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성인간호학 실습) 혈액제제에 대한 조사
본 내용은
"
성인간호학 실습) 혈액제제에 대한 조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9.05
문서 내 토픽
  • 1. 전혈(Whole Blood)
    전혈은 적혈구, 혈장, 백혈구, 혈소판으로 구성된 Blood로 320~400cc/unit 양이 주입되며, 2~4시간 동안 주입됩니다. 전혈은 산소운반능력, 혈액량 보충이 요구될 때, 급성출혈, 대량출혈(25% 이상), 수술 시 혈액량 및 산소운반 능력이 동시에 필요한 경우에 사용됩니다.
  • 2. 농축적혈구(Packed Red Blood Cell, PRC)
    농축적혈구는 전혈을 원심분리 또는 침전시켜 혈장 성분을 80% 이상 제거한 적혈구로 240cc/unit 양이 주입되며, 2~4시간 동안 주입됩니다. 농축적혈구는 급성 또는 만성 빈혈, 적혈구 기능 저하, 수술 또는 외상에 의한 혈액손실 시(15% 이상)에 사용됩니다.
  • 3. 세척 적혈구(washed red cell)
    세척 적혈구는 적혈구 농축액을 같은 양의 0.85% N/S으로 2~3회 세척한 적혈구로 200~250cc/unit 양이 주입되며, 2~4시간 동안 주입됩니다. 세척 적혈구는 백혈구, 혈소판 항체를 가진 대상자, 수혈이 필요한 장기이식 대상자, 면역억제환자, 알레르기 환자, 수혈 부작용 가능성이 있는 환자에게 사용됩니다.
  • 4. 백혈구 제거 적혈구(leukocyte-poor RBC)
    백혈구 제거 적혈구는 과립백혈구를 제거한 적혈구로 160~200cc/unit 양이 주입되며, 2~3시간 동안 주입됩니다. 백혈구 제거 적혈구는 백혈구 및 혈장성분에 의한 부작용이 예측되는 경우, 항백혈구 항체로 인한 발열 부작용 예방 및 장기이식 전후, 여러 번 수혈받은 대상자, 장기이식 환자와 같이 면역억제제를 투여하는 경우, 항암제 치료를 받아 면역기능이 저하된 환자에게 사용됩니다.
  • 5. 혈소판 풍부 혈장(Platelet rich Plasma)
    혈소판 풍부 혈장은 전혈 중 혈소판이 80~90% 함유된 200cc/unit 양의 혈액으로 15~30분 동안 주입됩니다. 혈소판 풍부 혈장은 점상출혈, 자반증, 정맥출혈, 비출혈, 악성종양성 혈소판 감소증 등의 지혈기능 회복 시에 사용됩니다.
  • 6. 농축 혈소판(Platelet Concentrates, PC)
    농축 혈소판은 소량의 혈장에 다량의 혈소판(3x10^10/unit)이 포함된 30~50cc/unit 양의 혈액으로 20~30분 동안 주입됩니다. 농축 혈소판은 혈소판 기능장애 대상자, 혈소판 감소 대상자, 출혈 예방(백혈병, 재생불량성 빈혈 등), 지혈기능 회복 시에 사용됩니다.
  • 7. 성분 채집 혈소판(Single Donor Platelet, SDP)
    성분 채집 혈소판은 혈액을 채혈한 뒤, 성분채집기 내에 장착되어있는 원심분리기로 혈구성분과 혈장성분으로 분리하여 필요한 부분만을 채혈하고 나머지는 헌혈자에게 되돌려 주는 것으로 250~300cc/unit 양이 30~60분 동안 주입됩니다. 성분 채집 혈소판은 급성백혈병, 재생불량성 빈혈, 항암치료 등으로 혈소판 수가 20,000 이하로 감소한 대상자에게 사용됩니다.
  • 8. 신선동결혈장(Fresh Frozen Plasma, FFP)
    신선동결혈장은 혈장만 6시간 내 냉동분리(혈액응고인자 포함)된 160~200cc/unit 양의 혈액으로 30~60분 동안 주입됩니다. 신선동결혈장은 혈액응고인자 보충이 필요한 대상자(예: 간질환), 혈액보충(출혈, 쇼크), 단백질 보충(화상), 선천성 응고인자 결핍증, 유전성 응고억제제 결핍증, 비타민K의 결핍증에 사용됩니다.
