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랑구 지역사회간호 사정 및 간호계획
본 내용은
"
지역사회간호학_실습_중랑구보건소_케이스_레포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3.02
문서 내 토픽
-
1. 지역사회 인구학적 특성중랑구는 2022년 2월 기준 총 388,606명(남 191,682명, 여 196,924명)의 인구를 가지고 있으며 매년 약 2% 정도의 인구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55~59세 중장년층이 가장 많고 항아리형 인구구조를 나타내며, 15~19세 이하는 급격히 감소한다. 합계출산율은 0.660명으로 전국 0.837명보다 낮고, 노령화지수는 212.4로 서울시 16보다 매우 높다. 독거노인은 17,946세대이며 국민기초생활수급자수율은 6.15%로 서울시 평균 3.72%보다 높다.
-
2. 지역사회 건강행위 및 질병 이환중랑구의 흡연율은 20.2%로 서울시 16.6%보다 높으며 서울시 2위이다. 음주율은 59.5%로 5위이고, 고위험음주율은 16.6%로 2위이다. 비만유병률은 36.3%로 서울시 1위로 매우 높다. 고혈압 진단 경험률은 26.6%, 당뇨병은 14.0%로 서울시 평균보다 높으며, 특히 60~70대에서 높게 나타난다. 우울감 경험률은 7.7%로 서울시 6.3%보다 높고, 자살 사망률은 24.3명으로 노인 자살률이 1위이다.
-
3. 지역사회 의료자원 및 환경중랑구의 인구 천명당 의료기관 병상수는 8.20개로 서울시 12위이며, 의사수는 2.70명으로 20위이다. 노인여가복지시설은 천명당 1.40개로 부족한 상태이다. 상수도 및 하수도 보급률은 100%이고, 일반폐기물 재활용률은 67.10%로 전국 평균보다 높다. 거주 주택 만족도는 2.71/4점, 거주 환경 만족도는 2.72/4점으로 낮으며, 지역안전등급은 3등급이다.
-
4. 지역사회 간호진단 및 우선순위지역사회 간호진단은 높은 당뇨 유병률(1순위, 3.4점), 높은 자살률(2순위, 2.7점), 높은 흡연율 및 음주율(3순위, 3.1점)로 설정되었다. 1순위 간호진단인 높은 당뇨 유병률을 중심으로 2022년 6월부터 2023년 6월까지 당뇨병 유병률을 3% 감소시키는 목표를 설정하고, 당뇨 교육 프로그램, 건강검진, 신체활동 증진, 취약계층 예방관리 등의 수행계획을 수립했다.
-
1. 지역사회 인구학적 특성지역사회의 인구학적 특성 파악은 효과적인 보건정책 수립의 기초입니다. 연령, 성별, 교육수준, 소득 등의 인구통계학적 정보는 지역사회의 건강 수준과 의료 수요를 예측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특히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노인 인구의 증가는 만성질환 관리와 장기요양 서비스 수요 증가를 의미합니다. 또한 인구 이동, 다문화 가정 증가 등 변화하는 인구 구조를 정확히 파악하면 맞춤형 보건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집니다. 따라서 정기적인 인구통계 조사와 분석을 통해 지역사회의 특성을 이해하고 이에 맞는 간호중재를 계획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지역사회 건강행위 및 질병 이환지역사회 주민의 건강행위와 질병 이환 현황은 공중보건 개입의 방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흡연, 음주, 운동 부족, 부적절한 식습관 등의 건강위험행위는 심뇌혈관질환, 당뇨병, 암 등 만성질환의 주요 원인입니다. 지역사회 주민의 건강행위 패턴을 파악하면 예방 중심의 보건교육과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기획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질병 이환률 조사를 통해 지역사회의 주요 건강문제를 파악하고 우선순위를 정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정보는 지역사회 간호사가 일차예방, 이차예방, 삼차예방 활동을 체계적으로 수행하는 데 근거가 됩니다.
