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 자아방어기제 관찰 및 기록-전치,억제, 부정, 저항, 승화, 행동화, 합리화 등
본 내용은
"
A+ 자아방어기제 관찰 및 기록-전치,억제, 부정, 저항, 승화, 행동화, 합리화 등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3.04
문서 내 토픽
-
1. 전치(displacement)중재하는 치료진에게 화가 나 벽에 화풀이하는 전이 현상이 관찰됨. 이는 자아방어기제의 하나로, 실제 대상에게 표현하기 어려운 감정을 다른 대상에게 전이시키는 현상을 말한다.
-
2. 억제, 부정, 저항환청이 있으세요? 들리는 내용이 뭐예요?라는 질문에 대해 대상자가 '딱히 없는데요. 혼잣말 하는 게 그냥 습관이어서, 생각해서 하는 말도 있고 저도 모르게 말이 나올 때도 있나봐요. 딱히 들리는 소리는 없어요. 예전에도 무슨 소리가 들린다던지 그런 적은 없었음'이라고 대답한 것은 자아방어기제 중 하나인 부정을 사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바람직하지 못한 생각과 충동에 대한 신중한 통제로서 개인의 의식적 의도를 가진 의식적인 과정이며, 면담 시 대상자가 긴장 완화를 위해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자아를 보호하고자 하는 무의식적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
1. 전치(displacement)전치(displacement)는 물체가 원래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물리학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이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예를 들어 기계 설계, 건축, 지질학 등에서 전치 개념이 사용됩니다. 전치는 물체의 운동을 이해하고 예측하는 데 필수적이며, 이를 통해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전치는 에너지 전환, 힘의 작용, 관성 등 다른 물리적 개념과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전치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는 물리학을 비롯한 여러 분야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
2. 억제, 부정, 저항억제, 부정, 저항은 인간의 행동과 심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억제는 부적절한 행동이나 충동을 통제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사회적 규범을 준수하고 타인과의 관계를 유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부정은 현실을 받아들이기 어려운 상황에서 나타나는 심리적 방어기제로, 일시적으로 문제를 회피할 수 있게 해줍니다. 저항은 변화나 압력에 대한 반발로, 개인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지키려는 노력입니다. 이러한 심리적 기제들은 때로는 건강한 대처 방식이 될 수 있지만, 과도하거나 부적절하게 사용될 경우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균형 잡힌 이해와 적절한 활용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