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 충전소 사업계획서 및 재무모델
본 내용은
"
[공학경제][부산대] 텀프로젝트 사업계획서 & 재무모델 엑셀파일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9.08
문서 내 토픽
  • 1. 수소 충전소 구축 비용
    수소 충전소 구축을 위한 초기 투자비용은 약 102.25억 원으로 추정됩니다. 이 중 부지 비용이 70.69억 원, 건축 비용이 12.07억 원, 설비 비용이 19.5억 원 등입니다. 주요 설비로는 압축기, 저장 장치, 냉각 장치, 충전기 등이 포함됩니다.
  • 2. 수소 충전소 운영 비용
    수소 충전소 운영을 위한 연간 매출원가는 약 16.3억 원으로 추정됩니다. 이 중 연료비가 14.86억 원, 유지보수비가 0.8억 원, 노무비가 0.3억 원, 기타 비용이 0.3억 원 등입니다. 연간 매출액은 약 19.87억 원으로 예상됩니다.
  • 3. 수소 차량 보급 현황
    2021년 기준 국내 수소 차량 등록 현황은 총 6,735대로, 경기도가 3,629대로 가장 많고 서울이 2,418대, 울산이 562대 등입니다. 2023년까지 수소 차량 등록대수는 약 2만 3천대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 4. 수소 충전소 현황
    2023년 기준 국내 수소 충전소는 총 188개소가 운영 중이며, 경기도가 82개소로 가장 많고 부산이 19개소, 경남이 16개소 등입니다. 수소 충전소 가격은 지역별로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kg당 9,400원~9,900원 수준입니다.
  • 5. 수소 충전소 재무 분석
    수소 충전소 사업의 자산 순현재가치(NPV)는 약 -75억 원으로 추정되며, 자본 순현재가치(Equity NPV)는 약 -73억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내부수익률(IRR)은 자산 기준 -9%, 자본 기준 -22%로 분석되었습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수소 충전소 구축 비용
    수소 충전소 구축 비용은 기존 주유소 대비 상당히 높은 편입니다. 수소 충전소 건설에는 수소 생산 및 저장 설비, 압축기, 냉각기 등 다양한 고가 장비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수소 안전 기준 등 관련 규제 준수를 위한 추가 비용도 발생합니다. 이러한 높은 초기 투자 비용은 수소 차량 보급 확대를 위한 주요 장애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정부의 적극적인 재정 지원과 기술 혁신을 통해 수소 충전소 구축 비용을 점진적으로 낮출 필요가 있습니다.
  • 2. 수소 충전소 운영 비용
    수소 충전소 운영 비용 또한 기존 주유소에 비해 상당히 높은 편입니다. 수소 생산, 압축, 저장, 운송 등 일련의 과정에서 많은 에너지가 소모되며, 이에 따른 전기료, 수소 구매비 등이 발생합니다. 또한 수소 충전소 유지보수 및 인건비 등의 고정 비용도 적지 않습니다. 이러한 높은 운영 비용은 수소 차량 운영 비용 상승으로 이어져 수소 차량 보급 확대에 걸림돌이 되고 있습니다. 정부의 지속적인 보조금 지원과 기술 발전을 통해 수소 충전소 운영 비용을 낮출 필요가 있습니다.
  • 3. 수소 차량 보급 현황
    수소 차량 보급은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습니다. 2022년 기준 국내 수소 차량 등록대수는 약 3만 대 수준에 불과합니다. 이는 전체 자동차 등록대수의 0.2% 수준에 불과한 매우 낮은 수준입니다. 수소 차량 보급이 더딘 이유는 높은 차량 구매가격, 제한적인 충전 인프라, 짧은 주행거리 등 다양한 요인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정부의 보조금 지원, 충전 인프라 확충, 기술 개선 등 종합적인 정책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4. 수소 충전소 현황
    국내 수소 충전소 구축은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습니다. 2022년 기준 국내 수소 충전소 수는 약 200여 개 수준에 불과합니다. 이는 수소 차량 보급 확대를 위해서는 매우 부족한 수준입니다. 수소 충전소 구축이 더딘 이유는 높은 건설 및 운영 비용, 관련 규제 등이 주요 장애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정부는 수소 충전소 구축 및 운영에 대한 재정 지원을 확대하고, 관련 규제를 합리화하는 등 다각도의 정책적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5. 수소 충전소 재무 분석
    수소 충전소의 재무적 수익성은 아직 낮은 편입니다. 높은 초기 투자 비용과 운영 비용으로 인해 수소 충전소 운영 자체로는 수익을 내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현재 대부분의 수소 충전소가 정부의 재정 지원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수소 차량 보급이 확대되고 충전 수요가 증가하면 수소 충전소의 재무적 수익성이 점진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하지만 단기적으로는 정부의 지속적인 재정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