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친화도시에 대해 정리하고, 우리나라의 아동친화도시 사례를 3가지 이상 기술하세요
본 내용은
"
아동친화도시에 대해 정리하고, 우리나라의 아동친화도시 사례를 3가지 이상 기술하세요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8.23
문서 내 토픽
  • 1. 아동친화도시
    아동친화도시는 UN 아동권리협약을 준수하여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차별과 불평등을 없애고 아동의 권리를 보장하는 도시를 의미합니다. 아동친화도시는 1996년 이스탄불에서 개최된 UN 정주회의에서 처음 발의되었으며, 2000년 이탈리아 유니세프 리서치 센터에 사무국이 설립되면서 유럽을 중심으로 확산되었습니다. 아동친화도시의 구성요소에는 아동의 의견 청취, 아동권리 증진을 위한 조례 및 규정, 아동권리 전략 개발, 아동 참여 기구 마련, 아동 영향 평가 체계, 아동 예산 확보 및 분석, 아동권리 모니터링, 아동권리 교육, 아동권리 증진 기구 개발, 안전하고 깨끗한 환경 조성 등이 포함됩니다. 아동친화도시에 사는 아이들은 안전하고 차별 없이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으며, 녹색공간과 문화행사 등을 누릴 수 있습니다.
  • 2. 우리나라의 아동친화도시 사례
    우리나라에서는 강원도 횡성군, 전남 순천시, 제주특별시, 경기도 용인시, 경기도 광명시, 세종특별시, 서울특별시 강동구와 광진구 등이 아동친화도시를 표방하고 있습니다. 구체적인 사례로는 전남 완주군, 서울 종로구, 인천 서구의 '옐로카펫' 사업, 서울 강서구의 '어린이 구청' 모바일 홈페이지 개설, 청주시의 아동학대 예방 및 보호 체계 구축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사례들은 아동의 안전과 권리 보장을 위한 지자체의 노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아동친화도시
    아동친화도시는 아동의 권리와 복지를 최우선으로 고려하여 도시 정책과 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아동이 안전하고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아동의 참여와 의견 수렴을 통해 아동의 요구사항을 반영할 수 있습니다. 아동친화도시는 아동의 삶의 질 향상과 더불어 지역사회 전체의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아동친화도시 조성은 매우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 2. 우리나라의 아동친화도시 사례
    우리나라에서도 아동친화도시 조성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서울시 성북구, 경기도 성남시, 전라북도 전주시 등이 있습니다. 이들 지자체는 아동의 권리와 참여를 보장하는 조례를 제정하고, 아동 관련 정책과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아동 안전, 놀이 공간 확충, 교통 환경 개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아동친화적인 도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사례들은 우리나라에서도 아동친화도시 조성이 점차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향후 더 많은 지자체가 아동친화도시 조성에 나설 것으로 기대됩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