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icro capillary electrophoresis 결과레포트
본 내용은
"
micro capillary electrophoresis 결과레포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9.22
문서 내 토픽
-
1. 전기영동전기영동이란 걸어준 전기장 내에서 서로 다른 이온, 유전자, 단백질, 세포 등과 같은 다양한 시료성분이 이동하는 현상을 정의하는 것이다. 수용액 상에서 많은 분자들이 양전하나 음전하를 띠고 있는데 이때 전기를 흐르게 하면 음전하를 띠고 있는 것은 – 전극 쪽으로 음전하를 띠고 있는 것들은 + 전극 쪽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예를 들자면 DNA는 P을 가지고 있어 음전하를 띠고 있어 전기를 주게 되면 + 전극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것을 통해 DNA의 크기나 길이 등을 추측할 수 있다.
-
2. 모세관 전기영동모세관 전기영동은 내경 25~100 μm의 용융 실리카 모세관에서 물질을 전하량과 분자량에 따라 분리하는 방법이다. 높은 전기장을 이용해 적은 양의 시료를 가지고도 빠르고 효율저그로 시료를 분리 분석할 수 있다. 전기영동과 모세관 전기영동의 공통점은 둘 다 전기장을 걸어 전하의 차이를 이용해서 결과값을 구하고 레더와 마커를 이용해서 값을 알 수 있는 것이다. 둘다 형광이나, UV 등을 이용해서 검출 할 수 있는 공통점도 있다.
-
3. 전기영동과 모세관 전기영동의 차이점전기영동과 모세관 전기영동의 차이점에 대해서 말해보자면 우선 마커는 DNA 분석시 최대값과 최소값을 잡아주는 역할이고 레더는 원하는 피크가 몇 bp인지 알게 해주는 것이다. 전기영동은 레더를 이용해서 육안으로 확인해 결과값을 비교하는 것이지만 모세관 전기영동은 용출되는 시간과 레더 값을 비교해서 검량 곡선을 그릴 수 있는데 이것을 통해 샘플이 나오는 시간을 통해서 정학한 bp 값을 구할 수 있다. 즉, 전기영동은 정확한 값을 알아낼 수 없지만 모세관 전기영동을 이용하면 값을 정확하게 알 수 있다.
-
1. 전기영동전기영동은 전기장 내에서 전하를 띤 입자의 이동을 이용하여 물질을 분리하는 기술입니다. 이 기술은 단백질, 핵산, 세포 소기관 등 다양한 생물학적 물질의 분리와 분석에 널리 사용됩니다. 전기영동은 간단하고 효율적인 분리 방법이며, 특히 단백질과 핵산의 크기와 전하 차이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습니다. 이 기술은 생명과학 연구, 임상 진단, 산업 응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2. 모세관 전기영동모세관 전기영동은 전기영동의 한 종류로, 좁은 모세관 내에서 전기장을 이용하여 물질을 분리하는 기술입니다. 모세관 전기영동은 기존의 전기영동 방법에 비해 분리 효율이 높고, 시료 소모량이 적으며, 자동화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모세관 내부의 전기삼투 현상을 이용하여 분리 속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이 기술은 단백질, 핵산, 세포 성분 등 다양한 생물학적 물질의 분리와 분석에 활용되며, 특히 미량 시료의 분석에 유용합니다.
-
3. 전기영동과 모세관 전기영동의 차이점전기영동과 모세관 전기영동은 모두 전기장을 이용하여 물질을 분리하는 기술이지만,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습니다. 첫째, 분리 공간의 크기가 다릅니다. 전기영동은 일반적으로 큰 겔 매트릭스에서 이루어지지만, 모세관 전기영동은 좁은 모세관 내에서 이루어집니다. 둘째, 시료 소모량이 다릅니다. 모세관 전기영동은 마이크로리터 수준의 시료만 필요하지만, 전기영동은 상대적으로 더 많은 시료가 필요합니다. 셋째, 자동화 정도가 다릅니다. 모세관 전기영동은 자동화가 용이하지만, 전기영동은 수동 조작이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차이점으로 인해 두 기술은 서로 다른 응용 분야에서 활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