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garose gel Electrophoresis 결과레포트
본 내용은
"
Agarose gel Electrophoresis 결과레포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9.22
문서 내 토픽
-
1. Agarose gel Electrophoresis이번 실험의 목적은 실험2에서 진행된 PCR product를 전기영동해 분리하고 분석하는 것이었습니다. 1000bp가 가장 이상적인 값이었지만, 8개 샘플 중 6개만 1000bp와 비슷한 곳에 나타났고 나머지 2개는 전혀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이는 2개 샘플의 DNA 농도가 상대적으로 낮아서 그런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약간의 끌림 현상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DNA가 깨졌거나 농도가 너무 높아서 생긴 것으로 보입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annealing 온도 조절, DNA 농도 낮추기, 겔에 거는 샘플의 양 줄이기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1. Agarose gel ElectrophoresisAgarose gel electrophoresis is a widely used technique in molecular biology and genetics for the separation and analysis of DNA, RNA, and protein molecules. This method relies on the principle that charged molecules will migrate through a porous agarose gel matrix when an electric field is applied, with the rate of migration being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size of the molecules. The process of agarose gel electrophoresis involves several steps. First, the sample containing the molecules of interest is loaded into wells created in the agarose gel. An electric current is then applied, causing the charged molecules to move through the gel matrix. Smaller molecules will migrate faster than larger ones, resulting in the separation of the different components of the sample. One of the key advantages of agarose gel electrophoresis is its ability to provide a visual representation of the separation, allowing researchers to easily identify and quantify the different components of the sample. This technique is particularly useful in applications such as DNA fingerprinting, gene expression analysis, and the purification of specific DNA fragments for further study. Furthermore, agarose gel electrophoresis is a relatively simple and cost-effective method, making it accessible to a wide range of research laboratories and educational settings. The technique can be easily adapted to suit different experimental needs, such as the analysis of different types of biomolecules or the use of specialized staining methods to visualize the separated components. Overall, agarose gel electrophoresis remains an essential tool in the field of molecular biology, providing researchers with a powerful and versatile method for the separation and analysis of a wide range of biomolecules. As technology continues to advance, it is likely that this technique will continue to play a crucial role in the advancement of our understanding of biological systems and the development of new applications in fields such as biotechnology and medicine.
-
대학생물학및실험1 Agarose gel 만들기 및 DNA electrophoresis(전기영동) 실험 레포트 9페이지
결과 레포트Agarose gel 만들기 및 DNA electrophoresis- 10주차 -대학생물학및실험1교수님조교학번이름대학생물학 및 실험 1Ⅰ. Title : Agarose gel 만들기 및 DNA electrophoresisⅡ. Date : 2022/05/09Ⅲ. Name :Ⅳ. Purpose : 전기영동의 의미를 이해하고 DNA의 크기 및 구조에 따른 결과차이를 이해한다. Agarose gel에 DNA와 loading dye를 넣고 전기를 걸어주면 DNA는 인산기 때문에 매질을 타고 양전하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때 움...2023.12.24· 9페이지 -
유전학실험레포트_Human DNA extraction & Agarose gel electrophoresis(전기영동결과 사진有). 전기영동 방법의 종류, 6페이지
Ⅰ. Abstract생물체의 유전물질인 DNA는 그 유전성과 특성으로 인해 생물의 연구분야에서 가장 관심 있는 분야중 하나이며 이에 대한 연구는 생물학에 큰 기여를 함에 틀림없다. 이번 실험을 통해 구강상피세포에서 DNA를 추출 하고 agarose 겔 전기영동의 결과를 관찰하여 구강상 피세포의 DNA 크기를 알아보려 했다. 구강상피세포를 면봉으로 추출하여 균질화 한 뒤, genomic extraction buffer, PCI, sodium aacetate, isopropanol등을 이용하여 DNA를 추출 한다. centrifuge와...2021.03.18· 6페이지 -
생화학실험 만점(A+) 실험 보고서(레포트) 7. plasmid DNA electroporesis 5페이지
생화학실험 REPORT 제목: plasmid DNA electroporesis 날짜: 24.11.04 실험 목적: 박테리아로부터 분리한 plasmid DNA를 agarose gel 전기영동을 통해 확인한다. 실험 재료 및 기구: Plasmid DNA, Power supply, 전기영동 장치, 마이크로 피펫과 팁 ( Micropipette & Tip 20, 1.5ml tube ( EP tube ) 1조 당 1개, DNA loading dye, DNA staining solution, 100 ml 삼각플라스크, 아가로즈, 아가로즈 겔 ...2025.02.28· 5페이지 -
서울대학교 단학기 생물학실험 - 모듈3 레포트 7페이지
모듈3 실험 레포트생물학실험 012분반1. AbstractDNA technology는 분자생물학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이번 실험에선 cloning의 전체적인 과정(transformation, colony PCR, gel electrohphoresis)을 순차적으로 학습하였다. 첫 실험에선 transformation을 수행하였다. 4종류의 plasmid으로 E.Coli를 transformation 하였고, 이를 incubation하여 E.Coli colony를 얻었다. 두 번째 실험은 colony PCR이었다. 첫 실험에서 얻...2022.12.10· 7페이지 -
현대생물학실험4 Tobacco infiltration full report 17페이지
Abstract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을 이용해 담배잎 내로 목적 유전자를 도입하여 식물 형질전환을 유도하고 세포 내 목적 단백질의 발현을 관찰해보며 목적 단백질의 활성으로 생성된 TAG를 TLC를 통해 분리해내고자 한다. A.tumafaciens의 한 strain인 GV3101로 목적 유전자(DGAT1, WRI1, MAGL4, MAGL10)와 reporter gene(eYFP)가 fusion된 Plasmid를 도입하고 이러한 GV3101을 이용해 담배잎 식물 세포의 형질전환을 유도할 수 ...2024.11.02· 1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