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화계몽시대 신소설 작품 분석 (1907-1908)
본 내용은
"
[A+] 국문학사 작품정리 (개화계몽시대~1930년)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1.08
문서 내 토픽
-
1. 애국부인전 (장지연, 1907)장지연이 저술한 신소설로 1907년 광학서포에서 순국문으로 간행되었다. 프랑스 백년전쟁 당시 여성 영웅 잔 다르크의 일생을 회장체 구성으로 서술한 작품이다. 가난한 농가의 외동딸로 태어난 잔 다르크가 영국의 침략으로 위기에 처한 프랑스를 구하기 위해 전쟁터에 나가 싸우다 포로가 되어 화형에 처해진다는 내용으로, 일제와 한국의 현실을 우의적으로 드러낸다. 평범한 여성으로 그려진 잔 다르크를 통해 남녀의 동등의식을 표현하며, 외세 침략 위기 속 한국민들에게 경각심과 애국심을 고취하려는 목적이 분명하다.
-
2. 을지문덕 (신채호, 1908)신채호가 저술한 한문 투의 국한문체 전기로, 고구려 장군 을지문덕의 행적을 서술한다. 서론, 본론, 결론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서론에서는 을지문덕 당대 고구려의 국가적 형세를 설명하고, 본론에서는 그의 지략, 기개, 용맹, 충성심을 상세히 기술한다. 결론에서는 을지문덕의 위대한 인격과 공적을 찬양한다. 역사 속 영웅의 행적을 통해 새로운 민족적 영웅의 출현을 기대하는 저술의도를 담고 있다.
-
3. 수군제일위인이순신전 (신채호, 1908)신채호가 대한매일신보에 연재한 작품으로, 내용과 구성면에서 완결된 형태를 갖추고 있다. 위기에 처한 국가와 민족을 구출하는 구국적인 영웅상을 중심으로 전개되며, 개화계몽시대의 민족의식과 애국정신을 반영한 영웅전기이다.
-
4. 개화계몽시대 신소설의 특징1907-1908년 개화계몽시대의 신소설들은 외국 작품의 직역이 아닌 창작적 재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회장체 구성과 고전소설의 상투적 표현을 활용하면서도 현실의 정치적 상황을 우의적으로 드러낸다. 평범한 인물을 영웅으로 그려내고 남녀의 동등의식을 표현하는 등 개화계몽담론의 특성을 반영한다. 외세 침략 위기 속에서 민족의식 고취와 애국심 강화를 목적으로 하는 목적의식이 분명하다.
-
1. 주제1 애국부인전 (장지연, 1907)애국부인전은 한국 신소설 초기의 중요한 작품으로, 장지연이 여성 독자층을 대상으로 애국심과 도덕성을 고취하기 위해 창작했습니다. 이 작품은 여성 인물을 중심으로 국가 위기 상황에서의 헌신과 희생을 그려냄으로써, 당시 남성 중심의 애국담론에 여성의 역할을 포함시킨 진보적 시도였습니다. 특히 개화계몽기 여성 교육과 계몽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도 전통적 도덕성을 유지하려는 이중적 태도를 보여줍니다. 다만 현대적 관점에서는 여성을 국가 이념의 도구로 활용하는 한계가 있으나, 당시 시대상황에서 여성 주체성을 드러낸 의미 있는 작품이라 평가됩니다.
-
2. 주제2 을지문덕 (신채호, 1908)신채호의 을지문덕은 역사적 영웅을 소재로 한 신소설로, 민족의식과 저항정신을 고취하기 위한 목적으로 창작되었습니다. 을지문덕이라는 역사적 인물을 통해 외세의 침략에 맞서는 지략과 용맹함을 강조함으로써, 일제강점기 직전의 시대에 민족적 자존심과 저항의식을 고양하려 했습니다. 신채호의 역사소설은 단순한 오락물을 넘어 정치적 메시지를 담은 계몽 도구로 기능했으며, 이는 개화계몽기 신소설의 사회적 역할을 잘 보여줍니다. 역사적 사실과 창작의 경계를 넘나드는 특징도 주목할 만합니다.
-
3. 주제3 수군제일위인이순신전 (신채호, 1908)신채호의 수군제일위인이순신전은 이순신 장군을 영웅으로 추앙하는 신소설로, 민족적 위기 상황에서의 지도자상을 제시합니다. 이 작품은 이순신의 군사적 능력과 도덕적 품격을 강조함으로써, 당시 식민지 상황에서 필요한 지도자의 자질을 간접적으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신채호는 역사적 인물을 통해 민족 저항의 정당성과 가능성을 보여주려 했으며, 이는 계몽적 목적을 가진 신소설의 전형적 특징입니다. 다만 역사적 사실의 왜곡이나 과장이 있을 수 있으나, 당시 민족의식 고취라는 시대적 요구에 부응한 의미 있는 작품입니다.
