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 심전도(EKG) 요약보고서
본 내용은
"
정상 심전도 (EKG) 요약보고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7.03
문서 내 토픽
-
1. 심전도(EKG)의 정의 및 임상적 의의심전도(EKG 또는 ECG)는 심장의 전기적 활동상태를 그래프상에 나타낸 검사 방법이다. 심장병의 진단에 필수적이며, 특히 심박동이 불규칙한 심장 부정맥의 진단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심장의 전기적 신호를 기록하여 심장의 건강 상태를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
2. 심전도의 주요 파형(P파, QRS군, T파, U파)정상 심전도는 여러 특징적인 파형으로 구성된다. P파는 심방의 탈분극 시 나타나며 2~3mm 높이, 0.06~0.12초 지속된다. QRS군은 심실의 탈분극으로 발생하며 Q파, R파, S파로 구성되고 5~30mm 높이, 0.08~0.12초를 차지한다. T파는 심실의 재분극 시 나타나며 약 0.16초 소요되고 둥글고 부드러운 형태이다. U파는 작은 파형으로 T파 후 간혹 나타나며 저칼륨혈증 시 발현된다.
-
3. 심전도의 간격과 분절심전도의 간격과 분절은 심장의 전기적 활동 시간을 나타낸다. PR 분절은 P파 후의 곧은 선으로 방실 결절에서의 휴지기이다. PR 간격은 동방결절에서의 흥분이 심실근까지 이동하는 시간으로 0.12~0.2초 소요된다. ST 분절은 QRS군 후 T파 전의 곧은 등위선으로 0.12초이다. QT 간격은 심실 탈분극 및 재분극 시간으로 정상 QTc는 남자 <0.42초, 여자 <0.43초이다.
-
1. 심전도(EKG)의 정의 및 임상적 의의심전도는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하는 필수적인 진단 도구로서, 심장 질환의 조기 발견과 모니터링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심장의 수축과 이완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체표면의 전극으로 감지하여 그래프 형태로 표현함으로써, 부정맥, 심근경색, 심비대 등 다양한 심장 질환을 신속하게 진단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응급 상황에서 심근경색 환자의 신속한 치료 결정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며, 비침습적이고 비용 효율적이라는 장점이 있습니다. 임상 실무에서 심전도 해석 능력은 의료진의 필수 역량이며, 정확한 판독을 통해 환자의 생명을 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임상적 의의는 매우 큽니다.
-
2. 심전도의 주요 파형(P파, QRS군, T파, U파)심전도의 각 파형은 심장의 특정 전기적 활동을 나타내며, 이들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진단의 기초입니다. P파는 심방의 탈분극을 나타내고, QRS군은 심실의 탈분극을 보여주며, T파는 심실의 재분극을 반영합니다. 각 파형의 크기, 모양, 지속시간의 변화는 특정 질환을 시사하는 중요한 단서가 됩니다. U파는 심실 재분극의 후기 단계를 나타내며, 저칼륨혈증이나 특정 약물 복용 시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이러한 파형들의 정상 범위를 숙지하고 이상 소견을 인식하는 능력은 임상 진단에서 필수적이며, 각 파형의 의미를 통합적으로 해석할 때 정확한 진단이 가능합니다.
-
3. 심전도의 간격과 분절심전도의 간격과 분절은 심장의 전기적 전도 시간과 상태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PR간격은 심방 탈분극에서 심실 탈분극 시작까지의 시간으로 방실결절의 전도 기능을 반영하며, QT간격은 심실 전체 탈분극과 재분극 시간을 나타냅니다. ST분절은 심실 탈분극 후 재분극 전의 기간으로, 이 부분의 상승이나 하강은 심근경색이나 심근염 등을 시사하는 중요한 소견입니다. 각 간격과 분절의 정상 범위를 벗어난 변화는 전도 장애, 심근 손상, 전해질 이상 등을 의미하므로, 이들을 체계적으로 측정하고 해석하는 것이 정확한 심전도 판독의 핵심입니다.
