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기소재실험2_고분자_표면개질_접촉각
본 내용은
"
유기소재실험2_고분자_표면개질_접촉각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9.10
문서 내 토픽
-
1. 고분자 표면개질플라즈마를 통한 고분자 필름 표면개질의 원리는 플라즈마 상태에 놓인 높은 에너지를 가진 입자가 재료 표면에 충돌하면서 그 에너지가 표면에 전달되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다. 고분자 개질 공정은 표면 분자층 내의 고분자구조나 원소조성을 변환시켜 탄소와 수소의 결합을 관능기로 교환시킨다. 이때 도입되는 관능기의 종류는 처리가스에 따라 다르며, 이들 관능기들은 표면에 보다 좋은 점착성, 젖음성, 생체 적합성 또는 불활성 특성을 부여한다.
-
2. 접촉각표면장력은 액체의 자유표면에서 표면을 작게 하려고 작용하는 장력을 말한다. 표면장력은 열역학적으로 단위 면적당 표면자유에너지의 의미를 갖는다. 고체/액체 형태의 계면에서 평형접촉각 θ는 계의 전체에너지가 최소인 상태, 즉 (γS×AS)+(γSL×ASL)+(γL×AL)이 최소인 상태이다. 이를 통해 Young's equation을 도출할 수 있다.
-
3. PET 필름 표면개질실험에서는 PET 필름에 플라즈마 처리를 하고 시간에 따른 접촉각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적으로 플라즈마 처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필름 표면이 더 친수성으로 개질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비극성부분 표면에너지(γS^D)가 감소하고 극성부분 표면에너지(γS^P)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1. 고분자 표면개질고분자 표면개질은 고분자 재료의 표면 특성을 개선하여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기술입니다. 고분자 재료의 표면 특성을 개질하면 습윤성, 접착성, 내마모성, 내화학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전자, 의료, 에너지, 환경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플라즈마 처리, 화학적 처리, 물리적 처리 등 다양한 표면개질 기술이 개발되어 왔으며, 각 기술의 장단점을 고려하여 적절한 방법을 선택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표면개질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을 통해 고분자 재료의 활용도를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
2. 접촉각접촉각은 고체 표면과 액체 사이의 계면 특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접촉각은 표면의 친수성 또는 소수성을 나타내며, 이는 표면 특성에 따라 달라집니다. 접촉각 측정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는데, 예를 들어 코팅 기술, 생체재료, 미세유체 시스템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접촉각 측정 기술은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정밀한 측정을 위해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또한 접촉각 제어 기술의 발전을 통해 표면 특성을 보다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접촉각 관련 기술들은 향후 다양한 분야에서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
3. PET 필름 표면개질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은 우수한 기계적 강도, 내화학성, 투명성 등의 특성으로 인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PET 필름의 표면은 소수성이 강해 접착성, 인쇄성 등이 좋지 않은 단점이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PET 필름 표면개질 기술이 중요합니다. 플라즈마 처리, 코로나 처리, 화학적 처리 등 다양한 표면개질 방법이 개발되어 왔으며, 이를 통해 PET 필름의 표면 특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친환경적이고 에너지 효율적인 표면개질 기술들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PET 필름 표면개질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을 통해 PET 필름의 활용도를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
[경북대학교]기계공학실험 마이크로표면측정 실험보고서 14페이지
마이크로 표면 측정 실험 보고서학과: 기계공학부과목명:담당 교수님:학번:이름:1. 실험 목적본 실험에서는 마이크로 디바이스(Micro-device, MEMS)에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표면특성에 대하여 알아본다. 접촉각(contact angle) 측정을 통해서 표면의 친수성(hydrophilicity)과 소수성(hydrophobicity)에 대해 알아보고 마이크로 디바이스의 응용과 표면 개질(surface modification)에 대해 고찰해본다.2. 실험 관련 이론1) 친수성 (Hydrophilicity), 소수성 (Hydro...2023.11.14· 14페이지 -
pva 나노섬유막의 소수화 가공 12페이지
PVA 나노섬유막의 소수화 가공1. 실험목적- PVA 나노섬유막의 플라즈마처리를 해서 소수화 과정을 통해서 친수성 고분자를소수화로 표면개질을 해본다.- 플라즈마처리를 0s,30,60s 시간별로 분류해서 접촉각과 인장강도가 어떻게변했는지, 그 이유는 무엇인지 분석한다.2. 실험도구 및 시약1) Plazma treatment machine, Texture analyzer, 두께 측정기, Furnace,Electro spinning equipment, Contanct angle meter, Compressure,PVA nanofibrou...2019.09.19· 12페이지 -
8주차 고분자 표면개질(UV & Plasma) 및 접촉각(예비) 12페이지
고분자 표면개질(UV & Plasma)및 접촉각1. 실험제목 : 고분자 표면개질(UV & Plasma) 및 접촉각2. 실험날짜3. 이론 및 배경(1) 고분자의 표면개질- 다른 재료와 친화성을 갖도록 개량하는 필요성 때문에 표면개질이 필요하다.- 표면개질에는 화학적인 처리 방법과 물리적인 처리방법이 있다. 하지만 물리적인 처리방법이 많이 쓰인다.- 표면 기능을 발휘하는 관능기를 표면에 형성시키는 화학반응 프로세스이다.1) Plasma 표면 처리방법① Plasma에 의한 표면 개질의 원리- 물에 젖은 친수성, 물을 튀기는 소수성, 물체...2016.03.20· 12페이지 -
6. ITO scribing & cleaning(예비) 22페이지
ITO scribing & cleaning(예비 레포트)과 목 :고분자 재료실험교 수 명 :조 교 :실 험 일 :제 출 일 :조(&조원):학 번 :성 명 :1.실험제목 ? ITO scribing & cleaning(실험날짜:)2.실험조 및 실험자 - 조 :13신소재공학과3.실험목적?OLED/PLED/OPV device의 투명전극으로 사용되는 ITO glass를 원하는 크기로 자르는 방법을 습득한다.?원하는 모양으로 자른 ITO glass의 오염된 표면을 세정하여 소자의 성능 및 수율을 향상시킨다.4.실험이론 및 배경Pattern 공...2016.04.06· 22페이지 -
8. PLED 소자 제작(예비) 39페이지
PLED 소자 제작(예비 레포트)과 목 :고분자 재료실험교 수 명 :조 교 :실 험 일 :제 출 일 :조(&조원):학 번 :성 명 :1.실험제목 ? ITO patterning(실험날짜:)2.실험조 및 실험자 - 조 :13신소재공학과3.실험목적고분자 발광물질을 이용하여 PLED의 제작 방법을 알아보고 PLED의 봉지공정을 통해 제작된 소자를 수분과 산소로부터 보호한다.4.실험이론 및 배경일반적으로 고분자는 반복단위인 단분자가 공유결합에 의해서 수십에서 수백 개가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단분자에 비해서 박막 형성이 용이하며 내충격성...2016.04.06· 39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