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재무분석
본 내용은
"
삼성전자 재무분석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8.28
문서 내 토픽
  • 1. 재무상태표 분석
    삼성전자의 재무상태표를 분석한 결과, 유동성 분석에서 유동비율 177.44%, 당좌비율 138.17%, 현금비율 9.16%, 순운전자본비율 14.39%로 나타났습니다. Leverage 분석에서는 부채비율 25.85%, 자기자본비율 79.46%, 차입금의존도 2.28%, 이자보상비율 137.22배, 차입금평균이자율 10.32배, EBITDA/이자비용비율 205.35배로 나타났습니다. 자본배분의 안정성 분석에서는 비유동비율 84.35%, 비유동 장기적합률 82.32%로 나타났으며, 자산구성 분석에서는 유동자산 구성비율 32.98%, 유형자산 구성비율 29.87%, 투자자산 구성비율 32.34%로 나타났습니다.
  • 2. 포괄손익계산서 분석
    삼성전자의 포괄손익계산서 분석 결과, 수익성 지표에서 매출액 총이익률 29.58%, 매출액 영업이익률 13.11%, 매출액 세전순이익률 14.69%, 매출액 순이익률 12.32%, 총자본 영업이익률 14.76%, 기업세전 순이익률 19.10%, 자기자본 순이익률 17.90%, 총자본 순이익률 13.87%로 나타났습니다. 활동성 지표에서는 총자산회전율 1.13회, 자기자본회전율 1.45회, 비유동자산회전율 1.69회, 재고자산회전율 26.20회, 매출채권회전율 8.69회, 매입채무회전율 22.2회로 나타났습니다. 생산성 지표에서는 부가가치 437,893.8억 원, 부가가치율 31.01%, 노동생산성 4.83, 자본생산성 32.86%, 노동소득분배율 7.2%로 나타났습니다.
  • 3. 시장가치 분석
    삼성전자의 시장가치 분석 결과, PER은 실제치 14.88배, 정상치 11.5052배로 과대평가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PBR은 실제치 2.1661배, 정상치 1.8903배로 과대평가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PSR은 실제치 1.8338배, 정상치 1.4174배로 과대평가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PCR은 11.2263배로 인텔의 6.4955배보다 높아 현금흐름 대비 주가의 가치가 고평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EV/EBITDA는 10.06배로 인텔의 9.54배보다 높아 시가총액 대비 현금창출능력이 인텔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4. ROE분석과 지수법 분석
    삼성전자의 ROE 분석 결과, ROA는 13.87%, ROE는 17.90%로 나타났습니다. 지수법 분석 결과, 유동비율 33.53점, 부채비율 71.41점, 비유동비율 18.82점, 매출채권회전율 12.01점, 재고자산회전율 11.07점, 비유동자산회전율 9.02점, 자기자본회전율 3.56점으로 총점 159.42점으로 나타났습니다.
  • 5. Leverage분석과 BEP분석
    삼성전자의 Leverage 분석 결과, DOL(영업레버리지)은 1.49, DFL(재무레버리지)은 1.003, DCL(총레버리지)은 1.497로 나타났습니다. BEP 분석 결과, 손익분기점 매출액은 465,901억 원, 손익분기점 비율은 33.0%, 마진율은 67.0%로 나타났습니다.
  • 6. 기업가치 평가 분석
    삼성전자의 기업가치 평가 분석 결과, 기업잉여현금흐름 기준 분석에서 기업가치는 1,124,882.5억 원, 자기자본의 시장가치는 1,093,763.8억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EVA 분석에서는 71,671.7억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SWOT 분석 결과, 강점으로는 다양한 제품 및 특허, TV시장 1위, 메모리 반도체 시장 지배력, 기술 노하우 등이 있고, 약점으로는 애플과의 특허소송, 아마존/구글과의 기술 격차, 수익성 악화 우려 등이 있습니다. 기회요인으로는 HHP 시장 확대, 중동/아프리카 TV시장 확대, 모바일 지배력 확대 등이 있고, 위협요인으로는 경쟁업체의 수직적 통합, 중국업체의 가격경쟁력, 정부 규제 등이 있습니다.
