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기소재실험2_SEM
본 내용은
"
유기소재실험2_SEM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9.11
문서 내 토픽
-
1. SEM(주사전자현미경)주사전자현미경(SEM)은 시료 표면을 전자선으로 주사하여 입체구조를 직접 관찰할 수 있는 전자현미경입니다. 시료 내의 원소에서 발생하는 특성 X선을 분석하는 X선 마이크로 애널나이저와 병용하여 시료 내의 특정 원소의 검출이나 분포를 해석하는 데 널리 사용됩니다. SEM은 주로 시료 표면의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시료의 두께, 크기 및 준비에 크게 제한을 받지 않습니다. 또한 광학현미경에 비해 집점심도가 2배 이상 깊고 광범위하게 집점을 맞출 수 있어 입체적인 상을 얻는 것이 가능합니다.
-
2. SEM의 원리SEM의 장치는 전자선을 방사하기 위한 부분(결상부)과 시료로부터 나오는 전자(2차전자)를 검출하여 현미경상을 만드는 부분(방사부)으로 나뉩니다. 시료에는 직경 10nm 이하의 전자빔이 주사되며, 주사코일에 의해 가느다란 전자빔을 시료면으로 이동시켜 시료표면상의 미소영역을 주사선으로 묻음으로써 영역 내 전체로부터 연속적으로 2차 전자를 발생시킵니다. 이 2차전자를 검출기에 모아서 양적변화를 전기신호로 변환시켜 CRT에 반영시킵니다.
-
3. SEM 실험 결과실험에서는 UTM으로 인장시험을 거친 고분자 블랜드 필름의 파단면을 SEM으로 관찰하였습니다. SEM 이미지에서 구형상으로 존재하는 물질은 PP로 보이며, PP 함량이 증가할수록 구형의 크기가 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는 PP와 PLA가 상용성이 없어 상분리가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상용화제를 첨가하면 PP와 PLA의 상용성이 향상되어 구형 형태가 사라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
1. SEM(주사전자현미경)SEM(주사전자현미경)은 전자빔을 시료 표면에 주사하여 시료 표면의 형태와 조성을 분석하는 장비입니다. SEM은 광학현미경에 비해 훨씬 높은 배율과 해상도를 제공하여 나노 수준의 미세구조를 관찰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반도체, 신소재, 생명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SEM은 시료 준비가 간단하고, 비파괴적인 분석이 가능하며, 3차원 이미지 획득이 가능한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고진공 환경이 필요하고, 시료 크기에 제한이 있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향후 SEM 기술의 발전으로 더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
2. SEM의 원리SEM의 원리는 전자빔을 시료 표면에 주사하여 시료와 전자빔의 상호작용을 통해 발생하는 신호를 검출하여 이미지를 형성하는 것입니다. 전자빔은 전자총에서 발생하며, 전자렌즈를 통해 시료 표면에 집속됩니다. 시료 표면과 전자빔의 상호작용으로 발생하는 2차 전자, 후방산란 전자, 특성 X선 등의 신호를 검출기로 포착하여 이미지를 구현합니다. 이때 전자빔의 주사 위치와 검출된 신호의 강도를 매핑하여 시료 표면의 형태와 조성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SEM의 원리는 전자광학, 진공기술, 신호처리 등 다양한 기술이 융합된 복합적인 시스템입니다.
-
3. SEM 실험 결과SEM 실험 결과는 시료의 표면 형태와 조성 정보를 제공합니다. 일반적으로 SEM 이미지에서는 시료 표면의 3차원적인 형태와 질감, 결정립 크기, 기공 분포 등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에너지 분산 X선 분광기(EDS)를 통해 시료의 화학 조성 분석도 가능합니다. SEM 실험 결과는 재료 과학, 나노기술, 반도체 공정, 생명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예를 들어 신소재 개발, 반도체 소자 구조 분석, 생물학적 시료의 미세구조 관찰 등에 활용됩니다. SEM 실험 결과의 정확성과 신뢰성은 시료 준비, 실험 조건, 데이터 분석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SEM 실험 결과를 해석할 때는 이러한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
