교, 예언서인 에스겔서는 여전히 논쟁중- 예수시대와 원시 공동...2007.10.17· 13페이지 -
성경-요한복음을 읽고 8페이지
1) 요한복음이란?(1) 저자요한복음의 저자는 예수님의 열 두 제자 중의 한 사람인 요한입니다.예수께서 사랑하신 제자 라 불려지며, 남달리 예수님의 총애를 받은 요한은 시대적으로예수님의 십자가 사건 전후로 오랫동안 복음을 전하였습니다.항상 예수님과 함께 생활하면서, 그분의 가르침과 행동에 누구보다도 가까이 접할 수가있었으며, 이렇게 세밀한 관찰과 직접적인 경험들을 통하여 요한은 예수님이야 말로사람의 몸을 입고 오신 하나님의 아들이시며, 길과 진리와 생명이심을 확신하였습니다.(2) 제목요한복음은 요한이 쓴 복음서를 의미하며, 신약의 ...2008.02.04· 8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