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복음 16장 1-15절: 성령의 역할과 제자들의 사명
본 내용은
"
29.요한복음 16장1-15절 동신금요 230714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7.26
문서 내 토픽
-
1. 성령의 역할과 기능예수님이 떠난 후 성령이 오셔서 죄, 의, 심판에 대하여 세상을 책망하신다. 성령은 진리의 영으로서 제자들을 모든 진리 가운데로 인도하고, 예수님의 말씀을 전하며 가르침을 생각나게 한다. 성령은 자신의 뜻으로 말씀하지 않고 오직 예수님의 영광을 나타내며, 아버지께 있는 모든 것을 제자들에게 알린다. 성령의 충만함은 신자들이 예수를 알게 하고 예수의 은혜를 누리게 하며 교회 가운데 예수의 통치를 임하게 한다.
-
2. 제자들의 고난과 예수의 예고예수님은 제자들에게 닥쳐올 고난을 미리 예기하신다. 사람들이 제자들을 출교할 뿐 아니라 때가 이르면 그들을 죽이는 자들이 이것이 하나님을 섬기는 일이라 생각할 것이다. 예수님은 이러한 말씀을 통해 제자들이 그때를 당하면 예수님의 말씀을 기억하고 실족하지 않도록 도와주신다. 복음 때문에 당한 고난은 부끄러워하거나 실패로 여길 것이 아니라 주를 위한 영광의 관문으로 여겨야 한다.
-
3. 제자들의 근심과 불안예수님이 떠나신다는 말씀에 제자들은 근심하고 불안해한다. 예고된 고난과 불확실한 미래 앞에서 제자들은 어디로 가시는지 묻지 못한다. 떠나는 것이 유익이라는 예수님의 말씀도 이해하지 못하고, 성령을 통한 풍성한 교제의 길의 약속도 가슴에 와 닿지 않는다. 눈 앞에 보이는 것으로만 믿고 사는 땅에 속한 생각은 의심과 근심과 두려움을 떨쳐내지 못하게 한다.
-
4. 신자의 삶과 세상에 대한 증거성령이 함께하는 신자의 삶은 세상을 책망한다. 신자의 말과 삶이 세상의 불의한 민낯을 그대로 보여주어야 한다. 세상의 악함을 따라가지 않고 세상의 좋은 것에 미혹되지 않은 모습으로 보여줄 수 있다. 세상이 예스라고 말할 때 노라고 말할 수 있는 모습이 필요하다. 신자가 세상을 책망하지 못하면 오히려 세상이 신자를 책망하게 된다.
-
1. 성령의 역할과 기능성령은 기독교 신앙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성령은 신자들을 내적으로 변화시키고 영적 성장을 도우며, 진리를 깨닫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성령은 신자들에게 힘과 용기를 주어 신앙의 삶을 살아가도록 격려합니다. 성령의 기능은 단순한 영적 위로를 넘어 신자의 삶 전체에 영향을 미치며, 기도와 중보의 역할도 수행합니다. 성령의 역할을 이해하는 것은 신앙의 깊이를 더하고 영적 삶의 기초를 다지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
2. 제자들의 고난과 예수의 예고예수가 제자들에게 고난을 미리 알린 것은 그들이 신앙의 길에서 마주할 현실을 직시하도록 준비시키기 위함입니다. 이러한 예고는 제자들이 어려움 속에서도 흔들리지 않고 신앙을 지킬 수 있도록 정신적 준비를 갖추게 합니다. 고난의 예고는 신자들에게 신앙이 항상 순탄하지 않음을 알려주며, 오히려 고난 속에서 신앙이 더욱 깊어질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이는 신자들이 현실의 어려움을 영적 성장의 기회로 바라보도록 격려하는 의미 있는 메시지입니다.
