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호발생기와 오실로스코프 사용법_예비레포트
본 내용은
"
신호발생기와 오실로스코프 사용법_예비레포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1.06
문서 내 토픽
  • 1. 신호발생기
    신호발생기는 정현파, 구형파, 삼각파 및 톱니파와 같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신호 파형을 발생시키는 장치입니다. 이러한 신호는 일정한 파형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파형이 반복되는 시간을 주기라 하며, 이의 역수를 주파수라 합니다. 같은 주파수라 하더라도 파형이 시작되는 시점을 위상이라 하며, 기준 전압이 0이 아닌 경우의 기준 전압을 옵셋(offset) 전압이라 합니다. 구형파의 경우 출력이 high인 시간과 low인 시간의 비율을 듀티 팩터(duty factor)라 하며, 시간에 따라 주파수가 바뀌는 신호를 주파수 소인(sweep) 신호라고 합니다.
  • 2. 오실로스코프
    오실로스코프는 파형을 관측하는 계측기로 수평축을 시간으로, 수직축을 크기로 표시합니다. 수평축의 길이가 제한되어 있어 일정한 시간 동안의 파형만을 표시할 수 있으므로 연속적으로 오실로스코프로 입력되는 신호의 파형을 보기 위해서는 일정한 간격으로 시간을 나누어 반복하여 화면의 왼쪽으로부터 표시해야 합니다. 이때 관찰하고자 하는 시간 간격을 소인 시간(sweep time)이라 하며, 소인의 시작 시점을 정해주는 것을 트리거(trigger)라 합니다. 트리거 레벨을 통과하면 이 시점을 시작으로 정해진 소인 시간 동안의 입력 신호의 파형을 표시한 후 입력 신호가 다시 트리거 레벨을 지날 때까지 화면에 입력 파형을 표시하지 않다가 입력 신호가 트리거 레벨을 다시 지나게 될 때 이 시점을 시작으로 다시 파형이 화면에 표시되게 합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신호발생기
    신호발생기는 전자 회로 설계와 테스트에 필수적인 장비입니다. 이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전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어 회로의 동작을 확인하고 문제를 진단하는 데 활용됩니다. 신호발생기는 정현파, 사각파, 삼각파 등 다양한 파형을 생성할 수 있으며, 주파수와 진폭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회로의 주파수 특성과 동작 특성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신호발생기는 디지털 회로 테스트에도 사용되며, 마이크로컨트롤러나 DSP 등의 동작을 확인하는 데 유용합니다. 신호발생기는 전자 회로 설계와 테스트에 없어서는 안 될 필수적인 장비라고 할 수 있습니다.
  • 2. 오실로스코프
    오실로스코프는 전자 회로 분석과 테스트에 가장 중요한 장비 중 하나입니다. 이 장치는 전기 신호의 파형을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어 회로의 동작을 이해하고 문제를 진단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오실로스코프를 통해 신호의 진폭, 주파수, 위상 등 다양한 특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회로의 설계와 동작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오실로스코프는 디지털 회로 테스트에도 활용되며, 마이크로컨트롤러나 DSP 등의 동작을 분석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오실로스코프는 전자 회로 설계와 테스트에 없어서는 안 될 핵심 장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