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ASE STUDY] A+ 간호진단3개, 간호과정3개, 기도유지불능과 관련된 가스교환장애, 뼈의 돌출부분에 압력과 관련된 피부 통합성 장애, 조절기전 부전과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의 위험
본 내용은
"
[CASE STUDY] A+ 간호진단3개, 간호과정3개, 기도유지불능과 관련된 가스교환장애, 뼈의 돌출부분에 압력과 관련된 피부 통합성 장애, 조절기전 부전과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의 위험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9.18
문서 내 토픽
-
1. 기도유지불능과 관련된 가스교환장애대상자는 현재 tracheostomy에 실패하여 다음 주에 cordectomy and botox inj 를 할 예정인데, 다음 주에 수술이 잘 진행될 수 있도록 좋은 컨디션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현재 계속해서 적절하게 산소를 공급하고, abga를 통해 ph, pco2, p02 수치를 확인하며 환자의 상태를 잘 유지 중이다.
-
2. 뼈의 돌출부분에 압력과 관련된 피부 통합성 장애현재 대상자는 icu의 오랜 생활로 욕창 1단계가 발생하고 억제대 부위에 멍이 발생하였는데, 계속해서 체위를 바꿔주고 예방적 간호를 제공하는 등 피부 병변이 더 악화되지 않도록 노력하고 있다. Icu 생활이 길어질 것으로 보아 계속해서 피부 병변을 잘 사정하고 이에 따른 적절한 간호를 제공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3. 조절기전 부전과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의 위험대상자는 전해질 수치가 계속해서 정상 수치보다 높다가, 낮았다가를 반복하는데 abga 수치가 4시간마다 나올 때마다 그에 따른 적절한 약물을 제공하고, i/o를 잘 조절하여 전해질 수치가 정상범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노력 중이다. 이대로 계속해서 abga 결과와 i/o를 주기적으로 확인하며 환자의 전해질 수치가 정상범위를 유지하도록 적절한 약물을 제공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1. 주제2: 뼈의 돌출부분에 압력과 관련된 피부 통합성 장애뼈의 돌출부분에 지속적인 압력이 가해지면 피부 통합성 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욕창 등의 심각한 피부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예방을 위해서는 자세 변경, 압력 분산 장치 사용, 영양 관리 등의 다각도 접근이 필요합니다. 또한 초기 징후 발견 시 신속한 치료가 중요하며, 이를 위해 의료진과 보호자의 지속적인 관찰과 협력이 필수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