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간호학과 건강사정 - 흉곽과 폐 사정
본 내용은
"
(A+) 간호학과 건강사정 흉곽과 폐 사정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8.22
문서 내 토픽
-
1. 건강력 파악대상자의 주요 증상인 기침, 객담, 호흡곤란, 흉통 등을 확인하였습니다. 기침은 3일 전부터 있었고 오후에 더 심해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객담은 노랗고 냄새나며 끈적이는 양상이었습니다. 호흡곤란과 흉통 여부는 확실하지 않습니다. 과거 폐질환 병력, 흡연력, 작업환경 등도 확인하였습니다.
-
2. 시진흉곽의 형태와 움직임은 정상적이었습니다. 호흡수는 분당 18회이며, 한 쪽 콧구멍이 막혀 호흡이 힘든 것으로 관찰되었습니다. 피부는 전체적으로 붉은 기가 도는 노란 색을 보였고, 오른쪽 견갑골 부위에 화상 자국과 등에 긁힌 상처가 있었습니다. 처음에는 부자연스러운 자세를 취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러워졌습니다. 의식수준은 명료하였습니다.
-
3. 촉진흉곽 확장은 대칭적이었고, 촉각 진탕음은 견갑골 사이와 흉골 주변 흉벽에서 가장 뚜렷하게 나타났습니다. 체온은 전체적으로 따뜻한 편이었고, 피부는 건조한 상태였습니다. 오른쪽 견갑골 부위의 화상 자국 주위 피부를 누르면 통증이 있었습니다.
-
4. 타진폐의 타진 소견은 낮으면서 맑은 소리의 공명음이 나타났습니다. 횡격막 운동 범위는 정상 범위인 3~5.5cm였습니다.
-
5. 청진정상 호흡음인 기관지음, 기관지폐포음, 폐포음이 관찰되었습니다. 비정상 호흡음인 우발음은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성음 검사에서는 기관지 성음과 양명성음이 정상 범위였습니다.
-
1. 건강력 파악건강력 파악은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의사는 환자의 병력, 가족력, 생활 습관 등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진단과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건강력 파악은 환자와의 신뢰 관계 형성에도 도움이 되며, 환자 중심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따라서 의사는 환자와의 면담을 통해 건강력을 세밀히 파악하고, 이를 진료 과정에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합니다.
-
2. 시진시진은 환자의 외관과 증상을 관찰하여 진단에 활용하는 중요한 의료 기술입니다. 의사는 시진을 통해 환자의 피부 색, 표정, 자세, 호흡 양상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질병의 징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특히 피부 질환, 신경계 질환, 순환기 질환 등에서 시진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시진은 비침습적이고 간단한 방법이므로, 환자의 불편감을 최소화하면서도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사는 시진 기술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고, 이를 진료 과정에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합니다.
-
3. 촉진촉진은 의사가 손과 손가락을 이용하여 환자의 신체 부위를 직접 만져보는 진찰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의사는 장기의 크기, 모양, 경도, 압통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질병의 진단과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특히 복부, 관절, 림프절 등의 촉진은 매우 중요한 진찰 방법입니다. 또한 촉진은 환자와의 신뢰 관계 형성에도 도움이 되며, 환자의 불편감을 최소화하면서도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사는 촉진 기술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고, 이를 진료 과정에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합니다.
-
4. 타진타진은 의사가 환자의 신체 부위를 두들려 소리를 듣고 분석하는 진찰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의사는 장기의 크기, 모양, 밀도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질병의 진단과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특히 폐, 심장, 복부 등의 타진은 매우 중요한 진찰 방법입니다. 또한 타진은 비침습적이고 간단한 방법이므로, 환자의 불편감을 최소화하면서도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사는 타진 기술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고, 이를 진료 과정에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합니다.
