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백질 분석(SDS-PAGE & Fluorescence)
본 내용은
"
14주차_SDS page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9.02
문서 내 토픽
  • 1. SDS-PAGE
    SDS-PAGE는 Sodium dodecyl sulfate - polyacrylamide gel eletrophoresis의 약자로, 5~250 kDa 사이의 단백질을 분리할 때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SDS는 단백질에 결합하여 전하의 영향을 배제하고 크기에 의해 이동속도가 결정되도록 합니다. 또한 DTT와 같은 reducing agent는 단백질의 disulfide bond를 변성시켜 linear한 1차 구조로 만듭니다. SDS-PAGE 후 단백질을 확인하기 위해 Coomassie Briliant Blue, silver staining 등의 staining 방법을 사용합니다.
  • 2. Fluorescence spectroscopy
    emGFP는 488nm의 빛을 흡수하여 excitation되며, 510nm 부근에서 최대 emission peak를 나타냅니다. 이를 통해 emGFP의 형광 특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SDS-PAGE
    SDS-PAGE (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는 단백질 분자량 분석을 위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기술 중 하나입니다. 이 기술은 단백질 시료를 SDS(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처리하여 단백질의 고유한 전하를 마스킹하고, 분자량에 비례하는 음전하를 부여합니다. 이렇게 처리된 단백질은 전기영동을 통해 분자량에 따라 분리되며, 염색 과정을 거쳐 밴드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SDS-PAGE는 단백질의 순도 확인, 분자량 추정, 단백질 복합체 분석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단백질 연구 분야에서 필수적인 기술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 2. Fluorescence spectroscopy
    형광분광법(Fluorescence spectroscopy)은 형광 물질의 특성을 분석하는 기술로, 생물학, 화학, 물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기술은 특정 파장의 빛을 시료에 조사하면 시료 내 형광 물질이 들뜬 상태가 되어 더 낮은 에너지 수준의 빛을 방출하는 현상을 이용합니다. 이를 통해 시료 내 특정 물질의 농도, 분포, 상호작용 등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형광분광법은 민감도가 높고, 비파괴적이며,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 생물학 및 의학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단백질, 핵산, 세포 내 대사물질 등의 분석에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