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미생물과 간호: 숙주와 미생물의 상호관계
본 내용은
"
감염미생물과 간호 과제 <숙주와 미생물의 상호관계- 2. 감염과 감염증>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2.20
문서 내 토픽
-
1. 감염성 질병의 경과감염성 질병은 잠복기, 전구기, 질병기, 회복기의 단계를 거친다. 잠복기는 병원체의 독력과 수, 숙주의 면역상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전구기는 특이적이지 못하나 전염성이 높다. 질병기는 질병이 가장 심하고 특징적인 증후와 증상이 나타나는 단계로 염증이 발생하며 통증, 발열, 발적, 종창과 기능장애가 나타난다. 회복기는 증후와 증상이 사라지는 시기이다.
-
2. 감염경로와 전파감염경로는 공기매개 전파, 접촉성 전파, 운반체 전파, 매개자 매개 전파로 분류된다. 공기매개 전파는 수두, 홍역, 코로나, 메르스 등이 있고, 접촉성 전파는 직접 및 간접적 접촉으로 전파되며 입맞춤, 상처 접촉, 수유, 태반, 성적 접촉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매개자 매개 전파는 주로 절지동물과 척추동물이 관여한다.
-
3. 외독소와 내독소외독소는 병원성 미생물이 증식할 때 균체 밖으로 분비되는 열에 약한 수용성 단백질로, 주로 그람양성세균에 의해 생산되며 디프테리아균, 파상풍균, 보툼리눔균 등이 대표적이다. 내독소는 그람음성세균의 세포벽 외막에 있는 지질다당체로, 외독소와 달리 내열성이고 면역성이 약하다.
-
4. 특이적 감염 방어기전특이적 감염 방어기전은 자연능동면역, 자연수동면역, 획득능동면역, 획득수동면역으로 분류된다. 자연능동면역은 균이나 바이러스 침투 시 스스로 회복하는 과정이고, 자연수동면역은 임신 시 모체 항체가 태반을 통해 태아에게 전달되거나 모유수유 시 항체가 전달된다. 획득능동면역은 예방접종이고, 획득수동면역은 파상풍 주사 등이다.
-
5. 정기예방접종 시기B형간염은 생후 0, 1, 6개월에 3회 기초접종하고, BCG(결핵)는 생후 4주 이내에 1회 접종한다. 폴리오와 DTaP는 생후 2, 4, 6개월에 3회 기초접종하며, MMR과 수두예방접종은 생후 12~15개월에 실시한다. 접종 순서는 B형간염, BCG, 폴리오/DTaP, MMR/수두 순이다.
-
1. 감염성 질병의 경과감염성 질병의 경과는 병원체의 특성과 숙주의 면역 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일반적으로 잠복기, 전구기, 임상증상기, 회복기의 단계를 거치며, 각 단계에서 환자의 증상과 전염성이 달라집니다. 질병의 경과를 이해하는 것은 적절한 진단 시기와 치료 방법을 결정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또한 질병의 자연 경과를 파악함으로써 합병증 발생을 예방하고 환자의 예후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감염성 질병마다 특이적인 경과 양식이 있으므로, 의료진은 각 질병의 특성을 정확히 인식하고 환자 관리에 반영해야 합니다.
-
2. 감염경로와 전파감염경로와 전파 방식의 이해는 감염병 예방 및 관리의 핵심입니다. 호흡기 비말, 접촉, 혈액, 음식물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질병이 전파되며, 각 경로별로 차별화된 예방 전략이 필요합니다. 감염경로를 정확히 파악하면 격리 방법, 개인보호장비 사용, 환경 소독 등의 감염 관리 조치를 효과적으로 수립할 수 있습니다. 특히 신종 감염병의 경우 전파 경로 규명이 초기 대응의 성패를 좌우합니다. 일반 대중도 감염경로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통해 개인 위생 관리와 예방 행동을 실천할 수 있으므로, 공중보건 교육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합니다.
-
3. 외독소와 내독소외독소와 내독소는 병원체가 생성하는 독성 물질로서 감염성 질병의 증상과 중증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외독소는 그람양성균이 분비하는 단백질 독소로 매우 강력한 독성을 가지며, 내독소는 그람음성균의 세포벽 성분으로 염증 반응을 유발합니다. 두 독소의 작용 기전과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항독소 치료, 항생제 선택, 그리고 패혈증 관리에 필수적입니다. 외독소에 대한 백신 개발이 가능한 반면, 내독소는 구조적 다양성으로 인해 백신 개발이 어렵습니다. 따라서 임상의는 각 독소의 특성을 고려하여 환자 치료 전략을 수립해야 합니다.
-
4. 특이적 감염 방어기전특이적 감염 방어기전은 적응 면역계가 특정 병원체에 대해 발동하는 정교한 방어 체계입니다. T세포와 B세포를 중심으로 한 세포성 면역과 체액성 면역이 협력하여 병원체를 제거하고 면역 기억을 형성합니다. 항체 생성, 세포독성 T세포의 활성화, 기억세포의 형성 등의 과정을 통해 재감염으로부터 보호됩니다. 이러한 특이적 방어기전의 효율성은 병원체의 특성, 감염 경로, 그리고 숙주의 면역 상태에 따라 달라집니다. 예방접종은 이 특이적 방어기전을 사전에 활성화하여 실제 감염 시 신속한 면역 반응을 가능하게 하므로, 감염병 예방의 가장 효과적인 수단입니다.
