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외 보건의료정책변화-한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본 내용은
"
A+++ 보장) 국외 보건의료정책변화-한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 간호관리학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8.24
문서 내 토픽
-
1. 2010 National Vaccine Plan2010 National Vaccine plan은 미국 보건사회복지부에서 개발한 국가예방접종사업 전략입니다. 이 전략은 백신 및 관련된 이슈들에 대해 포괄적으로 접근하면서 미국 뿐 아니라 전세계적인 관점에서 접근하였습니다. 향후 10년간의 전략으로써, 새로운/개선된 백신 개발 및 백신 안정성 강화, 백신 의사결정을 강화하기 위한 커뮤니케이션 지원, 미국에서 권장 백신의 안정적인 공급, 접근 및 더 나은 사용 보장, 안전하고 효과적인 예방접종을 통한 사망 및 질병의 글로벌 예방 증진을 5대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2. 백신 정책, 기술 및 공중 보건 인프라 발전지난 10년 간의 백신 정책, 기술 및 공중 보건 인프라의 발전을 통해 관행법의 범위를 확대하고 전달 환경 전반에 걸쳐 백신 상태를 추적하는 향상된 기능을 포함하여 백신 접근성이 개선되었습니다. 이러한 혁신은 질병 예방에 대한 국가의 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습니다.
-
3. 성인용 백신 플랫폼 확장대상포진 및 폐렴구균 질환에 대한 새로운 백신을 특징으로 하는 성인용 백신 플랫폼의 확장과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RSV) 및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리 후보를 포함한 강력한 백신 개발 파이프라인은 백신으로 예방 가능한 질병의 범위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
4. 건강보험개혁법(ACA)의 백신 접종 지원건강보험개혁법(Affordable Care Act, ACA)은 메디케이드 확대 인구를 위한 백신의 1달러 보장을 확대하여 수백만 명의 저소득 미국인의 백신 접종에 대한 재정적 장벽을 제거했습니다.
-
5. 예방 접종 정보 시스템(IIS) 개선의료 데이터 시스템의 가치에 대한 인식과 투자가 증가함에 따라 예방 접종 정보 시스템(IIS)이 크게 개선되었습니다.
-
1. 2010 National Vaccine PlanThe 2010 National Vaccine Plan was an important initiative that aimed to improve the United States' vaccination system and increase vaccination rates. The plan outlined key goals and strategies to strengthen vaccine development, distribution, and access, as well as to improve vaccine safety monitoring and communication. Overall, the plan represented a comprehensive approach to enhancing the nation's public health infrastructure and protecting individuals from vaccine-preventable diseases. While progress has been made in some areas, such as increasing adult vaccination rates, there is still room for improvement in areas like addressing vaccine hesitancy and ensuring equitable vaccine access. Continued investment and collaboration between government, healthcare providers, and communities will be crucial to fully realizing the plan's vision and improving vaccination outcomes across the country.
-
2. Expansion of adult vaccine platformsExpanding adult vaccine platforms is an important priority to improve vaccination coverage and protect the health of the population. Adults face unique barriers to vaccination, such as lack of awareness, access, and recommendation from healthcare providers. Developing and promoting adult-focused vaccine platforms, including workplace and community-based vaccination programs, can help address these barriers and increase vaccination rates among this population. Additionally, integrating adult vaccination into routine clinical care and leveraging digital technologies to improve vaccination tracking and reminders can further support these efforts. Ultimately, a multi-faceted approach that addresses the specific needs and challenges of adult vaccination is crucial to ensuring that all individuals, regardless of age, have access to the protection offered by vaccines.
-
3. Improvements to Immunization Information Systems (IIS)Improving Immunization Information Systems (IIS) is a critical step in enhancing the nation's vaccination infrastructure and improving vaccination outcomes. IIS are confidential, population-based, computerized information systems that collect and consolidate vaccination data from multiple sources, providing a comprehensive record of an individual's vaccination history. Enhancing the functionality, interoperability, and utilization of IIS can lead to numerous benefits, such as improved vaccine coverage tracking, better identification of under-vaccinated populations, and more efficient vaccine management and distribution. Additionally, integrating IIS with electronic health records and other digital health technologies can further streamline vaccination data collection and improve clinical decision-making. Investing in the development and modernization of IIS, as well as promoting their widespread adoption and use, will be crucial to strengthening the nation's public health infrastructure and ensuring that all individuals have access to the protection offered by vaccines.