  • 7. 요약 재무제표 분석
    삼성전자의 요약 재무제표 분석 결과, 2012년 12월 기준 자산총계는 1,332,641억 원, 부채총계는 273,762억 원, 자본총계는 1,058,879억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현금흐름표 분석 결과, 영업활동현금흐름은 230,656억 원, 투자활동현금흐름은 -212,064억 원, 재무활동현금흐름은 -23,085억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포괄손익계산서 분석 결과, 매출액은 1,412,064억 원, 매출원가는 994,320억 원, 매출총이익은 417,744억 원, 영업이익은 185,104억 원, 당기순이익은 173,985억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 8. 평균주가 분석
    삼성전자의 평균주가 분석 결과, 2012년 7월부터 12월까지 보통주 주가는 최고 1,533,000원, 최저 1,091,000원, 평균 1,482,167원으로 나타났습니다. 우선주 주가는 최고 882,000원, 최저 690,000원, 평균 855,167원으로 나타났습니다. 보통주 거래량은 최고 일 614,229주, 최저 일 133,300주, 월간 5,465천주로 나타났고, 우선주 거래량은 최고 일 67,854주, 최저 일 7,357주, 월간 608천주로 나타났습니다.
  • 9. 재무비율 분석
    삼성전자의 재무비율 분석 결과, 유동성 비율에서 유동비율 177.44%, 당좌비율 138.17%, 현금비율 9.16%, 순운전자본비율 14.39%로 나타났습니다. Leverage 비율에서 부채비율 25.85%, 자기자본비율 79.46%, 차입금의존도 2.28%, 이자보상비율 137.22배, 차입금평균이자율 10.32배, EBITDA/이자비용비율 205.35배로 나타났습니다. 자본배분의 안정성 비율에서 비유동비율 84.35%, 비유동 장기적합률 82.32%로 나타났습니다.
  • 10. 활동성 및 생산성 분석
    삼성전자의 활동성 및 생산성 분석 결과, 총자산회전율 1.13회, 자기자본회전율 1.45회, 비유동자산회전율 1.69회, 재고자산회전율 26.20회, 매출채권회전율 8.69회, 매입채무회전율 22.2회로 나타났습니다. 생산성 지표에서는 부가가치 437,893.8억 원, 부가가치율 31.01%, 노동생산성 4.83, 자본생산성 32.86%, 노동소득분배율 7.2%로 나타났습니다.
  • 11. 성장성 분석
    삼성전자의 성장성 분석 결과, 매출액증가율 16.88%, 총자산증가율 13.32%, 자기자본증가율 19.71%, 순이익 증가율 73.15%, 주당이익 증가율 73.15%로 나타났습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재무상태표 분석
    재무상태표는 기업의 재무 상황을 보여주는 가장 중요한 재무제표 중 하나입니다. 이를 통해 기업의 자산, 부채, 자본 등을 파악할 수 있으며, 기업의 재무 건전성과 유동성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재무상태표 분석을 통해 기업의 재무 건전성, 자금 조달 능력, 투자 여력 등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기업의 미래 성장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재무상태표 분석은 기업 투자 의사결정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2. 포괄손익계산서 분석
    포괄손익계산서는 기업의 수익과 비용을 보여주는 재무제표로, 기업의 경영 성과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이를 통해 기업의 매출,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기업의 수익성과 효율성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또한 포괄손익계산서 분석을 통해 기업의 비용 구조와 수익 구조를 파악할 수 있어, 기업의 경영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포괄손익계산서 분석은 기업의 재무 건전성과 성장 가능성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3. 시장가치 분석
    시장가치 분석은 기업의 주식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기업의 미래 성장 가능성과 수익성을 고려하여 기업의 가치를 산출합니다. 이를 통해 기업의 현재 주가가 적정한지, 과대 또는 과소 평가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시장가치 분석은 기업의 재무 상황, 산업 전망, 경쟁 환경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기업의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시장가치 분석은 기업 투자 의사결정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4. ROE분석과 지수법 분석
    ROE(자기자본이익률)는 기업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로, 기업의 자기자본 대비 당기순이익 비율을 의미합니다. ROE 분석을 통해 기업의 수익성과 효율성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기업의 성장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한편, 지수법 분석은 기업의 과거 재무 데이터를 바탕으로 미래 성과를 예측하는 방법으로, 기업의 성장성과 수익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기업의 장기적인 가치를 평가할 수 있으며, 투자 의사결정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ROE 분석과 지수법 분석은 기업 가치 평가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5. Leverage분석과 BEP분석