소재공학실험2 2-2 실험 주제 모음(14주차까지)1. AFM(원자힘 현미경) AFM의 원리, contact, Noncontact, Tapping mode에 대해 조사하고 FT-IR의 원리, 보강/상쇄 간섭 등에 대해 조사한다. 2. FT-IR(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기) FT-IR의 원리, 보강/상쇄 간섭 등에 대해 조사한다. 3. SEM(주사전자현미경) SEM의 원리에 대해 조사한다. 4. 3D 프린팅...2025.01.14 · 공학/기술
-
폴리스티렌겔의 합성 예비레포트1. 폴리스티렌 겔 폴리스티렌 겔의 구조는 폴리스티렌의 벤젠치환기가 link역할을 하면서 crosslink구조를 형성한다. 이를 SEM을 이용하여 찍어보면 비드 형태를 하고 있다. 이는 폴리스티렌과 다이비닐벤젠의 공중합에 의해 형성된 가교고분자인데 이 중합을 가교 공중합이라한다. 공중합에 의한 network구조는 모노 폴리머겔에 비해 반응조절이 쉽고, 스티...2025.01.23 · 공학/기술
-
CH3NH3PbI3 Perovskite Nano Quantum Dots 실험보고서1. Perovskite 구조 Perovskite 구조는 A: 무기 양이온, B: 금속 양이온, C: 할로겐 음이온으로 이루어진 화학식 ABX3를 따르는 결정 구조를 가진 물질이다. 이상적인 구조는 음이온 팔면체에 둘러싸인 6중배위의 B양이온과, 12중 육팔면체 배위의 A 양이온을 갖는다. 여기서 전이금속 양이온은 전자 전도성을 가지게 한다. 다양한 양이온...2025.05.06 · 자연과학
-
유기소재실험2_고분자블렌드,필름제조 6페이지
예비레포트 - 1. 실험제목 : 고분자 블렌드 / 필름제조3. 이론 및 배경1) Polymer blend / polymer composite / copolymer- polymer blend : 2종 이상의 중합체를 혼합하는 것이다. 고분자 물질의 특정한 물성이 다른 고분자와의 블렌드를 통해 개선될 수 있다. 비용도 적게 드는 경우가 많다.- polymer composite : 고분자 복합재료는 고분자(매트릭스)와 탄성율이나 내마모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강화제(불연속상)의 물리적인 복합체이다. 강화제는 무기물질과 유기물질 모두...2023.08.28· 6페이지 -
[재료공학실험]OLED소재 제조 및 물성 측정 10페이지
OLED소재 제조 및 물성 측정1. 실험 목적물과 설탕을 섞고 물을 끓이게 되면 설탕결정이 생긴다. 이것을 하면 할수록 설탕의 불순물과 분리되면서 설탕의 순도가 높아진다. 이와 같은 원리로 ILS정제법을 이용해Alq _{3}와 이온성 액체 각각 2가지를 섞고 열처리 해준다. 그 뒤Alq _{3}의 결정화를 유도시켜 순도높은 OLED재료를 얻는다. 이때 온도와 g수 차이로 조별로 서로 다른 크기의 결정들을 얻게 되는데 이를 XRD, SEM 분석을 통해 결정크기 비교 후 OLED소재로 가장 적합한 재료를 찾아보는 것이 이번 실험의 목적...2024.03.15· 10페이지 -
숭실대 고분자 모폴리지 및 표면특성 결과레포트 4페이지
고분자 모폴리지 및 표면특성-결과보고서-숭실대학교 유기신소재파이버공학과과목명신소재공학실험1조반조원지도교수담당조교학번제출일이름1. 실험 제목 : 고분자 모폴로지 및 표면특성2. 실험 날짜 : 2021년 5월 27일 (목요일)3. 실험 목적 : 전자현미경(SEM)의 원리를 이해하고 고분자 블렌드 필름의 모폴로지 분석을 할 수 있다. Surface Energy 원리를 이해하고 접촉각측정기(Contact Angle)를 이용해 고분자 블렌드 필름의 접촉각을 측정 할 수 있다.4. 시약 및 기기 : SEM, ion coater, fractur...2022.05.17· 4페이지 -
SEM 분석을 통한 이차전지 양극재 morphology 분석_예비보고서 4페이지
1. 실험 일자: 2024. 05. 20. 2. 실험 제목: SEM 분석을 통한 이차전지 양극재 morphology 분석 3. 관련 이론 (1) SEM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은 전자 광학의 한 형태로서, 물체의 표면을 고해상도로 관찰하는 데 사용된다. SEM은 전자를 이용하여 물체의 표면을 스캔하고, 그 결과를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이미지를 생성한다. 시료로 들어갈 sample은 시편 스테이지에 들어갈 만큼 작아야 하고 진공, high energy electron beam을 견딜 수 있도록 안정된...2025.02.05· 4페이지 -
숭실대 다결정 박막 코팅 및 분석 결과보고서 4페이지
다결정 박막 코팅및 분석-결과보고서-숭실대학교 유기신소재파이버공학과과목명신소재공학실험2(나)조반조원지도교수담당조교학번제출일이름1. 실험 제목 : 다결정 박막 코팅 및 분석2. 실험 날짜 : 2021년 11월 11일 (목요일)3. 실험 목적 : 다결정이 무엇인지 이해한다AFM, Spin-coating 기계 사용법을 익힌다.단결정과 다결정의 구조를 분석하여 차이를 안다.4. 시약 및 기기-시약CsPbBr3 전구체 용액-기기AFM, Spin coating5. 실험 방법①0.45M : 0.45M의 CsPbBr3 전구체 용액을 준비한다②초기...2022.10.05· 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