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학 급성타액선염 케이스 스터디
본 내용은
"
아동간호학 급성타액선염 케이스. 간호진단2개, 간호과정2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6.14
문서 내 토픽
-
1. 급성타액선염(Acute Sialoadenitis)타액선(침샘)에 발생하는 염증으로, 이하선, 악하선, 설하선 등에서 발생한다. 급성으로 발생하는 경우 장티푸스, 폐렴, 홍역 등의 전신감염 경과 중 혈행성으로 발생하거나, 수술 후 탈수상태에 의한 타액 분비 감소, 유행성 이하선염(볼거리), 구강 내 감염으로 인해 발생한다. 증상으로는 발열, 두통, 근육통, 식욕부진, 구토, 이하선 종창, 이통, 구강점막 발적 등이 나타난다. 치료는 항생제 투여, 국소 온습포, 진통제 등 대증요법을 시행하며, 화농이 생긴 경우 절개 및 배농이 필요하다.
-
2. 유행성 이하선염(Mumps, 볼거리)Paramyxovirus에 의한 감염으로 발생하는 급성 유행성 전염병이다. 이하선이 비대해지고 동통을 특징으로 하며, 타액의 비말감염이나 직접접촉으로 전염된다. 잠복기는 14~21일이고, 전염성 있는 기간은 종창 1~2일 전부터 종창이 사라진 후 3일까지이다. 합병증으로는 뇌수막염, 고환염, 난소염, 췌장염, 청력장애, 심근염 등이 있다. 예방은 MMR 백신 접종(생후 12~15개월 1차, 만 4~6세 2차)이 가장 효과적이다.
-
3.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본 케이스에서는 2개의 간호진단이 도출되었다. 첫째, '오른쪽 볼 염증, 부비동염과 관련된 통증'으로 통증 사정, 활력징후 측정, 냉요법, 약물요법, 이완요법 등의 중재를 시행하였다. 둘째, '기력 저하와 관련된 낙상의 위험성'으로 낙상위험 사정, 침대 사이드레일 설치, 간호사실 근처 배치, 보호자 교육 등의 중재를 수행하였다. 대상자는 입원 시 FBRS 6점에서 퇴원 시 3점으로 통증이 감소하였고, 낙상은 발생하지 않았다.
-
4. 소아 약물 요법급성타액선염 치료에 사용된 주요 약물은 다음과 같다. Klaricid(클래리스로마이신)는 상기도감염증, 기관지염, 폐렴 등 호흡기 감염증 치료에 사용되며, Mucomyst(무코민)는 객담배출곤란 완화를 위해 코 세척 시 사용된다. Cefazolin은 폐렴, 기관지염 등 호흡기 감염증 치료 항생제이고, Ceftriaxone도 호흡기계 감염증 치료에 사용된다. 슈다페드정은 비충혈 완화를 위해 투여되며, 메트로니다졸은 혐기성균 감염 예방에 사용된다.
-
1. 급성타액선염(Acute Sialoadenitis)급성타액선염은 타액선의 세균 감염으로 인한 염증성 질환으로, 임상적으로 중요한 질환입니다. 주로 구강 위생 불량, 탈수, 면역력 저하 등의 위험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통증, 부종, 열감 등의 증상을 나타냅니다. 진단은 임상 증상과 영상 검사를 통해 이루어지며, 치료는 항생제 투여, 수액 공급, 구강 위생 관리 등의 보존적 치료가 주가 됩니다.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하며, 합병증 예방을 위해 환자 교육과 예방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특히 고령 환자나 면역 저하 환자에서는 더욱 주의 깊은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
2. 유행성 이하선염(Mumps, 볼거리)유행성 이하선염은 파라믹소바이러스에 의한 전염성 질환으로, MMR 백신 접종으로 예방 가능합니다. 양측 이하선의 부종, 발열, 통증이 특징적 증상이며, 대부분 자연 치유되지만 뇌수막염, 난청, 고환염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백신 접종률이 높은 지역에서는 발생률이 감소했으나, 백신 미접종자나 면역력이 약한 집단에서는 여전히 발생 위험이 있습니다. 감염 확산 방지를 위한 격리 조치와 증상 관리가 중요하며, 예방 차원에서 영유아 시기의 적절한 백신 접종이 가장 효과적인 전략입니다.
-
3.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간호진단 및 간호과정은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간호 실무의 기초입니다. 사정, 진단, 계획, 중재, 평가의 5단계 과정을 통해 환자의 건강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합니다. 정확한 간호진단은 적절한 간호 중재의 선택을 결정하므로 신중한 사정과 분석이 필수적입니다. 표준화된 간호진단 분류체계(NANDA-I)의 활용은 의료진 간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고 간호의 질을 향상시킵니다. 간호과정의 체계적 적용은 환자 중심의 개별화된 간호를 제공하며, 지속적인 평가를 통해 간호 효과를 검증하고 개선할 수 있습니다.
-
4. 소아 약물 요법소아 약물 요법은 성인과 다른 특수성을 고려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소아는 체표면적, 체중, 신장 및 간 기능의 미성숙으로 인해 약물 대사와 배설이 성인과 다르므로, 용량 계산과 투여 간격 조정이 필수적입니다. 약물 선택 시 소아의 연령, 체중, 질환 상태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하며, 약물의 안전성과 유효성이 입증된 제제를 사용해야 합니다. 투여 경로도 소아의 협조도와 흡수 특성을 고려하여 결정하며, 부작용 모니터링과 보호자 교육이 중요합니다. 정확한 용량 계산과 투여 방법 준수는 치료 효과를 높이고 약물 부작용을 최소화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