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raumatic SDH (간호진단4개+간호과정1개+DAR기록)
본 내용은
"
traumatic SDH (간호진단4개+간호과정1개+DAR기록)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2.11
문서 내 토픽
-
1. 뇌압상승과 관련된 급성통증대상자는 수술부위가 아닌데도 머리가 깨질 듯이 아프다고 호소하며, NRS 10점의 심한 통증을 호소하고 있다. 이는 뇌압상승과 관련된 급성통증으로 볼 수 있다. 간호사는 활력징후 모니터링, ICP 상승 증상 사정, 통증 사정 및 진통제 투여, 반좌위 취하기, ICP 상승 예방 중재 등을 수행하여 통증을 완화시키고자 한다. 또한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ICP 상승 증상과 통증 관리 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
2. 의식저하와 관련된 기도흡인의 위험성대상자는 의식저하 소견을 보이며, 분출성 구토와 partial complex seizure가 관찰되었다. 이는 의식저하로 인한 기도흡인의 위험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간호사는 활력징후와 신경학적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기도 흡인 예방을 위해 체위 변경, 흡인 등의 중재를 수행한다.
-
3.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대상자는 craniotomy와 hematoma evacuation 수술을 받았으며, EVD 배액관이 삽입되어 있다. 이는 침습적 처치로 인한 감염의 위험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간호사는 무균술 준수, 배액관 관리, 감염 징후 모니터링 등의 중재를 수행한다.
-
4. 뇌압상승과 관련된 두개내 적응 능력 감소대상자는 NRS 10점의 심한 두통, 얼굴 찡그림, 분출성 구토, 의식저하, partial complex seizure 등의 증상을 보이고 있다. 이는 뇌압상승으로 인한 두개내 적응 능력 감소를 의미한다. 간호사는 활력징후 모니터링, ICP 상승 증상 사정, 두개내압 감소 중재 등을 수행한다.
-
1. 주제2: 의식저하와 관련된 기도흡인의 위험성의식저하 환자에서 기도흡인은 매우 위험한 합병증이 될 수 있습니다. 의식저하로 인해 기도 보호 반사가 저하되면 구토물, 분비물 등이 기도로 흡인될 수 있습니다. 이는 폐렴, 호흡부전, 질식 등을 유발할 수 있어 생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식저하 환자에서는 기도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의료진은 기도 확보, 흡인 예방, 기도 보호 등의 조치를 신속히 취해야 합니다. 또한 환자와 보호자에게 기도흡인의 위험성을 충분히 설명하고, 예방을 위한 협조를 구해야 합니다. 의식저하 환자의 기도 관리는 생명과 직결되는 문제이므로, 의료진의 세심한 주의와 환자 가족의 이해가 필요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