-
5. 정기예방접종 시기정기예방접종 시기는 과학적 근거에 기반하여 최적의 면역 반응을 유도하도록 설정됩니다. 영유아기부터 성인까지 연령별로 체계적인 접종 일정이 수립되어 있으며, 각 백신의 효과와 안전성을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모체 항체의 소실 시기, 면역계의 성숙도, 질병의 위험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접종 시기가 정해집니다. 정기예방접종 일정을 준수하는 것은 개인의 건강 보호뿐만 아니라 집단 면역을 형성하여 감염병 확산을 방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따라서 보호자와 의료진은 정기예방접종 일정을 정확히 이해하고 실천하여 국가 감염병 관리 목표 달성에 기여해야 합니다.
-
감염미생물과 간호 3주차 과제 <미생물의 형태과 구조(진균,기생충)> 5페이지
감염미생물과 간호 3주차 과제과목: 감염미생물과 간호교수님:학과:학번:이름:감염미생물과 간호 3주차 과제1.진균의 특징은 무엇들이 있나요?-> 우리가 흔히 곰팡이(단세포)라고 부르는 진균(fungi)은①독립생활을 하며 증식을 위하여 숙주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균,바이러스는 숙주가 꼭 있어야 증식가능)②뿌리, 줄기, 잎 등이 분화되지 않은 간단한 구조이다.③광합성을 담당하는 엽록소가 없다.④단세포인 효모(yeasts)와 사상형(filament)인 털 곰팡이, 버섯 등을 포함한다.⑤진균은 발육양식에 따라 접합균류, 자낭균류, 담자균...2023.02.18· 5페이지 -
[병원 미생물학과 감염관리]감염의 정의, 간호감염관리, 질환2가지 정리본입니다. 15페이지
1. 감염1) 감염의 정의(1) 감염: 병원체가 다양한 경로로 침입해 증식하는 상태로 보통 사람을 포함해병원체가 숙주의 표면, 세포, 체액, 조직 및 기관에 정착하여 증식하는 것을 말한다.(2) 발병: 감염의 결과로 숙주의 정상적인 조직형태 등 이상이 생기는병의 시작을 말한다.발병은 병에 따라서는 상당히 병이 진전된 후에 처음으로 알게되는 경우도 있다.(3) 감염병: 이렇듯 그로 인해 발명된 질병을 감염병이라 한다. 감염병은 대체적으로특징적 질병의 증상과 징후를 나타낸다. 병원감염은 입원 당시는 아무 증상도나타나지 않고 감염증의 잠...2021.09.30· 15페이지 -
[지역사회간호학] 지역 국제보건의 이해 ppt 발표자료, Quiz 15페이지
지역사회건강간호학 국제보건의 이해 역학의 이해 질병의 자연사와 예방수준 건강검진의 진단검사목차 국제보건기구 역학의 이해 질병의 자연사와 예방수준 질병발생 모형 QUIZ Q A국제보건기구 세계보건기구 (World Health Organization , WHO) 목표 : 범세계적인 보건수준 향상 ( 모든사람에게 최상의 건강) 1948년 국제연합의 보건전문기관으로 정식 발족 1949년 우리나라는 65번째 가입 (서태평양본부-필리핀 마닐라) 본부 : 스위스 제네바 국제연합아동구호기금 (United Nations International C...2023.09.11· 15페이지 -
A+ 패혈증 질병고찰 10페이지
성인간호학실습질병고찰- Sepsis 패혈증 관리-목 차Ⅰ. 정의 및 원리 31. 정의 32. 미생물 감염의 과정33. 원인 및 적응증44. 병태생리45. 증상56. 진단검사6Ⅱ. 합병증 7Ⅲ. 치료 8Ⅳ. 간호 9Ⅴ. 예방 10Ⅵ. 참고문헌 10Ⅰ. 정의 및 원리1. 정의패혈증(sepsis)중증감염질환으로 미생물에 감염되어 전신에 심각한 염증 반응이 나타나는 상태를 말한다. 체온이 38도 이상으로 올라가는 발열 증상 혹은 36도 이하로 내려가는 저체온증, 호흡수가 분당 24회 이상으로 증가(빈호흡), 분당 90회 이상의 심박수(빈맥...2025.02.25· 10페이지 -
간호 미생물학 노트정리 24페이지
Ch1. 간호미생물학의 소개**이장에서 배울 내용-간호 미생물학을 배우는 목적-병원성 미생물학의 역사적 사건-병원성 미생물을 바이러스, 세균, 진균으로 나누어 특징을 설명-미생물과 사람의 상호관계를 설명1, 병원성 미생물1)세균: bacteria ->단세포 원핵생물, 세포벽-‘단세포 원핵생물’: 핵막, 미토콘드리아, 골지체, 소포체 등의 소기관이 없으며 무성생식으로 증식한다.-‘세포벽’은 가지고 있다: 그람양성균(G+)은 두꺼운 펩티도글리칸 그람음성균(G-)는 가는 펩티도글리칸+외막으로 구성2)바이러스: virus -> DNA, R...2021.04.28· 24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