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MOOC] 사건과 스캔들로 보는 옛이야기 퀴즈 족보
본 내용은
"
[KMOOC] 사건과 스캔들로 보는 옛이야기 퀴즈 족보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9.02
문서 내 토픽
-
1. 삼국유사와 삼국사기의 공통점삼국유사와 삼국사기는 모두 삼국시대에 쓰여졌으며, 삼국시대 역사를 담고 있다. 하지만 저자가 모두 유학자라거나 고조선 역사가 자세히 쓰여 있지는 않다.
-
2. 삼국유사삼국유사는 일연이 1215년에 인각사에서 썼으며, 신이한 일들도 적극 수용하여 단군, 고주몽 이야기 등을 자세히 서술했다. 또한 단군을 민족의 시조로 인식하고 있으며, 고승 이야기, 불교 관련 건축물 등에 관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어 불교적 성격이 강하다.
-
3. 전기(傳奇)전기는 기이한 이야기를 담고 있는 작품군이며, 당나라의 영향을 받아 국내에서 유행하게 된 문학장르이다. 하지만 통일신라 전반에서 유행했던 것이 아니라 나말여초에 유행하던 문학장르이다.
-
4. 지귀설화지귀설화는 당나라에서 유행한 작품을 번역한 것이며, 선덕여왕과 지귀의 사랑이야기를 담고 있다. 하지만 선덕여왕과 지귀가 만난 장소는 '영묘사'이지 '분황사'가 아니다.
-
5. 박씨전박씨전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은 전쟁에 관한 이야기이며, 변신모티프를 소재로 하고 있다. 또한 남성을 능가하는 여성 영웅의 모습이 담겨 있다. 박씨부인이 거처했던 공간으로 유일하게 전쟁의 피해를 피할 수 있었던 곳은 '피화당'이다.
-
6. 군담소설박씨전과 같이 전쟁 이야기를 담고 있는 소설군을 '군담소설'이라고 한다.
-
7. 강도몽유록강도몽유록은 정묘호란 때 강화도에서 죽은 여성들이 등장하며, 꿈 속에서 여성들의 이야기를 듣고 깨어나는 몽유구조를 갖고 있다. 또한 당시의 양반 지배계층을 비판하는 면도 있다.
-
8. 계축일기계축일기는 광해군과 영창대군을 둘러싼 당쟁을 궁중어 문체로 사실적으로 서술한 작품이다. 하지만 이야기의 재미를 위해 '묘사'에 집중했다거나 [난중일기]와 함께 궁중문학 중 하나라고 볼 수 없다.
-
9. 인현왕후인현왕후는 조선 19대 숙종의 계비이며, 폐서인 되었다가 다시 국모의 자리에 복귀되었다. 장옥정이 왕자 이윤을 낳자 숙종은 이윤을 세자로 책봉하려 했으나, 이를 반대하면서 기사환국(기사사화)이 일어났다.
-
10. 인현왕후전인현왕후전은 궁녀의 작품으로 알려져 있으나 작가가 누구인지는 명확하지 않다. 이 작품은 숙종 당시 서인과 동인의 정치적 당쟁 속에서 펼쳐지는 이야기를 소설체로 쓰고 있으며, 인현왕후의 비극적인 삶을 잘 전해준다.
-
11. 사씨남정기사씨남정기는 처첩 간의 갈등을 다룬 가정소설이며, 당대 가부장제도의 모순을 엿볼 수 있다. 하지만 허균의 작품이 아니라 김만중의 작품이다.
-
1. 주제2: 삼국유사삼국유사는 고려시대 일연 스님이 편찬한 역사 문헌으로, 삼국시대의 역사와 전설, 설화 등을 기록한 중요한 자료입니다. 삼국유사는 단순한 역사 기술에 그치지 않고, 당시 사람들의 삶과 신앙, 문화 등을 생생하게 전달하고 있어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 특히 불교 설화와 전설이 풍부하게 수록되어 있어 고대 한국 불교의 모습을 엿볼 수 있습니다. 삼국유사는 단순한 역사 기록을 넘어 문화와 전통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문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2. 주제4: 지귀설화지귀설화는 한국 고대 설화 중 하나로, 지귀라는 신비한 존재가 등장하는 이야기입니다. 지귀는 인간과 신령한 존재 사이에 존재하는 초월적인 존재로 여겨졌으며, 이들과의 만남을 통해 인간들이 초자연적인 힘을 얻거나 신비로운 경험을 하게 된다는 내용이 주를 이룹니다. 지귀설화는 한국 고대 신앙과 세계관을 반영하고 있으며, 인간과 초월적 존재 간의 관계를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문화사적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설화적 요소들은 한국 문학 전통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쳐왔다고 볼 수 있습니다.
-
3. 주제6: 군담소설군담소설은 전쟁과 군사적 활동을 주요 소재로 다루는 한국 고전 소설의 한 갈래입니다. 이 장르의 작품들은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작가의 상상력과 문학적 기교가 가미되어 있습니다. 군담소설에서는 영웅적 인물의 활약상, 전쟁 과정의 긴장감과 드라마, 전략과 술수 등이 생생하게 묘사되어 있어 흥미롭고 교훈적인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군담소설로는 '계축일기', '인현왕후전' 등이 있으며, 이를 통해 당시 사회상과 문화, 가치관 등을 엿볼 수 있습니다. 군담소설은 한국 고전문학의 중요한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4. 주제8: 계축일기'계축일기'는 17세기 작품으로, 군담소설의 대표적인 작품 중 하나입니다. 이 작품은 임진왜란 당시 의병장 김천일의 활약상을 다루고 있으며, 전쟁의 과정과 전략, 인물들의 영웅적 행동 등이 생생하게 묘사되어 있습니다. 특히 당시 사회상과 문화, 가치관 등이 잘 드러나 있어 역사적, 문화적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작품 속 인물들의 충절과 용기, 지략 등이 잘 표현되어 있어 교훈적인 내용도 담고 있습니다. '계축일기'는 한국 고전문학의 대표적인 군담소설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
5. 주제10: 인현왕후전'인현왕후전'은 조선 시대 인현왕후 김씨의 일생을 다룬 작품입니다. 이 작품은 역사적 인물을 바탕으로 하고 있지만, 작가의 상상력과 문학적 기교가 가미되어 있어 흥미롭고 교훈적인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특히 인현왕후가 겪는 고난과 역경, 그리고 이를 극복해나가는 과정이 생생하게 그려져 있어 작품의 감동을 더합니다. 또한 당시 사회상과 정치적 상황, 유교적 가치관 등이 잘 드러나 있어 역사적, 문화적 의미도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인현왕후전'은 한국 고전문학의 대표적인 군담소설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