    Leverage 분석은 기업의 부채 수준을 파악하여 재무 건전성을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기업의 자본 구조와 재무 위험을 파악할 수 있으며, 기업의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한편, BEP(손익분기점) 분석은 기업의 수익성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기업이 손실을 보지 않고 이익을 내기 위해 필요한 매출액 수준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기업의 수익성과 효율성을 평가할 수 있으며, 기업의 경영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Leverage 분석과 BEP 분석은 기업의 재무 건전성과 수익성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6. 기업가치 평가 분석
    기업가치 평가 분석은 기업의 내재가치를 파악하여 기업의 적정 가치를 산출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기업의 현재 주가가 과대 또는 과소 평가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기업의 미래 성장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기업가치 평가 분석에는 다양한 방법론이 사용되며, 각 방법론마다 장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기업의 특성과 산업 환경을 고려하여 적절한 방법론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업가치 평가 분석은 기업 투자 의사결정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기업의 장기적인 가치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7. 요약 재무제표 분석
    요약 재무제표 분석은 기업의 재무 상황을 간단하고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기업의 자산, 부채, 자본, 수익, 비용 등의 주요 재무 정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으며, 기업의 재무 건전성과 수익성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요약 재무제표 분석은 기업의 전반적인 재무 상황을 파악하는 데 유용하며, 투자 의사결정이나 경영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요약 재무제표 분석은 기업 분석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8. 평균주가 분석
    평균주가 분석은 기업의 주가 변동 추이를 파악하여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기업의 주가가 적정한지, 과대 또는 과소 평가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기업의 미래 성장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평균주가 분석에는 다양한 지표와 방법론이 사용되며, 이를 통해 기업의 주가 변동 패턴과 투자 매력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평균주가 분석은 기업 투자 의사결정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9. 재무비율 분석
    재무비율 분석은 기업의 재무 상황을 다양한 지표를 통해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기업의 수익성, 안정성, 활동성, 성장성 등을 파악할 수 있으며, 기업의 재무 건전성과 경영 성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재무비율 분석은 기업 간 비교 분석, 시계열 분석, 산업 평균 비교 등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기업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재무비율 분석은 기업 투자 의사결정과 경영 전략 수립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10. 활동성 및 생산성 분석
    활동성 및 생산성 분석은 기업의 자산 운용 효율성과 생산 능력을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기업의 재고 회전율, 자산 회전율, 매출액 대비 생산성 등을 파악할 수 있으며, 기업의 운영 효율성과 경쟁력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활동성 및 생산성 분석은 기업의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을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되며, 경영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활동성 및 생산성 분석은 기업 경영 분석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11. 성장성 분석
    성장성 분석은 기업의 미래 성장 가능성을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기업의 매출 증가율, 영업이익 증가율, 자산 증가율 등을 파악할 수 있으며, 기업의 장기적인 경쟁력과 수익성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성장성 분석은 기업의 과거 실적과 미래 전망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기업의 투자 매력도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성장성 분석은 기업 투자 의사결정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