-
4. 주제4 개화계몽시대 신소설의 특징개화계몽시대 신소설은 전통 고소설과 서구 소설의 영향을 받아 새로운 형태의 문학으로 등장했습니다. 이 시기 신소설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강한 계몽적·교육적 목적으로, 신문과 잡지를 통해 대중에게 근대적 가치관과 민족의식을 전파하려 했습니다. 역사적 인물이나 사건을 소재로 하면서도 창작의 자유도를 누렸으며, 여성 독자층의 확대에 따라 여성 중심의 작품도 증가했습니다. 또한 국문 사용의 확대로 문해율 향상에 기여했으며, 근대 소설로의 과도기적 특성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신소설들은 단순한 오락물을 넘어 근대 민족국가 형성에 필요한 이념과 가치관을 전파하는 중요한 매체였습니다.
-
혈의누 작품군 이념성 ∙ 흥미성의 관계 4페이지
「혈의 누」라는 이름의 작품군 : 이념성 ∙ 흥미성의 관계강 의 명 : 문학이론연구1. 이인직과 신소설의 형성2. 정치소설의 결여형식3. 이념성과 흥미성의 균형감각4. 이념성과 흥미성의 균형붕괴 현상1. 이인직과 신소설의 형성(1)급진개화파의 반봉건의식과 친일적 경향 - 이인직이인직(李人稙, 1862~1916, 호는 국초)은 경기도 이천 출신으로서 1900년 대한제국 정부의 관비 유학생으로 일본에 가 동경정치학교 청강생으로 3년간 수학하고, 러일전쟁 때에는 일본 육군성 한어(韓語) 통역관으로 종군, 귀국했다. 1906년 일진회의 기...2014.12.18· 4페이지 -
안국선 금수회의록 분석 2페이지
현대소설 작품읽기 Study Group. 이문구, ?화무십일(花無十日)? 국어교육과현대소설 작품읽기 Study Group. 안국선, ?금수회의록?「금수회의록」(1908) - 안국선1. 안국선(1878~1926)의 생애호는 천강(天江)?농구실주인(弄球室主人). 1878년 12월 5일 경기도 안성 출생. 16세까지 향리에서 한학을 수학한 후 1895년 관비유학생으로 도일하여 도쿄전문학교에서 정치학을 수학했다. 귀국 후 독립협회에 가담하여 애국계몽운동을 펼치다가 1896년 독립협회 해산과 함께 체포되어 참형 선고를 받고 진도로 유배되기도...2013.02.23· 2페이지 -
이광수 무정을 중심으로한 소설의 역할과 기능 리포트 5페이지
이광수 소설의 역할과 기능-이광수『무정』을 중심으로1. 머리말2. 시대적 배경과문단의 상황3. 이광수『무정』줄거리4.『무정』에 나타나는 소설의 역할과 기능(1)표현론적 관점(2)모방론적 관점(3)효용론적 관점(4)존재론적 관점5.이광수『무정』의 제목과 소재가 갖는 의미6.맺음말참고문헌1. 머리말소설의 역할은 소설이라는 문학 장치를 존재 가능하게 하는 3가지 요소, 즉 작가, 작품, 독자에 있어서 효용이나 기능의 문제로 수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작가에 대한 소설의 역할과 소설작품의 인식론적 역할과 독자에 대한 소설의 역할로...2013.12.06· 5페이지 -
이인직 혈의 누 분석 3페이지
현대소설 작품읽기 Study Group. 이인직, 혈의 누혈(血)의 누(淚) - 이인직1. 이인직(1862~1916)의 생애호는 국초(菊初). 경기도 음죽 출생. 1900년 관비유학생으로 일본 도쿄정치학교에서 수학, 일본 미야코 신문 견습생으로 연수 받음. 귀국 후 러일전쟁 당시 일본 육군성 한국어 통역관으로 종군. 일진회 기관지 국민신보 창간을 주도하여 주필 역임. 만세보 주필로 있으면서 만세보 에 신소설 ?혈의 누?, ?귀의 성? 연재. 1907년 대한신문 사장에 취임하고 이완용의 비서로 활동. 1908년 ?은세계? 상편을 출간...2013.01.05· 3페이지 -
신채호 꿈하늘 분석 2페이지
현대소설 작품읽기 Study Group. 이문구, ?화무십일(花無十日)? 국어교육과현대소설 작품읽기 Study Group. 신채호, ?꿈하늘?「꿈하늘」(1916) - 신채호1. 신채호(1880~1936)의 생애1880년 충북 청주 산동에서 출생했다. 1907년 신민회에 가입했고, 1910년 블라디보스토크로 망명했다. 1919년 상해임시정부에서 활동했고, 1926년에는 동방아나키스트 연맹에 가담했다 1929년 일제에 피검되어 1936년 2월 21일에 옥사했다. 신채호는 개화기의 독립운동가이며 사상가로서 더욱 많이 알려져 있다. 그의 ...2013.02.23· 2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