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치과교정학: 교정장치의 종류와 구성성분
본 내용은
"
치과교정학_ 교정장치의 종류와 구성성분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9.12
문서 내 토픽
-
1. 교정분야에서 컴퓨터의 응용컴퓨터·인터넷의 보급·과학 기술의 발전 등으로 교정학 분야에서도 새로운 재료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치료 기술도 급격하게 변화되고 있다. 현재는 디지털 카메라나 덴탈 비전(Dental vision) 등으로 구내 및 구외사진을 촬영하며, 컴퓨터에 교정에 필요한 자료를 입력·보관·확대·수정한다. 또한 환자에게 치료계획을 사전에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두부방사선 계측사진의 분석, 전산화 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CT),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Rapid Prototyping(RP), 3차원 디지털 가상 모형(3D-DVM) 등의 분야에 컴퓨터가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
2. 고정식 교정장치고정식 교정장치는 장치가 치아에 접착되는 것으로 환자가 착탈할 수 없다. 항상 구강 내에 장착돼 있으므로 교정력은 술자가 조절하는 대로 확실하게 작용한다. 하지만 음식 찌꺼기가 정체되거나 세척하기 어렵다. 따라서 장치파절을 방지하기 위한 식사방법이나 장치청결을 위한 칫솔질에 대한 환자교육이 중요하다. 브라켓 장치, 급속측방확대장치, 설측호선장치 등이 있다.
-
3. 가철식 교정장치환자 자신이 착탈할 수 있는 교정장치로 식사 및 칫솔질 시에는 제거한다. 장치 사용 시간은 장치에 따라 다양하다. 주요 장치로 상교정장치, 기능적 교정장치, 악외 교정장치가 있다.
-
1. 교정분야에서 컴퓨터의 응용교정분야에서 컴퓨터의 응용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컴퓨터는 교정 진단, 치료 계획 수립, 교정장치 제작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되고 있다. 특히 3D 스캐닝 기술과 CAD/CAM 기술의 발달로 인해 환자의 구강 상태를 정확하게 진단하고, 최적의 교정장치를 설계 및 제작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교정 치료 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분석할 수 있어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향후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으로 교정 치료의 정확성과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
2. 고정식 교정장치고정식 교정장치는 치아 교정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대표적인 장치이다. 이 장치는 치아에 직접 부착되어 치아의 위치와 모양을 변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고정식 교정장치는 치아 이동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어 복잡한 교정 문제를 해결하는 데 효과적이다. 또한 환자의 협조도가 높지 않아도 치료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장치 부착으로 인한 불편감과 구강 위생 관리의 어려움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최근에는 미니 임플란트 등 새로운 기술이 도입되면서 고정식 교정장치의 단점을 보완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3. 가철식 교정장치가철식 교정장치는 치아 교정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 장치는 치아에 직접 부착되지 않고 착탈이 가능한 형태로 설계되어 있다. 가철식 교정장치는 환자의 구강 위생 관리가 용이하고, 착용감이 좋아 환자의 만족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치료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장치를 조절할 수 있어 치료의 유연성이 높다. 다만 환자의 협조도가 중요하며, 장치 분실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투명 교정장치 등 심미성이 높은 가철식 교정장치가 개발되면서 그 활용도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
-
치과용 시멘트의 용도, 특성, 주의사항 15페이지
치과용 시멘트시멘트의 용도, 특성, 주의사항과목명치과재료학 및 실습I담당 교수님학과학년학번이름제출 날짜목차1. 치과용 시멘트란2. 치과용 시멘트의 용도2-1. 치과용 시멘트 용도의 종류3. 치과용 시멘트의 특성4. 치과용 시멘트의 종류5. 치과용 시멘트를 취급 시 주의사항5-1.좀 더 구체적인 주의사항1) 치과용 시멘트란 무엇일까?? 치과용 시멘트는 쉽게 설명하자면 치과에서 사용하는 접착제로 치아에 인공재료를 결합시킬 때에 이용하는 재료이다.2) 치과용 시멘트의 용도는 무엇일까?? 치과용 시멘트는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으나 치과에서...2021.12.24· 15페이지 -
치과재료학 시멘트 매몰재 비귀금속합금 정리 31페이지
치과재료학REPORT제 출 일:OOOO년 O월 O일학 번:OOO이 름:OOO목차Ⅰ시멘트1. 접착의 원리2. 인산아연 시멘트3. 산화아연 유지놀 시멘트4. 폴리카복실레이트 시멘트5.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6. 레진, 콤포짓트, 접착성 레진 시멘트7. 바니쉬(Cavity varnish)8. 와동 이장재 (cavity liner)9. 저강도 베이스(Low strength base)10. 고강도 베이스(high strength base)Ⅱ 매몰재1. 매몰재의 요구사항2. 조성3. 석고계 매몰재4. 주조용 매몰재의 특성5. 온도가 미치는 ...2021.03.04· 31페이지 -
노인간호학 case study 골절 11페이지
간호사례 연구I. 서론(1)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골절은 연령대를 불문하고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다. 특히 노인들은 골절이 일어나면 뼈가 잘 붙지 않아 주의 깊은 간호가 필요하다. 골절이 일어나면 움직임의 제한이 많기 때문에 불편감을 많이 겪는다. 따라서 불편감을 해소시켜줄 수 있는 간호를 알고 이 뿐만 아니라 골절의 다른 증상과 그에 따른 간호에 대해 알아보고자 이 연구를 시도하였다.(2)연구기간 및 방법2014년 5월 19일부터 5월 23일 까지 본 학생은 M요양병원 3병동에 입원 중인 환자를대상으로 환자와 면담, 신체검진과 문...2015.07.16· 11페이지 -
구강건강 11페이지
목 차? 충치 (치아우식증)11. 충치란 무엇인가?12. 충치의 원인 13. 충치의 증상 14. 충치의 치료 25. 충치의 예방 2? 치주염41. 치주염이란? 42. 치주염의 원인 53. 치주염의 증상 54. 치주염의 치료 55. 치주염의 예방 5? 부정교합 (abnormal occlusion) 61. 부정교합이란?62. 부정교합의 원인 63. 부정교합의 증상 64. 부정교합의 치료 75. 부정교합의 예방 7? 구순질환81. 구순질환이란? 82. 구순질환의 원인 83. 구순질환의 증상 84. 구순질환의 치료 85. 구순질환의 예방 ...2009.05.25· 11페이지 -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 - 양대구강병 6페이지
치아우식증1.정의법랑질, 상아질, 등의 치질이 파괴되어 무기질과 유기질이 이탈되어 생긴 치아결손현상.감염성 세균질환이다. 우식원은 Streptococcus mutans2.탈회과정치아경조직(법랑질, 상아질, 백악질)의 무기질 성분은 모두 수산화인회석 -Ca10(PO4)(OH)2-형태로 되어있다. 이런 수산화인회석이 산에 의해 탈회되는 과정,즉 치아우식증의 과정을 화학식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Ca10(PO4)(OH)2 + 14H+ → 10Ca +6H2PO4 + 2H2O3.우식병소의 분류1)정도에 따른 분류①법랑질 우식 : 치질의 파...2009.12.14· 6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