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도성 고분자 필름제조 및 특성분석
본 내용은
"
유기소재실험2_전도성 고분자 필름제조 및 특성분석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9.08
문서 내 토픽
-
1. 저항과 전기 전도도의 관계전류 I가 흐르고 있는 단면적 A, 길이 L인 도선에서 전기장은 전위가 낮아지는 방향으로 향하고 있으므로 점 a에서의 전위는 점 b에서의 전위보다 높다. 전류를 양전하의 흐름으로 생각할 경우 양전하는 전윅 krkath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도선에서 전기장이 일정할 경우 두 점 a와 b사이의 전합강하는 V(전압)이다. 전류의 방향으로 생기는 전압강하의 전류에 대한 비를 도선의 저항이라 부른다. V=IR은 보통 Ohm's law라고 한다. 물질이나 용액이 전하를 운반할 수 있는 정도. 비저항의 역수이다. 단위는 지멘스(S, Siemens)/m나 1/Ωm를 사용한다.
-
2. 표면저항(면저항)표면저항은 보통 단위 ohm/sq로 표시된다. 일반적인 선 저항은 두개의 probe로 임의의 거리에 대한 저항을 측정하지만, 표면저항의 경우에는 동일한 간격의 4개의 탐침으로 측정하게 된다. 이때 쓰이는 Probe가 Four point probe이고, 보통 탐침은 1mm간격으로 일렬 구성된 probe를 사용하며, 4개의 탐침으로 전류와 전압을 이용하여 저항을 구한 후, 표면저항 단위인 ohm/sq로 계산하기 위해 보정계수(C.F)를 적용한다. 표면저항값은 Wafer, LCD, 태양전지, 연료전지, OLED 등 박막증착 후 박막의 전도성을 검사하기 위하여 쓰인다.
-
3. Four point probe의 측정원리시료 표면에 수직으로 4탐침을 가압 접촉시키고, 바깥쪽의 탐침을 통하여 전류 I를 흐르게 하여 가운데 2개의 탐침 사이의 전위차 V를 측정한다. 그리고 측정값은 극성을 바꾸어 실시하여 그 평균값을 취하여 값을 구할 수 있다.
-
4. 실험 목적비저항 측정기인 4-point probe를 이용하여 필름의 비저항을 측정하고 전기전도도를 구한다. 유기용매인 DMSO를 첨가함으로써 PEDOT/PSS의 전기전도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본다.
-
5. 실험 방법1) 4-point probe로 소자의 비 저항을 측정한다. 2) 소자의 전기 전도도를 구하고, 나머지 조와 비교한다.
-
6. 실험 결과 및 고찰각 조의 측정값을 통하여 평균값을 산출하고, 보정계수를 고려하여 면저항, 비저항, 전도도를 비교하였다. DMSO의 함량이 늘어날수록 전체적으로 전기전도도가 커지는 것을 볼 수 있다. DMSO는 솔벤트로 사용되는데 솔벤트가 증발하면서 박막의 구조가 변형된다. 그렇게 되면 전도성 PEDOT 입자끼리의 접촉이 잘 이뤄지게 되어서 PEDOT 입자로 구성된 이동 통로를 통해 전하가 잘 흐를 수 있으며 전기 전도도의 증가가 이뤄지게 된다.
-
1. 주제2: 표면저항(면저항)표면저항, 또는 면저항은 물질의 표면에서 전류가 흐르는 저항을 나타내는 개념입니다. 이는 부피저항과는 다른 개념으로, 주로 얇은 박막 물질의 전기적 특성을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 표면저항은 물질의 두께와 비저항에 의해 결정되며, 단위는 옴/제곱(Ω/sq)입니다. 표면저항은 반도체 소자, 투명 전극, 전자기파 차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특성으로 활용됩니다. 따라서 정확한 표면저항 측정은 해당 분야의 소자 및 소재 개발에 필수적입니다.
-
2. 주제4: 실험 목적이 실험의 목적은 Four point probe 방법을 이용하여 반도체 박막의 전기적 특성, 특히 비저항을 측정하고 분석하는 것입니다. 반도체 박막은 전자 소자 및 광전자 소자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는 중요한 소재입니다. 따라서 반도체 박막의 정확한 전기적 특성 분석은 소자 개발 및 성능 향상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이 실험을 통해 Four point probe 측정 기법의 원리와 적용 방법을 이해하고, 실제 반도체 박막 시료의 비저항을 측정하여 그 특성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
3. 주제6: 실험 결과 및 고찰이 실험을 통해 얻은 반도체 박막의 비저항 및 표면저항 측정 결과를 분석하고 고찰해 볼 수 있습니다. 측정값의 편차와 재현성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료의 균일성과 품질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측정값을 문헌 데이터와 비교하여 시료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반도체 박막의 전기적 특성과 제조 공정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나아가 이러한 분석 결과는 반도체 소자 및 광전자 소자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입니다.
