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과 사례보고서(case study)_ 급성신부전, AKI (acute kidney injury)
본 내용은
"
간호학과 사례보고서(case study)_ 급성신부전, AKI (acute kidney injury)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9.14
문서 내 토픽
  • 1. CKD (chronic kidney disease)
    CKD는 3개월 이상 지속되는 신장 손상이 있거나 신장 기능이 감소하는 질병 상태를 의미합니다. 당뇨, 고혈압, 사구체질환, 다낭신 등이 CKD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소변 색이 검붉게 변하거나 소변에 거품이 오랫동안 유지되는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CKD를 일으킨 원인 질환을 찾고 이에 대한 치료를 하는 것이 중요하며, 심한 경우 신대체요법(혈액투석, 복막투석, 신장이식 등)을 받아야 합니다.
  • 2. AKI (acute kidney injury)
    AKI는 콩팥실질은 정상인 것에 반해, 순환혈액량의 감소, 심박출량의 저하 등에 의해 콩팥혈류량이 감소되어 발생하는 급성 콩팥기능상실을 의미합니다. 체액량의 감소, 심박출량의 저하, 혈관저항의 변화 등이 AKI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핍뇨, 혈압저하, 빈맥, 피부건조, 체중감소, 전신피로감, 식욕부진, 메스꺼움 · 구토, 중추신경증상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콩팥혈류량, 혈압의 정상화와 함께 원인 제거와 콩팥기능상실의 관리를 실시하며, 필요에 따라 혈액정화요법을 실시합니다.
  • 3. 당뇨 관리
    이 환자는 2년 전 당뇨와 고혈압을 진단받았으며, 코로나로 인해 1년간 약물 복용을 중단했다가 1개월 전부터 다시 복용하기 시작했습니다. 입원 당시 혈당이 높게 측정되어 인슐린 투여량을 증량하였고, 당뇨혈액투석식이를 섭취하고 있습니다. 간호중재로는 혈당 모니터링, 인슐린 투여, 식이 교육 등을 실시하여 혈당 조절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 4. 감염 관리
    이 환자는 당뇨로 인한 왼발 궤양이 있어 감염 위험이 높습니다. 백혈구 수치가 약간 높게 측정되었고, 드레싱 교환 시 무균법을 지키고 있습니다. 간호중재로는 드레싱 교환, 상처 관리, 중심정맥관 관리 시 무균법 유지, 충분한 수분 섭취, 손 씻기 교육 등을 실시하여 감염 예방에 힘쓰고 있습니다.
  • 5. 전해질 불균형
    이 환자는 신기능 장애로 인해 전해질 불균형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Na, K, Cl, Ca, P 등의 수치가 정상범위를 벗어나 있습니다. 간호중재로는 균형이 필요한 전해질을 투여하고, 전해질 식이에 대해 교육하는 등 전해질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 6. 낙상 예방
    이 환자는 하지부종과 어지러움 증상이 있어 낙상 위험이 있습니다. 간호중재로는 자주 사용하는 물건을 손닿기 쉬운 곳에 비치하고, 미끄럼 방지 신발 착용, 안경 착용 등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낙상 예방 교육을 실시하고 낙상 주의 표지판을 부착하여 낙상 예방에 힘쓰고 있습니다.
  • 7. 피부 통합성 관리
    이 환자는 당뇨로 인한 왼발 궤양이 있어 피부 통합성 장애 위험이 있습니다. 간호중재로는 적절한 영양과 수분 섭취 격려, 압력 완화를 위한 폼 매트리스 사용, 피부 관리 방법 교육, 지속적인 드레싱 교체 등을 실시하여 피부 통합성 유지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CKD (chronic kidney disease)
    CKD is a serious and progressive condition that requires comprehensive management to slow disease progression and prevent complications. Early detection and treatment are crucial, as CKD can lead to end-stage renal disease if left unmanaged. Effective management strategies include controlling underlying causes (e.g., diabetes, hypertension), optimizing medication regimens, implementing dietary modifications, and promoting lifestyle changes. Multidisciplinary care involving nephrologists, primary care providers, and other healthcare professionals is essential to provide holistic support for patients with CKD. Ongoing research and advancements in CKD management are needed to improve patient outcomes and quality of life.
  • 2. AKI (acute kidney injury)
    AKI is a sudden and potentially life-threatening condition that requires prompt recognition and management. Early identification of risk factors, close monitoring of kidney function, and timely intervention are critical to prevent further deterioration and complications. Effective management strategies include addressing the underlying cause, optimizing fluid and electrolyte balance, and providing supportive care. In severe cases, renal replacement therapy, such as dialysis, may be necessary. Multidisciplinary collaboration among healthcare providers, including nephrologists, critical care specialists, and nurses, is essential for the successful management of AKI. Ongoing research and education are needed to improve early detection, risk stratification, and evidence-based treatment approaches for AKI.
  • 3. 당뇨 관리
    당뇨 관리는 복합적이며 환자 중심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혈당 조절, 합병증 예방, 생활 습관 개선 등 다양한 측면에서 체계적인 관리가 중요합니다. 의료진과 환자 간의 긍정적인 협력 관계 구축, 환자 교육 및 자가 관리 능력 향상, 약물 치료와 함께 식단 관리, 운동 등 생활 습관 개선이 필수적입니다. 또한 당뇨 합병증 예방을 위한 정기적인 검진과 관리가 필요합니다. 당뇨 관리에는 환자의 적극적인 참여와 의료진의 전문적인 지원이 균형을 이루어야 합니다.
  • 4. 감염 관리
    감염 관리는 환자 안전과 건강 유지를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의료기관에서는 엄격한 감염 예방 및 관리 프로토콜을 수립하고 이를 철저히 이행해야 합니다. 의료진의 손 위생 준수, 적절한 개인보호장비 착용, 환경 소독 등 기본적인 감염 관리 조치가 필수적입니다. 또한 환자 교육을 통해 감염 예방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감염 징후 모니터링과 신속한 대응 체계를 갖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감염 관리는 의료기관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전반에서 협력하여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통해 환자 안전과 건강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 5. 전해질 불균형
    전해질 불균형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전해질 불균형의 원인을 정확히 진단하고, 신속하게 교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환자의 임상 증상, 검사 결과, 기저 질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전해질 보충, 약물 조절, 수분 관리 등의 치료 방법을 적절히 선택하고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또한 전해질 불균형의 예방을 위해 환자 교육, 약물 관리, 식이 조절 등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전해질 불균형 관리에는 의료진의 전문성과 환자의 적극적인 참여가 중요합니다.
  • 6. 낙상 예방
    낙상 예방은 환자 안전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의료기관에서는 낙상 위험 요인을 체계적으로 평가하고, 이에 따른 맞춤형 예방 전략을 수립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환경 개선, 보조기구 제공, 운동 프로그램 운영, 약물 관리, 환자 및 보호자 교육 등 다각도의 접근이 필요합니다. 또한 낙상 발생 시 신속한 대응과 사후 관리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낙상 예방은 의료진, 환자, 보호자 간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환자의 안전과 건강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 7. 피부 통합성 관리
    피부 통합성 관리는 환자의 건강과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매우 중요합니다. 의료기관에서는 피부 상태 평가, 압박 예방, 적절한 피부 관리 등의 체계적인 프로토콜을 수립하고 이를 실천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의료진의 전문성 향상, 환자 및 보호자 교육, 필요한 보조기구 제공 등이 필요합니다. 또한 피부 상태 모니터링과 신속한 대응을 통해 피부 손상을 예방하고 치료해야 합니다. 피부 통합성 관리는 환자 중심적이며 다학제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환자의 건강과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