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물리화학실험-계산화학 실습 (Gaussian View) 실험 보고서
본 내용은
"
A+ 물리화학실험-계산화학 실습 (Gaussian View) 실험 보고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3.07
문서 내 토픽
  • 1. 계산화학
    계산화학은 화학 전체를 크게 나누는 분류 중 하나인 물리화학 분야에 속하는 이론 물리화학의 한 부분이다. 이론 모형을 기반으로 개발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연구대상인 분자에 적용하여 모사실험을 수행한 후, 그 결과를 분석하는 것이 계산화학 분야 연구의 주요 내용이다. 계산화학은 실제 실험에서의 제한 조건에서 자유롭기 때문에, 일반 조건에서 안정하게 존재하는 분자들뿐만 아니라 불안정한 중간체나 전이 상태까지도 다룰 수 있다. 또한 실험으로는 얻기 어려운 분자의 내부 구조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미지 화학반응의 가능성과 반응 과정을 연구할 수 있다.
  • 2. Basis set
    Basis set은 전자를 특정 공간에 제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큰 basis set은 전자가 차지할 공간에 제한이 적으므로 더욱 정확한 분자궤도함수를 얻을 수 있지만 계산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Basis set의 크기는 STO-3G, 3-21G, 6-31G, 6-311G 로 갈수록 커진다. 계산화학을 시작할 때 사용된 basis set의 총 개수와 특징을 잘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 3. DFT
    Density Functional Theory (밀도범함수이론)은 물리학, 화학 및 재료 과학에서 주로 사용되는 계산 방법론이다.
  • 4. 양자화학
    양자역학의 기본 법칙 중 슈뢰딩거 방정식에서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파생된 방법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양자화학은 전자 구조 방법과 화학 역학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ab-initio method는 양자역학 법칙과 기본 상수만을 근거로 계산하는 반면, semiempirical method는 실험 데이터에서 파생된 매개변수를 이용해 계산을 단순화시킨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계산화학
    계산화학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화학 시스템의 구조와 성질을 예측하고 분석하는 분야입니다. 이 분야는 실험적으로 접근하기 어려운 화학 시스템을 연구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계산화학은 양자역학, 통계역학, 분자역학 등의 이론을 바탕으로 하며, 이를 통해 분자의 구조, 에너지, 반응성 등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컴퓨팅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더욱 복잡한 화학 시스템을 다룰 수 있게 되었습니다. 계산화학은 화학, 물리학, 생물학, 재료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새로운 물질 개발, 반응 메커니즘 이해, 약물 설계 등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향후 계산화학은 실험과 이론의 융합을 통해 화학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갈 것으로 기대됩니다.
  • 2. Basis set
    Basis set은 양자화학 계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Basis set은 원자 또는 분자 궤도함수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련의 수학적 함수입니다. 이 함수들은 전자의 공간적 분포를 나타내며, 전자의 에너지, 결합 등 다양한 화학적 성질을 계산하는 데 사용됩니다. 적절한 basis set의 선택은 계산 결과의 정확도와 효율성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일반적으로 더 큰 basis set을 사용하면 더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지만, 계산 시간과 메모리 사용량이 증가합니다. 따라서 연구 목적과 시스템의 특성에 맞는 basis set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최근에는 더 효율적인 basis set 개발과 함께 machine learning 기법을 활용하여 basis set을 자동으로 선택하는 연구도 진행되고 있습니다. Basis set은 양자화학 계산의 핵심 요소이며, 앞으로도 계산화학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3. DFT
    DFT(Density Functional Theory)는 양자화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중요한 이론적 방법입니다. DFT는 전자 밀도 함수를 이용하여 많체계의 전자 구조와 에너지를 계산하는 방법으로, 전자 상관 관계를 효과적으로 다룰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복잡한 화학 시스템의 구조, 반응성, 물성 등을 비교적 정확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