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아동간호학 SBAR 보고 사례
본 내용은
"
아동간호학 SBAR 보고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8.17
문서 내 토픽
  • 1. RSV 폐렴과 탈수
    2개월 된 남자 환아가 콧물, 기침, 눈꼽으로 입원하여 RSV 폐렴 진단을 받았습니다. 환자는 Nebulizer를 통해 ventolin을 투여받고 있으며, 5/20 오전부터 오후까지 9차례의 구토를 보이고 있습니다. 모유 섭취 거부, 입 건조, 배뇨량 감소 등의 탈수 증상이 관찰되고 있으며, 활력징후는 P:160 R:34 BT:36.9입니다. 간호사는 탈수 의심으로 수액 투여량 증가와 항생제 변경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 2. 선천성 유문협착증과 전해질 불균형
    재태기간 40주로 자연분만으로 태어난 남아가 수유 직후 담즙이 섞이지 않은 분출구토를 보이고 있습니다. 좌측에서 우측으로의 연동운동과 우측 상복부의 올리브 크기 덩어리가 촉진되어 선천성 유문협착증이 의심됩니다. 혈액검사 결과 Na 125mmol/L, K 2.5mmol/L, Cl 77mmol/L로 저하되었고, pH 8.8, CO2 46mmol/L, BUN 33mg/dL로 상승하여 대사성 알칼리증이 의심됩니다.
  • 3. 아동 간호 사정 및 보고
    SBAR 보고 형식은 상황(Situation), 배경(Background), 사정(Assessment), 권장사항(Recommendation)으로 구성됩니다. 간호사는 환자의 현재 상태, 과거력, 진단명, 현재 치료를 명확히 전달하고, 임상적 사정에 기반한 구체적인 권장사항을 제시합니다. 이는 의료진 간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환자 안전을 보장하는 표준화된 보고 방식입니다.
  • 4. 소아 수액 요법 및 전해질 관리
    아동 환자의 수액 요법은 탈수 정도와 전해질 불균형을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초기에는 1:4 S/D 500ml 또는 0.9% N/S 100mL이 투여되며, 전해질 검사 결과에 따라 5% Dextrose 5%/Na/K-2 inj 500mL로 변경됩니다. 경구 섭취 불가 상황에서는 NPO 유지와 함께 적절한 정맥 수액 공급으로 영양과 전해질 균형을 유지해야 합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RSV 폐렴과 탈수
    RSV 폐렴은 영유아에게 심각한 호흡기 감염으로, 탈수는 이 질환의 주요 합병증입니다. RSV 폐렴 환자는 고열, 기침, 호흡곤란으로 인해 수분 섭취가 감소하고 발열로 인한 수분 손실이 증가합니다. 탈수는 질환의 심각도를 악화시키고 회복을 지연시킵니다. 따라서 적절한 수액 공급과 전해질 모니터링이 필수적입니다. 경구 수액 섭취가 불가능한 경우 정맥 수액 요법이 필요하며, 소변량, 체중 변화, 점막 상태 등을 지속적으로 사정해야 합니다. 조기 발견과 적절한 수액 관리는 RSV 폐렴 환자의 예후를 크게 개선할 수 있습니다.
  • 2. 선천성 유문협착증과 전해질 불균형
    선천성 유문협착증은 신생아와 영아에게 발생하는 심각한 질환으로, 반복적인 구토로 인해 심각한 전해질 불균형을 초래합니다. 지속적인 구토는 염산과 칼륨 손실을 야기하여 저염소혈증, 저칼륨혈증, 대사성 알칼리증을 유발합니다. 이러한 전해질 불균형은 심장 부정맥, 근력 약화, 신경계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수술 전 적절한 수액 요법과 전해질 교정이 매우 중요하며, 정상 생리식염수와 칼륨 보충이 필수적입니다. 혈액 검사를 통한 정기적인 모니터링과 신중한 수액 관리는 수술 전 환자의 안정화와 수술 후 회복을 촉진합니다.
  • 3. 아동 간호 사정 및 보고
    아동 간호 사정은 체계적이고 포괄적이어야 하며, 아동의 발달 단계와 개별적 특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신체 사정, 활력징후, 영양 상태, 심리사회적 상태 등을 통합적으로 평가해야 합니다. 보호자와의 의사소통을 통해 병력, 증상, 가족력을 수집하고, 아동의 행동 변화와 반응을 세심하게 관찰해야 합니다. 정확한 보고는 의료팀 간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며, 치료 계획 수립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SBAR 등의 구조화된 보고 방식을 사용하면 정보 전달의 명확성과 효율성이 향상됩니다. 아동 간호 사정과 보고의 질은 직접적으로 치료 결과에 영향을 미치므로 전문성과 정확성이 필수적입니다.
  • 4. 소아 수액 요법 및 전해질 관리
    소아 수액 요법은 성인과 다르게 아동의 체중, 나이, 임상 상태에 따라 개별화되어야 합니다. 유지 수액 요구량 계산, 결손액 보충, 지속적 손실 보정이 필요하며, 정확한 계산이 필수적입니다. 전해질 관리는 나트륨, 칼륨, 염소, 칼슘 등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으로, 부적절한 관리는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합니다. 정맥 수액 주입 시 주입 속도, 용액의 종류, 주입 부위를 신중하게 선택해야 하며, 정기적인 혈액 검사를 통해 전해질 수치를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경구 수액 섭취가 가능한 경우 점진적으로 전환하고, 수액 요법의 효과를 지속적으로 평가하여 조정해야 합니다. 적절한 수액 및 전해질 관리는 아동의 회복과 예후를 크게 향상시킵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