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인간호 중환자실 실습 CASE STUDY_승모판역류, 간경화_간호진단 9개
본 내용은
"
성인간호 중환자실 실습 CASE STUDY_승모판역류, 간경화_간호진단 9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9.18
문서 내 토픽
-
1. 승모판 역류증심장은 2개의 심방과 2개의 심실로 이루어져 있으며, 심방과 심실 사이에는 피가 역류하지 못하도록 하는 판막이 존재한다. 승모판은 좌심실과 좌심방 사이에 있는 판막을 말한다. 승모판의 기능은 승모판염, 승모판륜, 건삭, 유두근, 좌심방과 좌심실에 달려있다. 이런 구조물에서 어떠한 결함도 역류를 일으킬 수 있다. 대부분 승모판 역류는 심근경색증, 만성 류마티스성 심질환, 승모판 탈출, 허혈성 유두근기능부전, 염증성 심내막염에 의해서 야기된다. 좌심실부전을 동반한 심근경색 환자에서는 건삭의 파열 위험과 급성 승모판 역류의 위험이 증가한다. 승모판 역류는 심장의 수축기 동안 승모판이 완전하게 닫히지 않아서 좌심실의 혈류가 좌심방으로 역류하는 상태를 말한다. 좌심방으로 혈액이 역류하게 되면 좌심방의 압력과 용적은 증가하고, 대동맥쪽으로 나가는 심박출량은 감소하며, 역류된 혈액이 확장기 때 다시 좌심실로 돌아오고 이렇게 증가된 혈류는 다음 수축기 때 분출되어야 한다. 때문에 좌심실의 용적 과부하가 초래된다. 이는 심부전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
-
1. 승모판 역류증승모판 역류증은 심장 판막 질환 중 하나로, 심장 내 승모판이 제대로 기능하지 않아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이로 인해 혈액이 역류하여 심장과 폐에 부담을 주게 됩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호흡 곤란, 피로감, 부종 등이 있으며, 심각한 경우 심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치료법으로는 약물 치료, 수술적 치료 등이 있으며,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치료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승모판 역류증은 조기 발견과 적극적인 치료가 중요하며,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질환의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생활 습관 개선, 스트레스 관리 등의 노력으로 증상 악화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