-
부정맥 - 발작성 심실성 빈맥 PSVT A+ 간호과정 사례보고서 케이스 진단 2개 25페이지
2021년도 1학기 선택실습간호과정 사례보고서실 습 기 관실 습 부 서ICU실 습 기 간담 당 교 수교수님제 출 자제 출 일□ 목차Ⅰ. 문헌고찰 (세부 내용은 실습부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이론적 내용과 실제 사례를 비교?분석1. 정의 (Definition)2. 원인 (Etiology) 및 병태생리 (Pathophysiology)3. 임상 양상 (Clinical Manifestation)4. 진단적 검사 (Diagnostic measure)5. 치료 및 간호 (Treatment & nursing)Ⅱ. 간호력▶ 대상자별(성인, ...2021.05.28· 25페이지 -
[성인간호학] 브이심 보고서(급성 심근경색) 8페이지
V-sim 사례 보고서해당 사례에 대해 다음을 작성하세요.1. 환자정보 요약이름: Carl OOO 나이: 54 성별: M병동: Coronary care ward진단: Acute Myocardial Infarction12:30분에 흉통, 발한, SOB로 응급실로 내원함. 그는 응급실에서 아스피린과 2회 니트로글리세린으로 치료를 받음. 니트로글리세린 투여 후 가슴통증이 개선되었으며 IV로 N/S 5ml/hr로 주입함. 병리검사 보류중이며, 결과가 나오는 대로 담당의사에게 notify해야함. 12 유도 심전도 ECG상 ST 상승이 심근경...2022.02.07· 8페이지 -
급성 심근경색증 간호과정(응급간호학) - 쇼크의 위험, 급성통증 6페이지
Ⅹ. 응급사례 선정 및 간호과정 보고서 작성※ 응급간호 사례를 선정하고 간호과정을 적용하시오.질환명내용사례요약(출처 명시)90세 여성 환자분은 오후 2시에 극심한 흉통을 호소하여 응급실에 내원하였다. 환자분은 20분 전 배우자와 산책 도중 흉통을 호소한 후 갑작스럽게 쓰러져 응급실에 내원한 후 말을 하지 못하고 통증만을 호소하였으며 구토 증상을 보였다. 환자의 보호자는 혈압약을 7년 동안 꾸준히 먹고 있다고 하였으며 “건강이 원래 별로 안 좋으셨던 건가요?”라는 물음에 “이렇게 아픈 건 처음이에요.”라고 답하였다. 지금도 아프냐는 ...2023.05.15· 6페이지 -
성인간호학 협심증 문헌고찰, 간호과정(3개) 중점으로 17페이지
임상실습 사례보고서- 협심증 간호과정을 중심으로 -실습 기관 :실습 기간 :제 출 자 :학 번 :제 출 일 :담당교수 :문헌 고찰1. 질환 관련 해부학적 구조심장은 좌측 제 3~5늑골 사이의 종격동(mediastinum)에 있는 근육기관으로서 신체의 중심선에서 좌측에 치우쳐있다. 크기는 12cm 정도의 자기 주먹만 하며 무게는 약 300g이다. 심장은 심내막, 심근, 심외막 3층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심장 내부는 근육성 막인 심장 중격(septum)을 중심으로 좌우 심장으로 나뉘고 이것은 다시 혈액이 유입되는 좌우 심방과 혈액을 ...2022.05.16· 17페이지 -
A+받은자료) 모성간호학실습 자기주도학습 동영상 요약, 배운 점 7페이지
주제제왕절개분만 간호제출일?주요 내용 요약제왕절개분만 간호 준비물: 도플러, 수술전 처치 및 준비확인서, 금식표, 혈압기와 청진기, 정맥주사 물품, 유치도뇨세트, 소변주머니, 피부준비물품, 손소독제, 모자* 피검사, 제모 확인, 수술전 서명 확인, 검사 설명, 주의점 설명, 손소독* 앙와위성 저혈압 예방: 혈류 흐름을 돕고 앙와위성 저혈압을 예방하기 위해서 오른쪽 엉덩이 아래에 수건을 댄다.* 전자태아감시기을 이용하여 태동 검사 실시 (두 개의 변환기-초음파변환기에 수용성 젤을 바른 후 태아심음이 제일 잘 들리는 곳에 붙인 후 벨트...2022.12.31· 7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