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튼(R. K. Merton)의 아노미 이론을 포함하여 동조, 도피를 설명하시오
본 내용은
"
머튼(R. K. Merton)의 아노미 이론을 포함하여 동조, 도피를 설명하시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8.22
문서 내 토픽
  • 1. 머튼 아노미 이론
    아노미 이론은 사회구조적 접근 방법의 첫 번째 계열이라고 볼 수 있다. '아노미'라는 개념은 뒤르켐이 사회분업론에서 무규제의 상황을 설명하기 위하여 처음 사용했고 이후 자살을 설명하는 개념으로 사용됐다. 머튼은 1938년 발간한 논문에서 특정한 사회에서 문화적인 목표는 지나치게 강조되는 반면 제도적인 수단으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기회가 제한되어 있기에 사회적으로 긴장하는 현상이 발생한다고 보았다.
  • 2. 동조
    동조는 실제 현상에서나 상상 속에서 발생하는 집단의 압력으로 인하여 개인이나 집단이 기대하는 대로 생각 및 행동을 변화시키거나 자발적으로 따라 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동조가 발생하는 이유는 정보적 영향과 규범적 영향으로 볼 수 있다.
  • 3. 도피
    영화 기생충에 나오는 박 사장 일가의 행동에서 아노미 현상을 엿볼 수 있다. 김 씨 가족은 가족 부양의 수단인 돈을 위하여 구차한 일생을 견디다가 고조된 갈등 상황에서 분노를 폭발시킨 뒤, 현실을 도피하며 은둔형 인간이 되어서 지내게 된다. 도피가 지속된다면 자신뿐만 아니라 주변 사람들에게도 피해를 입힐 수 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주제2: 동조
    동조는 개인이 집단의 압력이나 영향에 의해 자신의 태도나 행동을 변화시키는 현상을 말합니다. 동조는 때로는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지만, 때로는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집단 내에서 부정적인 행동이 만연할 경우 개인은 그에 동조하게 되어 문제가 더욱 심각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동조 현상에 대한 이해와 함께 개인의 비판적 사고와 자율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집단 내에서 긍정적인 규범과 가치관을 형성하는 것도 필요할 것입니다. 결국 동조 현상에 대한 균형 잡힌 이해와 대응이 필요한 것으로 보입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