-
A+감염병 관련 국내외 보건의료정책변화1. 감염병 관련 국내외 보건의료정책 최근 자주 발생하는 국내외 감염병의 종류와 감염병 관련 보건의료정책의 필요성에 대해 이론적 문헌고찰을 수행하였다. 국가 간 교역과 여행 증가로 인한 해외유입질환의 증가, 사스, 조류인플루엔자, 메르스, 지카바이러스감염증, 코로나19 등 신종 감염병의 발생과 확산이 지속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감염병 예방과 대응을 위한 체...2025.01.23 · 보건
-
감염병 관련 국내 보건의료정책변화1. 최근 자주 발생하는 국내외 감염병의 종류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발생하여 2024년 현재까지도 계속되고 있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는 WHO에서 세 번째 펜더믹으로 선언할만큼 강력하고도 무서운 감염병이라고 할 수 있다. COVID-19의 세계적 대유행으로 인해 아직까지도 국민의 일상생활은 위기를 겪고 있다. 2009년 사스...2025.01.10 · 보건
-
국내외 건강증진 보건의료정책 변화 보고서1. 건강증진 보건의료정책 필요성 건강증진은 사람들이 그들의 건강을 개선하고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을 높여주는 과정이다. 현재 병약하고 경제적 자립도가 낮은 노인인구 집단이 증가하고 소득의 양극화 심화로 인한 건강취약 가정이 발생하고 있다. 기후변화와 국제화 등에 따른 신종 감염병이 출현되고 해외 유입 감염병도 증가하고 있으며 건강생활습관 등의 건강결정요인이...2025.04.28 · 보건
-
국내외 간호연구 동향 flow chat1. 간호연구 역사 간호연구의 역사는 1859년 나이팅게일의 'Notes on Nursing' 출판으로 시작되었다. 이후 크리미아 전쟁에서 관찰 기록의 중요성이 강조되었고, 정규 간호교육기관 설립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초창기에는 간호교육에 관심이 집중되었으나, 점차 변화하는 간호업무와 간호자원에 대한 정기적 점검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1900년대 초반에...2025.01.13 · 의학/약학
-
지역사회간호학 국내외 보건정책 변화 15페이지
202000000 000- 목 차 -1. 서 론..................................................................................................................1P2. 본 론..................................................................................................................1P2-1. 보건 의료.............................2023.09.10· 15페이지 -
지역사회간호학 국내외보건의료정책변화 7페이지
REPORT< 국내외 보건의료정책 변화 >( 우리나라와 미국, 일본 보건의료장책 변화 )?실습 기간?제출 날짜?담당 교수?과 목?학번 및 반?이 름지역보건사업을 위한 국내?외 보건의료정책변화지역보건사업을 위한 국내?외 보건의료 정책의 변화를 조사하여 기술하시오.사례명(제목)우리나라와 미국, 일본의 보건의료정책 변화Ⅰ. 국내 보건의료정책 변화우리나라는 1945년 광복 이후 일제강점기의 관료주의적 경성부 체제에서 벗어나 이 군정청 내 보건후생부를 두고 보건의료정책을 담당하게 시작하였다. 그리고 2010년 이후 정부는 효율적이고 형평성 ...2020.10.24· 7페이지 -
[지역사회간호] 국내외 재난 보건의료정책 변화보고서 (한국, 미국, 대만) 13페이지
국내외 재난 보건의료정책 보고서- 한국, 미국, 대만 -목 차Ⅰ. 서론 P. 11. 최근 자주 발생하는 국내ㆍ국외 재난의 종류, 재난 보건의료정책 개념, 재난 보건의료정책의 필요성에 대한 이론적 문헌고찰 내용을 기술하시오.Ⅱ. 본론 P. 32. 국내와 국외 재난 보건의료정책을 기술하고, 정책의 변화에 대해 기술하시오.3. 국내ㆍ국외 재난 보건의료정책에 대한 비교내용을 기술하시오.- 유사점- 차이점4. 향후 국내ㆍ국외 재난 보건의료정책 수립을 위한 제안과 수정해야할 점을 기술하시오.- 국내- 국외Ⅲ. 결론 P. 105. 과제를 수행하...2021.10.01· 13페이지 -
감염병 관련 국내 보건의료 정책변화 보고서 (완벽정리/A+자료) 15페이지
감염병관련 국내 보건의료정책변화 보고서목차Ⅰ. 서론3-41. 최근 자주 발생하는 국내외 감염병의 종류, 감염병 관련 보건의료정책의 필요성에 대한 이론적 문헌고찰 내용을 기술하시오.3Ⅱ. 본론4-142. 국내와 국외(예: 미국, 영국 등) 감염병 관련 보건의료정책을 기술하고, 정책의변화에 대해 기술하시오.43. 국내 · 국외 감염병 관련 보건의료정책에 대한 비교 분석한 내용을 기술하시오.11- 유사점 기술- 차이점 기술4. 향후 국내 · 국외 감염병 관련 보건의료정책 수립을 위한 제안과 수정해야 할점을 기술하시오.13- 향후 국내 감...2022.05.25· 15페이지 -
아동간호학_ 취약아동의 건강문제와, 그에 따른 아동과 가족의 문제, 해결방안-학대아동을 중심적으로[국내외 보건의료정책변화와 문제점, 해결방안 기재] 5페이지
취약아동의 건강문제와, 그에 따른 아동과 가족의 문제와 해결방안-학대아동을 중심적으로-수강 과목 : 아동건강간호학담당 교수 :제출 날짜 :학과 : 간호학과학번 :이름 :1. 취약아동의 건강문제 파악아동학대의 개념은 아동이 정상적인 발달에 맞추어 적절하게 보호받지 못하는 상황, 즉 ‘부적절한 보호’로 정의내리고 있다. 구체적으로 신체에 손상을 주는 신체학대, 성희롱, 성학대, 정서학대와 방임으로 학대 유형을 정의하고 이를 금지행위로 명시하고 있다. 아동학대의 원인은 크게 부모관련, 아동관련, 가정요인, 환경적 요인으로 나뉜다. 그러나...2024.03.02· 5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