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판성형 해석지침(자동차산업,표준)
본 내용은
"
05-341-Q, 박판성형 해석지침(자동차산업,표준)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3.05
문서 내 토픽
  • 1. 박판성형해석
    박판의 재료를 성형하는 일련의 공정을 컴퓨터와 상용화된 software 등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함으로써 제품의 성형성을 예측, 평가하는 활동을 말한다. 이를 통해 제품과 공정 설계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 2. 아이템 구분
    A급 PART는 고객사 사급 아이템으로 대형 주물 금형을 사용하는 PART이며, B급 PART는 자체 제작 아이템으로 주물 금형을 사용하여 생산하는 PART, C급 PART는 자체 제작 아이템으로 STEEL 금형을 사용하여 생산하는 PART이다.
  • 3. 성형해석 관련 TOOL
    AutoForm, PAM-STAMP, HyperMesh, OPTI-NEST 등의 상용화된 소프트웨어가 사용된다. 각 TOOL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해석 방법을 선택하여 사용한다.
  • 4. 해석 절차
    성형해석 의뢰, 해석 TOOL 선정, 해석 대상 Modeling 및 Mesh Generation, 해석 조건 설정, Solving, 해석결과의 검증, 해석보고 등의 단계로 진행된다. 각 단계에서 적절한 방법과 기준을 적용하여 체계적으로 수행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주제2: 아이템 구분
    아이템 구분은 제품 개발 및 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한 과정입니다. 제품의 특성, 용도, 생산 공정 등에 따라 아이템을 체계적으로 구분하면 효율적인 관리와 의사결정이 가능해집니다. 아이템 구분은 제품 정보 관리, 재고 관리, 생산 계획 수립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예를 들어 제품의 특성에 따라 원자재, 부품, 완제품 등으로 구분하고, 용도에 따라 표준품, 주문품 등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또한 생산 공정에 따라 주조품, 단조품, 절삭품 등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체계적인 아이템 구분은 제품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고,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