  • 9. 동결침전제제(Cryoprecipitate, Cryo)
    동결침전제제는 응고인자 Ⅷ, Fibrinogen, Fibronectin이 풍부한 50cc/unit 양의 혈액으로 15~30분 동안 주입됩니다. 동결침전제제는 혈우병 A, 폰빌레브란트병(Von Willebrand's Disease), 선천성 혹은 후천성 섬유소원 결핍증, 파종성 혈관 내 응고증(DIC), 산과적 합병증 등에 사용됩니다.
  • 10. 알부민(albumin)
    알부민은 혈장에서 추출된 100cc/unit 양의 혈액으로 1.5~2시간 동안 주입됩니다. 알부민은 저혈량성 쇼크나 화상 환자에서 감소된 순환혈액량 보충, 저알부민혈증(복수, 흉수, 부종)에 사용됩니다.
  • 11. 수혈 부작용
    수혈 부작용에는 용혈성 수혈 부작용, 발열성 수혈 부작용, 알러지성 수혈 부작용이 있습니다. 수혈 부작용 발생 시 즉시 수혈을 중단하고 생리식염수로 대치하여 IV line을 확보하며, 활력징후 측정 및 환자 상태 파악 후 주치의에게 보고합니다. 수혈 부작용 예방을 위해 대상자의 이름과 등록번호, 입원 팔찌를 확인하고 혈액의 혼탁도 및 침전물을 확인하며, 수혈 전/중/후 대상자의 활력징후와 상태를 확인해야 합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전혈(Whole Blood)
    전혈은 혈액의 모든 성분이 포함된 가장 기본적인 혈액제제입니다. 전혈은 응급 상황이나 대량 출혈 시 신속한 수혈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됩니다. 전혈은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혈장 등 모든 혈액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환자의 전반적인 혈액 상태를 빠르게 회복시킬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전혈은 성분 수혈에 비해 혈액 성분의 농도가 낮고, 보관 기간이 짧아 특정 상황에서는 제한적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환자의 상태와 필요에 따라 전혈 또는 성분 수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농축적혈구(Packed Red Blood Cell, PRC)
    농축적혈구는 전혈에서 혈장과 백혈구, 혈소판 등을 제거하고 적혈구만을 농축한 혈액제제입니다. 농축적혈구는 적혈구 농도가 높아 산소 운반 능력이 높으며, 보관 기간이 길어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만성 빈혈, 출혈성 질환, 수술 전후 등 적혈구 수혈이 필요한 경우에 주로 사용됩니다. 농축적혈구는 전혈에 비해 혈액 성분의 균형이 깨져 있어 환자의 상태에 따라 추가적인 혈액제제 투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농축적혈구 수혈 시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필요에 따라 다른 혈액제제를 함께 투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3. 세척 적혈구(washed red cell)
    세척 적혈구는 적혈구 외의 혈장 성분을 제거하여 만든 혈액제제입니다. 세척 과정을 통해 혈장 단백질, 항체, 전해질 등이 제거되어 알레르기 반응이나 용혈 등의 부작용 위험이 낮습니다. 따라서 세척 적혈구는 알레르기 반응이 있거나 특정 항체가 있는 환자, 신생아 용혈성 질환 환자 등에게 사용됩니다. 세척 적혈구는 보관 기간이 짧고 제조 과정이 복잡하여 일반적인 수혈에는 적합하지 않지만, 특수한 상황에서 필요한 경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 4. 백혈구 제거 적혈구(leukocyte-poor RBC)
    백혈구 제거 적혈구는 전혈에서 백혈구를 제거한 혈액제제입니다. 백혈구 제거 과정을 통해 백혈구 유래 부작용 위험을 낮출 수 있습니다. 이 제제는 백혈구 항원에 대한 감작이 있거나, 백혈구 유래 부작용의 위험이 높은 환자에게 사용됩니다. 또한 장기간 수혈이 필요한 환자, 면역 저하 환자 등에게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백혈구 제거 적혈구는 일반 적혈구에 비해 보관 기간이 짧고 제조 과정이 복잡하지만, 특정 환자군에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혈액제제입니다.
