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큐의 경제학 9판 14장 응용문제 풀이
본 내용은
"
맨큐의 경제학 9판 14장 응용문제 풀이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7.07
문서 내 토픽
-
1. 완전경쟁시장의 단기 및 장기 균형석유 가격 상승으로 인한 공급곡선의 변화를 분석한다. 단기적으로 기업들은 손실을 보지만, 평균가변비용이 가격보다 낮으면 조업을 계속한다. 장기적으로 손실을 견디지 못한 기업들이 시장에서 퇴출되고, 시장공급곡선이 왼쪽으로 이동하여 시장균형가격이 상승한다. 최종적으로 가격이 평균총비용의 최솟값과 같아져 경제적 이윤이 0이 되는 장기균형에 도달한다.
-
2. 기업의 단기 조업중단 결정기업이 단기적으로 조업을 계속할지 중단할지 결정하는 기준을 설명한다. 고정비용이 $30일 때, 평균가변비용이 가격보다 낮으면 손실이 발생하더라도 조업을 중단하지 않는다. 그러나 평균총비용이 가격보다 높으면 장기적으로 시장에서 퇴출된다. 이는 단기에는 고정비용을 회수할 수 없지만, 변동비용이라도 회수하려는 경제적 의사결정을 반영한다.
-
3. 장기균형에서의 기업 수와 생산량 변화장기균형 과정에서 기업들이 퇴출되면서 시장 내 기업의 수가 감소한다. 남아 있는 기업들은 생산량을 증가시키지만, 전체 시장공급량은 감소한다. 각 기업의 평균총비용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시장 내 기업 수의 감소로 인해 시장 총생산량은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난다.
-
4. 완전경쟁시장의 가격과 한계비용완전경쟁시장의 장기균형에서 가격은 한계비용과 평균총비용의 최솟값이 같아진다. 외부 충격으로 인한 조정 과정에서 가격과 한계비용이 모두 상승할 수 있다. 이는 시장공급의 감소와 기업 퇴출이라는 구조적 변화를 반영하며, 최종적으로 경제적 이윤이 0인 상태에서 시장이 균형을 이룬다.
-
1. 완전경쟁시장의 단기 및 장기 균형완전경쟁시장의 단기 및 장기 균형은 시장 메커니즘의 핵심을 보여주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단기에는 기업들이 고정비용을 감당해야 하므로 손실을 감수하면서도 계속 생산할 수 있지만, 장기에는 자유로운 진출과 퇴출을 통해 경제적 이윤이 0으로 수렴하는 균형점에 도달합니다. 이러한 조정 과정은 자원의 효율적 배분을 가능하게 하며, 시장이 자동으로 공급과 수요를 조절하는 능력을 입증합니다. 다만 현실의 시장은 완전경쟁 조건을 완벽히 충족하지 못하므로, 이 모델은 이상적인 기준점으로서의 가치가 더 크다고 봅니다.
-
2. 기업의 단기 조업중단 결정기업의 단기 조업중단 결정은 합리적 경제주체의 의사결정 원리를 잘 보여줍니다. 기업이 조업을 중단할지 계속할지 판단하는 기준은 가격이 평균가변비용보다 높은지 여부입니다. 이는 고정비용은 이미 발생한 매몰비용이므로 의사결정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경제학적 원리를 반영합니다. 단기에 손실이 발생하더라도 변동비를 회수할 수 있다면 계속 생산하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이러한 의사결정 프레임은 기업뿐 아니라 개인의 경제적 선택에도 광범위하게 적용되는 실용적 가치가 있습니다.
-
3. 장기균형에서의 기업 수와 생산량 변화장기균형에서의 기업 수와 생산량 변화는 시장의 자정 능력을 보여주는 흥미로운 현상입니다. 초과이윤이 발생하면 새로운 기업들이 진입하여 공급이 증가하고 가격이 하락하며, 반대로 손실이 발생하면 기업들이 퇴출되어 공급이 감소하고 가격이 상승합니다. 이 과정에서 개별 기업의 생산량은 변하지 않지만 시장 전체의 생산량은 변합니다. 이러한 메커니즘은 시장이 어떻게 자동으로 최적의 자원배분에 도달하는지 설명하며, 정부 개입 없이도 효율성이 달성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
4. 완전경쟁시장의 가격과 한계비용완전경쟁시장에서 가격이 한계비용과 같아지는 현상은 경제적 효율성의 핵심입니다. 이 조건은 자원이 가장 가치 있는 곳에 배분되도록 보장하며, 사회 전체의 후생을 극대화합니다. 기업들이 가격 수용자로서 행동할 때 자동으로 이 조건이 충족되므로, 시장의 보이지 않는 손이 작동하는 것입니다. 다만 현실에서는 정보 비대칭, 외부성, 규모의 경제 등으로 인해 이 조건이 항상 성립하지 않으므로, 시장 실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원리는 시장의 효율성을 평가하고 정부 개입의 필요성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유용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