-
5. 청진청진은 의사가 청진기를 이용하여 환자의 신체 부위에서 나는 소리를 듣고 분석하는 진찰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의사는 폐, 심장, 혈관 등의 기능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질병의 진단과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특히 호흡기 질환, 심혈관 질환 등에서 청진은 매우 중요한 진찰 방법입니다. 또한 청진은 비침습적이고 간단한 방법이므로, 환자의 불편감을 최소화하면서도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사는 청진 기술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고, 이를 진료 과정에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합니다.
-
간호학과 건강사정 case study/ 건강력 사정 10페이지
과목명 : 상급 건강사정담당교수 : 김**교수님 / 김**교수님학과 : 간호학과학번 : 22******이름 : 이**[건강력]개인력이름 : 조**주소 : 충남 계룡시전화번호 : 010********다른 연락할 사람 (대상자와의 관계) :0103089**** (모)나이 : 29세결혼 여부 : 미혼부양가족 : 없음교육수준 : 대졸성 : 여성직업 : 간호사건강보험 : 직장가입자 건강보험과거력아동기 질환 : 없음입원 : 2016/3 수술 후 입원수술 : 2016/ 3 비중격 수술심각한 손상 / 만성질병 : 없음예방접종 : B형간염, 3차 ...2023.04.22· 10페이지 -
[A+학점 보장]건강사정 ppt 26페이지
1 조 건강사정 및 실습 흉곽과 폐 [thoracic cage and lung ] 교과목 건강사정 및 실습 담당교수님 학과 간호학과 학번 / 이름 제출일자목차 CONTENTS 1 . 흉부 후면의 시진 , 촉진 , 타진 , 청진 2 . 흉부 전면의 시진 , 촉진 , 타진 , 청진 1 . 주관적 사정 1 . 기침 2 . 숨참 3 . 호흡시의 흉통 4 . 호흡기 감염력과 흡연력 5 . 환경 노출 6 . 환자 중심 간호 2 . 객 관적 사정 1 조 건강사정 및 실습▶ 간호사가 사정해야 할 주관적 자료 – 1 . 기침 1 . 주관적 사정 건...2023.08.24· 26페이지 -
해부학 학업계획서 5페이지
학업계획서교과목 정보교과목명해부학이수구분전공선택책임교수담당교수강의실학년-학기1 - 1학 점2시수(이론/실습)2( 2 / 0 )NCS 능력단위?대분류중분류소분류세분류(직무)능력단위능력단위코드학습모듈가보건/의료보건보건지원□유 / ■무연계교과목학기과목명수업시간?30시간1/2생리학1/2성인간호학관련면허및 자격증?간호사면허2/1모성간호학건강사정교 과 목개 요및특 징교과 개요]? 인력양성과의 연계성: 해부학 교과는 간호사 직무를 위한 필수적으로 필요한 지식을 배우는 과목임.? 교과목 설명: 해부학은 건강한 사람의 구조(생김새)를 공부하는 과목...2021.02.03· 5페이지 -
성인간호학 실습 폐렴 case study/ 간호진단 5개, 간호과정 3개/ A++++++++++ 20페이지
Pneumonia case study과목명성인간호학 실습교수명학과간호학과학년 / 반학번 / 이름제 출 일목 차Ⅰ. 서론----------------------------------------------1. 연구의 의의 및 필요성2. 문헌고찰Ⅱ. 본론 ---------------------------------------------1. 간호사정1) 일반적 사항2) 대상자의 건강력3) 건강사정4) 신체검진2. 진단검사3. 사용되는 약물4. 간호진단 5개5. 간호과정 3개Ⅲ. 결론 및 제언 --------------------------...2024.09.12· 20페이지 -
A+ 폐렴 케이스 26페이지
교과목명성인간호학 임상실습학과 / 학년 / 학반간호학과 4학년 G반담당 교수님제출일학 번이 름목차Ⅰ. 서론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2. 연구기간 및 방법 ---------------------- 1Ⅱ. 문헌고찰0. Anatomy ---------------------------- 11. 질병의 정의 및 원인 ------------------- 22. 질병의 병태생리 ----------------------- 33. 질병의 증상 -------------------------- 54. 진단검사 -...2025.02.23· 26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