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평균 80대 후기성인의 선호노래와 선호기악음악 선곡 및 조사
본 내용은
"
평균 80대 후기성인의 선호노래와 선호기악음악 선곡 및 조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2.04
문서 내 토픽
-
1. 고복수의 '타향살이'고복수의 '타향살이'는 1934년 콜롬비아레코드사가 조선일보의 후원으로 개최한 전조선명가수선발음악대회에서 23세의 고복수가 2등으로 입상하면서 처음 취입된 대중가요입니다. 이 노래는 만주로 이민을 가서 살고 있던 동포들에게 떠나온 고향을 그리는 마음의 노래로 불리며 많은 인기를 얻었고, 이후 전쟁을 겪으며 고향을 떠난 많은 실향민들에게도 감명을 주는 노래가 되었습니다. 이 노래는 KBS <가요무대>의 방송 35년 간 방송횟수 집계순위 100곡에서 3위를 차지하며 그 인기를 실감케 하였습니다.
-
2. 기악곡 '진도아리랑''진도아리랑'은 전라남도 진도 지방의 서정민요로 현지에서는 아리랑타령이라고 불리지만 전국적으로 불리는 대표적인 민요곡입니다. '진도아리랑'은 전라도가 육자배기를 음악 선율의 기본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육자배기 목을 선율로 사용하며, 메김소리와 받는소리가 각각 8각의 두 장단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또한 세마치장단을 기본으로 하며 평으로 내는 음과 꺾는 음, 떠는 음이 뼈대를 이루고 있습니다. 이러한 음악적 특성은 전라도 동부 지역의 노동요였던 산아지 타령과도 맥을 함께 하고 있습니다.
-
1. 고복수의 '타향살이'고복수의 '타향살이'는 한국 문학사에서 중요한 작품 중 하나입니다. 이 소설은 1970년대 한국 사회의 모습을 생생하게 보여주며, 도시로 이주한 농민들의 삶의 어려움과 고민을 잘 표현하고 있습니다. 주인공 고복수의 내면 세계와 가족 관계, 그리고 도시 생활에서 겪는 갈등과 고민은 당시 많은 사람들의 경험을 대변하고 있습니다. 특히 도시화와 산업화 과정에서 소외되고 힘든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모습을 생생하게 그려내고 있습니다. 이 작품은 한국 사회의 변화와 발전 과정에서 겪었던 어려움과 고민을 잘 보여주고 있으며, 오늘날에도 여전히 많은 사람들에게 공감을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
2. 기악곡 '진도아리랑'기악곡 '진도아리랑'은 한국 전통음악의 대표적인 작품 중 하나입니다. 이 곡은 전라남도 진도 지역의 민요 '아리랑'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한국 고유의 선율과 리듬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진도아리랑'은 단순한 민요가 아니라 다양한 악기들이 어우러져 연주되는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한국 전통음악의 깊이와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특히 이 곡은 한국 문화의 정체성을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오늘날에도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고 있으며, 한국 전통음악의 우수성을 알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