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감염관리체크리스트-멸균 및 소독물품, 세탁물, 손씻기 활동, 접촉격리 수행조사
본 내용은
"
감염관리체크리스트-멸균 및 소독물품, 세탁물, 손씻기 활동, 접촉격리 수행조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3.02
문서 내 토픽
-
1. 멸균 및 소독물품 관리멸균(소독)시행여부, 멸균(소독)방법, 화학적지시계 부착여부, 멸균번호기재, 유효기간기재, 유효기간준수여부, 보관상태 적정성 등을 점검하여 멸균 및 소독물품이 적절하게 관리되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
2. 세탁물 관리사용 후 세탁물 수집장소의 별도구획 여부, 오염세탁물과 기타세탁물의 분리수집여부, 오염세탁물 수집용기의 적합성, 오염세탁물/기타세탁물 구분운반 등을 점검하여 세탁물이 적절하게 관리되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
3. 손씻기 활동정맥주사 전, 소변백 비우고 난 후 등 주요 시점에서의 손씻기 수행도를 5회 관찰하여 손위생 활동이 적절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
4. 접촉격리 수행VRE 접촉격리 시행여부, 격리형태, 격리표지 부착여부, 격리환자를 위한 준비물품 구비 여부, 격리실 의료진의 보호구 착용 여부, 격리실에서 나오기 전 손씻기 여부 등을 점검하여 접촉격리가 적절하게 수행되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
1. 멸균 및 소독물품 관리멸균 및 소독물품 관리는 의료 환경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이는 환자와 의료진의 안전을 보장하고 감염 예방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멸균 및 소독 절차를 엄격히 준수하여 의료기기와 환경을 철저히 관리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관련 법규와 지침을 숙지하고, 전문 인력을 배치하며, 주기적인 교육과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또한 멸균 및 소독 장비와 시설의 적절한 관리와 유지보수가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의료기관 내 감염 위험을 최소화하고 환자와 의료진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
2. 세탁물 관리세탁물 관리는 의료기관 내 감염 예방을 위한 핵심 요소입니다. 오염된 세탁물의 적절한 수집, 운반, 세탁, 보관 등의 과정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관련 법규와 지침을 준수하고, 전문 인력을 배치하며, 주기적인 교육과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또한 세탁 시설과 장비의 적절한 관리와 유지보수가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의료기관 내 감염 위험을 최소화하고 환자와 의료진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
3. 손씻기 활동손씻기는 감염 예방을 위한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의료기관에서는 손씻기 활동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 관련 지침을 마련하고 교육을 실시해야 합니다. 의료진뿐만 아니라 환자와 방문객 모두가 올바른 손씻기 방법을 숙지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또한 손씻기 시설과 용품을 충분히 제공하고, 주기적인 모니터링과 피드백을 통해 손씻기 활동을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야 합니다. 이를 통해 의료기관 내 감염 예방과 환자 안전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
4. 접촉격리 수행접촉격리는 감염 위험이 높은 환자를 관리하기 위한 중요한 감염 예방 조치입니다. 의료기관에서는 관련 지침을 마련하고 이를 엄격히 준수해야 합니다. 접촉격리 수행을 위해서는 전용 병실 사용, 개인보호장비 착용, 손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