-
3. 지역사회 의료자원 및 환경지역사회의 의료자원과 환경은 주민의 건강 접근성과 건강 결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의료기관의 수와 종류, 의료인력, 의료장비 등의 의료자원 현황을 파악하면 의료 공급의 불균형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특히 농촌 지역의 의료 접근성 문제는 심각한 보건 불평등을 야기하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한 정책이 필요합니다. 또한 물, 공기, 토양 오염 등 환경요인과 주거환경, 교통 안전 등 물리적 환경도 지역사회 건강에 영향을 줍니다. 따라서 의료자원의 효율적 배분과 환경 개선을 통해 모든 주민이 양질의 보건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4. 지역사회 간호진단 및 우선순위지역사회 간호진단은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지역사회의 건강문제를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명확히 표현하는 과정입니다. 간호진단을 통해 실제 건강문제, 잠재적 건강문제, 건강증진 기회를 구분할 수 있습니다. 우선순위 결정은 문제의 심각성, 영향받는 인구 규모, 해결 가능성, 지역사회의 요구도 등을 고려하여 이루어져야 합니다. 제한된 자원 속에서 최대의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우선순위 설정이 필수적입니다. 또한 지역사회 주민, 보건의료 전문가, 지역 지도자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수렴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하면 지역사회 중심의 효과적인 간호중재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
중랑구보건소 2022년 지역사회간호과정 (사정 및 간호진단까지) 58페이지
[지역사회간호학 실습]교 과 목지역사회간호학 실습실습기관중랑구 보건소실습기간2022.05.02. ~2022.05.20.제출자제출일2022년 05월 19일지도교수교수님PO/ 능력단위코드대 학교 간 호 학 과Ⅰ. 사정1. 지역사회 간호사정 11) 지역사회 특성 92) 인구학적 특성 113) 지역사회 자원 및 환경적 특성 204) 건강수준 및 건강행위 262. 자료 분석 및 요약 42II. 진단1. 간호진단 분류체계 532. 우선순위 설정 561) 간호진단 우선순위 (3개) 562) BPRS 56III. 계획1) 목표설정 572) 수행계...2022.05.30· 58페이지 -
지역사회간호과정 적용-지역보건의료계획 중랑구 11페이지
2019년도 2학기지역사회간호학지역사회간호과정 적용-지역보건의료계획중랑구학 번분 반이 름교 수제출일Ⅰ. 지역사회간호 사정Stanhope, Lancaster (2008) 사용1. 지역사회 (위치)중랑구 면적 : 18.5㎦ (서울 특별시 면적 605.25㎦에서 3.27% 차지)주거지역 : 10.6㎦(57.4%)녹지지역 : 7.6㎦(40.8%)상업지역 : 0.3㎦(1.8%)주변 접경지역동 쪽 : 경기도 구리시 서 쪽 : 서울시 성북구, 동대문구, 성동구남 쪽 : 서울시 광진구 북 쪽 : 서울시 노원구, 강북구지역사회의 위치(개황도)중랑구...2021.03.08· 11페이지 -
중랑구보건소 지역보건의료계획보고서(간호진단3개) 29페이지
지역보건의료계획중랑구 보건소?목차1단계. 자료수집 및 분석1) 지역 개요 및 환경2) 인구현황3) 건강수준 및 건강행태4) 보건의료자원 현황5) 의료이용 현황2단계. 지역사회간호 진단3단계 . 지역사회간호 기준 및 지침4단계. 지역사회간호 진단의 우선순위 설정5단계. 일반적 목표 설정6단계. 구제적 목표 설정7단계. 수행및 평가계획1) 구체적 목표2) 집행계획3) 평가계획1단계. 자료수집 및 분석1) 지역 개요 및 환경· 지역개요: 지역사회의 위치(개황도), 교통, 역사, 특성, 주요변화, 주거환경- 중랑구 지도(도시환경)- 서울의...2021.03.02· 29페이지 -
중랑구 제7기 지역보건의료계획 요약정리 -사정,진단,평가계획까지 10페이지
I. 사정1. 지역사회 간호사정 11) 지역사회 현황분석12) 인구현황 23) 건강자원 환경 24) 보건의료자원 현황 22. 자료 분석 및 요약31) 건강 특성32) 주요지표 현황 비교 분석4II. 진단 5III. 계획1. 진단1: 지역사회 중심 통합적 만성질환 예방관리체계 구축 51) 사업목표52) 사업대상53) 주요내용52. 진단2: 자살예방 및 정신건강 돌봄 체계 강화 61) 사업목표62) 사업대상63) 주요내용6IV. 평가계획1. 지역사회 중심 통합적 만성질환 예방관리체계 구축 성과지표 72. 자살예방 및 정신건강 돌봄 체계...2021.10.06· 10페이지 -
지역사회 간호과정 - 동대문구 13페이지
지역사회간호과정학과 / 학년 / 반학번이름제출일과목지역사회간호학 실습ⅠⅠ. 지역사회 사정1) 지역사회 단위로 간호문제 사정① 인구 및 일반적 특성- 총 15개 동- 2020년 동대문구 노인 인구 61,470명 (일반 인구대비 17.9 %) → 고령사회 (Aged Society)- 2021년 기준 / 167,754가구 337,538명 ⇒ 남자 166,842명, 여자 170,696명② 건강 수준20182020기대수명 및 건강수명-서울시 자치구 대비 낮은 편흡연율17.8%16.2%금연 시도율22%46.6%65세 이상 치매 환자8.30%8...2022.02.04· 13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