-
나노결정 태양전지의 제작 예비1. 반도체 태양전지 반도체 태양전지는 태양열(가시광선)의 흡수, 즉 에너지에 의해 p형 반도체에서는 정공이 발생하고, n형 반도체에서는 전자가 발생하는 반응을 이용한다. p-n 접합에 의해 발생한 정공과 전자는 반도체를 통해서 서로 이동하며 전류를 운반할 수 있게 된다. 반도체 태양전지의 경우 사용되는 재료에 따라 반도체 단결정(single crystal...2025.05.09 · 공학/기술
-
A+ 졸업생의 광중합 결과레포트1. 광중합 이번 실험은 반응 시 열 대신 빛에 의한 에너지 공급으로 라디칼을 생성하는 광중합 실험을 하였다. 광중합은 광원을 제거함으로써 반응 종결 조절이 가능했다. 광중합을 이용하여 2개의 단량체를 구성단위로 하고 있는 공중합체 고분자를 중합하였는데, 여러 가지 공중합체의 종류 중에서도 불규칙한 공중합체를 중합하였다. 2. NMR 분석 H-NMR DAT...2025.01.16 · 공학/기술
-
나노 반도체 입자의 분광학적 성질 실험보고서1. 미셀과 역미셀 계면활성제가 일정 농도 이상에서 모인 집합체인 미셀은 소수성 부분이 핵을 형성하고 친수성 부분이 물과 닿는 표면을 형성한다. 반대로 계면활성제가 유기 용매에 녹는 경우에는 친수성 부분이 핵을 형성하고 소수성 부분이 유기 용매가 닿는 표면을 형성하는 역미셀이 생성된다. 역미셀은 나노입자들이 뭉쳐서 침전되는 것을 막고 첨가한 물의 양에 따라...2025.01.10 · 자연과학
-
[A+레포트] 노볼락수지의 합성 예비레포트 8페이지
노볼락 수지의 합성예비레포트[목차]1. 서론2. 실험2.1 실험에 사용되는 기구2.2 실험에 사용되는 시약2.3 실험방법2.4 합성에 사용된 시약들의 특성3. 결과4. 참고문헌1. 서론페놀수지는 베이클라이트라는 상표명이 있는 고분자 역사상 가장 오래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다. 알칼리에 약하고 착색이 자유롭지 못하지만 각종 충전재와 융화가 잘되기 때문에 고무와 유리 같은 유기, 무기 충전재와 복합해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해마다 결합제나 고무배합제, 도료용 등의 공업용 레진이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페놀수지에 관한 특허는 가...2024.08.14· 8페이지 -
숭실대학교 신소재공학실험2 금속 나노입자의 습식 합성 예비보고서 3페이지
1. 실험 제목금속 나노입자의 습식 합성2. 배경 및 이론1) 나노입자의 정의와 특징100nm(100 TIMES 10 ^{-9}m) 이하인 초미립자를 뜻한다. 작은 크기로 인해 양자적 특성을 보이게 되며, 물리적, 화학적, 광학적 특성 등이 크게 변화한다. 따라서 나노입자는 다양한 물질에서 형성될 수 있으며, 크기와 특성에 따라 다양한 응용분야에서 사용된다.나노입자는 매우 작은 입자이지만, 큰 표면적을 가지고 있다. 이는 크기가 작아지면 입자에 비해 표면적이 차지하는 비율이 커지기 때문이다. 표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표면에 결합하는 ...2024.08.26· 3페이지 -
[무기소재화학실험 A+] 요오드 적정 결과레포트 7페이지
요오드 적정1. Abstract. 요오드 적정은 시료 중 분석 대상 물질의 함량을 매우 간단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중요한 실험법이다. 이번 실험에서는 요오드를 사용한 산화-환원 적정을 통해 용액 속 아황산나트륨을 정량하였다. 산화제인 는 환원제인 아황산나트륨과 반응하여 Iodide 화합물을 형성하며 이는 녹말 지시약에 대해 반응성이 없다. 따라서 역적정을 통해 용액 중의 아황산나트륨을 정량할 수 있다. 요오드 용액의 표정은 환원제인 티오황산나트륨을 사용하여 진행하였고 반응의 종말점 관찰을 위해 녹말 지시약을 사용하였다. 실험...2025.03.09· 7페이지 -
[고분자 화학] AFM을 이용한 ITO glass 분석 8페이지
AFM을 이용한 ITO glass 구조분석Ⅰ. Abstract이 글은 최근에 LCD, PDP 등의 얇고 평평한 디스플레이에 들어있는 ITO glass를 원자간력현미경(Atomic Force Microscope, AFM)을 통해 시료의 표면 형태를 분자단위에서 관찰해 보았다. 관찰해본다. 이러한 실험을 바탕으로 투명전극재료인 ITO glass에 대한 이론, 원자간력현미경에 대한 이론, AFM을 이용한 ITO glass 실험 과정 및 분석 순으로 기술되어 있다.Ⅱ. Introduction1. ITO(Indium-Tin Oxide)한국은...2021.08.22· 8페이지 -
이온성 액체가 도핑된 PANI 기능화된 가스센서 제작 보고서 23페이지
캡스톤디자인이온성 액체가 도핑된PANI 기능화된 가스센서 제작제출일자: 2018년 12월 11일목 차1. 서론12. 이론적 배경22.1. 휘발성 유기화합물 (Volatile Organic Compounds)22.2. 폴리아닐린 (PANI)62.3. 전도성 고분자92.4. 이온성 액체112.5. 전도성 고분자와 이온성 액체 간의 상호작용 연구113. 특허조사134. 실험154.1. 시약 및 장치154.2. 이온성 액체의 합성154.2.2. 1,3-dimethylimidazolium methyl sulfate (I-DMS)154.2.6...2020.12.27· 23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