  • 5. 혈소판 풍부 혈장(Platelet rich Plasma)
    혈소판 풍부 혈장은 전혈에서 혈소판을 농축한 혈액제제입니다. 혈소판은 지혈 및 상처 치유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혈소판 풍부 혈장은 출혈 조절, 상처 치유 등에 사용됩니다. 특히 외과 수술, 치과 시술, 화상 치료 등에서 혈소판 풍부 혈장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근골격계 질환이나 피부 질환 치료에도 활용되고 있습니다. 혈소판 풍부 혈장은 자가 혈액을 사용하므로 면역 반응 위험이 낮고, 성장 인자 등이 풍부하여 치료 효과가 기대됩니다. 다만 제조 과정이 복잡하고 보관 기간이 짧은 단점이 있습니다.
  • 6. 농축 혈소판(Platelet Concentrates, PC)
    농축 혈소판은 전혈에서 혈소판을 분리하여 농축한 혈액제제입니다. 농축 혈소판은 혈소판 수가 높아 지혈 능력이 우수하므로, 혈소판 결핍증, 출혈성 질환, 수술 전후 등에 사용됩니다. 또한 화상, 피부 궤양, 근골격계 질환 등의 치료에도 활용되고 있습니다. 농축 혈소판은 자가 혈액을 사용하므로 면역 반응 위험이 낮고, 성장 인자 등이 풍부하여 치료 효과가 기대됩니다. 다만 제조 과정이 복잡하고 보관 기간이 짧은 단점이 있습니다.
  • 7. 성분 채집 혈소판(Single Donor Platelet, SDP)
    성분 채집 혈소판은 단일 공여자의 혈액에서 혈소판만을 분리하여 얻은 혈액제제입니다. 성분 채집 혈소판은 전혈 채혈에 비해 혈소판 수가 높고, 백혈구와 적혈구 등 다른 혈액 성분이 적어 부작용 위험이 낮습니다. 또한 단일 공여자의 혈소판을 사용하므로 공여자 간 면역 반응 위험도 낮습니다. 성분 채집 혈소판은 혈소판 결핍증, 출혈성 질환, 수술 전후 등에 사용되며, 특히 반복적인 수혈이 필요한 환자에게 유용합니다. 다만 제조 과정이 복잡하고 보관 기간이 짧은 단점이 있습니다.
  • 8. 신선동결혈장(Fresh Frozen Plasma, FFP)
    신선동결혈장은 전혈에서 적혈구와 혈소판을 제거하고 혈장만을 분리하여 동결 보관한 혈액제제입니다. 신선동결혈장에는 응고 인자, 단백질, 전해질 등이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어, 출혈성 질환, 응고 장애, 간 기능 저하 등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또한 대량 출혈, 외상, 수술 등의 응급 상황에서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신선동결혈장은 혈장 성분이 풍부하여 환자의 전반적인 혈액 상태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제조 과정이 복잡하고 보관 기간이 짧은 단점이 있습니다.
  • 9. 동결침전제제(Cryoprecipitate, Cryo)
    동결침전제제는 신선동결혈장을 해동하는 과정에서 침전되는 혈장 성분을 분리한 혈액제제입니다. 동결침전제제에는 섬유소원, 제8인자, 제13인자 등의 응고 인자가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동결침전제제는 선천성 또는 후천성 응고 인자 결핍 환자, 대량 출혈 환자 등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동결침전제제는 응고 인자 보충에 효과적이며, 혈장에 비해 부피가 작아 투여가 용이합니다. 다만 제조 과정이 복잡하고 보관 기간이 짧은 단점이 있습니다.
  • 10. 알부민(albumin)
    알부민은 혈장에서 분리한 단백질 성분으로, 혈액 내 삼투압 유지, 약물 운반, 조직 재생 등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합니다. 알부민은 저알부민혈증, 쇼크, 화상, 신부전 등의 치료에 사용됩니다. 알부민은 혈장 단백질 보충, 혈액량 증가, 조직 부종 감소 등의 효과를 나타내어 환자의 상태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혈액 제제에 비해 보관이 용이하고 부작용 위험이 낮은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제조 과정이 복잡하고 비용이 높은 단점이 있습니다.
  • 11. 수혈 부작용
    수혈은 생명을 구하는 중요한 치료법이지만, 부작용 발생 위험이 있습니다. 주요 수혈 부작용에는 용혈 반응, 알레르기 반응, 감염, 순환 과부하, 면역 반응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수혈 전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확인하고, 적절한 혈액제제를 선택하며, 수혈 과정을 세심하게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또한 수혈 후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에 대해 환자와 보호자에게 충분히 설명하고, 신속한 대응 체계를 갖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혈 부작용 예방을 위해서는 의료진의 전문성과 환자 안전에 대한 관심이 필수적입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