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기업의 해외진출 방식 중 '턴키 계약'과 'BOT방식'에 대한 고찰
문서 내 토픽
  • 1. 턴키 계약
    턴키 계약은 건설 프로젝트에서 발주자가 시공사에게 설계부터 시공, 시운전까지 모든 공정을 일괄 위탁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의 장점은 전문성 있는 시공사가 프로젝트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지만, 발주자의 추가 요구사항 반영이 어렵고 자금 조정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대한전선은 이 방식으로 미국에서 600억 원 규모의 사업을 수주하는 등 성공적인 사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 2. BOT 방식
    BOT(Build-Operate-Transfer) 방식은 민간 사업자가 시설을 건설하고 일정 기간 운영한 뒤 정부에 이전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민간 사업자의 효율적인 운영과 정부의 재정 지원 조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프로젝트 전체의 유기성이 저하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진해오션리조트는 이 방식으로 민간투자사업을 추진했지만, 발주처인 정부와의 갈등으로 인해 원활하게 진행되지 못했습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턴키 계약
    턴키 계약은 프로젝트 수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위험을 발주자가 모두 부담하는 계약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프로젝트 전체에 대한 책임을 수급자가 지게 되므로, 발주자 입장에서는 프로젝트 관리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프로젝트 완료 시점에 정해진 금액을 지불하면 되므로 예산 관리가 용이합니다. 하지만 수급자 입장에서는 프로젝트 수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위험을 부담해야 하므로, 이에 따른 비용 상승이 불가피합니다. 따라서 턴키 계약은 프로젝트의 성격과 발주자의 요구사항, 수급자의 역량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적절한 계약 방식을 선택해야 합니다.
  • 2. BOT 방식
    BOT(Build-Operate-Transfer) 방식은 민간 투자자가 공공 시설물을 건설하고 일정 기간 동안 운영한 후 정부에 이전하는 계약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정부의 재정 부담을 줄이고 민간의 기술과 자본을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민간 투자자가 운영 기간 동안 수익을 창출할 수 있어 사업 참여 동기가 높습니다. 하지만 운영 기간 동안 민간 투자자의 독점적 지위로 인해 서비스 가격이 높아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BOT 방식을 적용할 때는 적절한 운영 기간 설정, 서비스 가격 규제, 운영 성과 평가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A+기업의 해외진출 방식 중 '턴키 계약'과 'BOT방식'에 대해 알아보고,(내용, 장단점 등) 이 방식들을 쓰고 있는 실제 기업의 사례(2개 이상)를 찾아 서술합니다. 그리고 실제 기업사례의 성공여부와 2가지 해외진출방식(턴키와 BOT)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제시합니다.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