-
3. 제자들의 근심과 불안제자들의 근심과 불안은 인간의 자연스러운 감정 반응으로, 미지의 미래에 대한 두려움과 신앙의 약함을 드러냅니다. 이러한 감정들은 제자들이 예수의 말씀을 완전히 이해하지 못했음을 보여주며, 신앙의 여정에서 누구나 경험할 수 있는 보편적인 감정입니다. 제자들의 불안감은 결국 성령의 위로와 신앙의 확신으로 극복되어야 하며, 이 과정은 신자들이 자신의 약함을 인정하고 하나님께 의존하는 법을 배우게 합니다. 근심과 불안을 통해 제자들은 더욱 성숙한 신앙으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
4. 신자의 삶과 세상에 대한 증거신자의 삶 자체가 가장 강력한 증거가 됩니다. 신자들이 세상 속에서 보여주는 도덕적 삶, 사랑과 용서, 그리고 희망의 메시지는 말보다 더 큰 영향력을 발휘합니다. 신자의 증거는 단순한 종교적 선전이 아니라 실제 삶의 변화와 영적 성장을 통해 나타나야 합니다. 세상에 대한 증거는 신자들이 어떤 상황에서도 신앙의 가치를 지키고, 타인을 존중하며, 정의와 평화를 추구하는 모습으로 드러납니다. 이러한 증거는 신자 개인의 신앙뿐 아니라 신앙 공동체 전체의 신뢰성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
신약신학 연구 - 요한복음 14장 12절-14절을 어떻게 설교할 것인가 - 본문 주해, 신학적 분석, 설교적 제안 16페이지
요한복음 14장 12절-14절을어떻게 설교할 것인가?[ 본문 주해, 신학적 분석, 설교적 제안 ]목차서론: 요한복음 14장 12-14절의 중요성과 해석의 난제I. 본문 주해문맥 분석: 떠남을 준비하시는 예수님의 위로와 약속12절 주해: "나를 믿는 자는 내가 하는 일을 그도 할 것이요 또한 그보다 큰 일도 하리니"'일'(ἔργα)과 '표적'(σημεῖον)의 어휘 분석'더 큰'(μείζονα)의 어휘 및 신학적 분석신학적 근거: "이는 내가 아버지께로 감이라" (ὅτι ἐγὼ πρὸς τὸν πατέρα πορεύομαι)13-14...2025.10.21· 16페이지 -
신약신학 연구 - 사도행전 1장 8절 '성령이 너희에게 임하시면'을 어떻게 설교할 것인가 18페이지
사도행전 1장 8절‘성령이 너희에게 임하시면’을어떻게 설교할 것인가[ 성령 임재의 언어적, 신학적, 실천적 탐구 ]목차서론: 권능의 약속, 교회의 시작제1부: 원어적 탐구 - '임하시면'의 역동적 의미1.1. 헬라어 '에페르코마이'(ἐπερχομαι) 분석: 주권적이고 결정적인 임재1.2. 히브리적 배경: '찰라흐'(צָלַח)의 능력 - 갑작스럽고 압도적인 권능 부여제2부: 신학적 의미 - 성령 임재의 다층적 이해2.1. 구약에서 신약으로의 연속성과 불연속성2.2. 제2성전기 유대교와 랍비 문헌에 나타난 '루아흐 하코데쉬'(רוח...2025.09.20· 18페이지 -
신약신학-성령론 논문(성령론의 교의신학적 이해와 성경신학적 이해) 16페이지
성령론의 교의신학적 이해와 성경신학적 이해나는 이 과제를 본인이 스스로 연구하여 직접 작성했습니다.과 목 명학년 / 반교 수 님학 번제출기일이 름CONTENTS목차Ⅰ. 서론1. 연구 목적2. 연구 방법3. 연구의 한계Ⅱ. 성령론: 교의신학적 이해와 성경신학적 이해1. 성령론의 교의신학적 이해1) 박형룡의 성령론2) 헤르만 바빙크의 성령론3) 웨인 그루뎀의 성령론4) 존 오웬의 성령론2. 성령론의 성경신학적 이해1) 바울의 성령론2) 누가의 성령론3) 요한의 성령론Ⅲ. 결론: 개혁주의적 성령론Ⅳ. 참고자료Ⅰ. 서론1. 연구 목적개혁주...2022.09.10· 16페이지 -
조직신학 연구 - '기독교 신론(神論)'을 어떻게 설교할 것인가 23페이지
‘기독교 신론(神論)’을어떻게 설교할 것인가[ 성경적, 신학적, 실천적 고찰 ]목차서론: 신론 연구의 의의와 범위신론(Theology Proper)의 정의와 범위연구의 중요성보고서의 구조제1부: 성경에 계시된 하나님제1장: 하나님의 존재와 자기 계시성경의 근본 전제계시의 이중적 형태제2장: 하나님의 이름에 나타난 그의 성품엘로힘(Elohim): 창조주, 전능하신 하나님야훼(YHWH): 언약의 하나님, 스스로 계시는 분출애굽기 3:14 주해 - "스스로 있는 자"(에흐예 아쉐르 에흐예)신명기 6:4 주해 - '쉐마 이스라엘'제3장: ...2025.09.21· 23페이지 -
교회력에 따른 목회계획표 및 해설 17페이지
2018년도 중부연회준회원 허입 년급2018년도교회력에 따른 목회계획표 및 해설2018년 1월 31일기독교대한감리회 중부연회○○○지방 ○○교회담임전도사 ○○○목 차Ⅰ. 서 론1A. 연구의 목적 및 문제제기1B. 연구범위와 방법1Ⅱ. 본 론3A. 교회력의 정의와 의미31. 교회력의 정의32. 교회력의 의미3B. ○○교회의 목회계획 설정51. ○○교회의 상황52. 목표 및 비전 제시63. ○○교회의 목회계획61). 목회란62). ○○교회 목회계획표63). 성경통독8(1). 주현절9(2). 사순절9(3). 부활절10(4). 성령강림절11...2019.09.11· 17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