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기회로설계실습] 설계 실습 7. RC회로의 시정수 측정회로 및 방법설계
본 내용은
"
[전기회로설계실습] 설계 실습 7. RC회로의 시정수 측정회로 및 방법설계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8.21
문서 내 토픽
-
1. RC회로의 시정수 측정본 실험은 간단한 RC회로에서 시정수를 측정하는 방법 및 과도응답을 익히는데 의의가 있다. DMM의 내부저항을 측정하기 위해 저항과 DMM을 직렬 연결하여 전압의 분배법칙을 통해 값을 구해냈다. RC회로의 시정수는 저항과 커패시터값의 곱으로 구할 수 있고, 충전될 때는 입력 전압의 저항에 걸리는 전압이 0.368배가 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고, 방전될 때는 입력 전압의 -0.368배가 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Function generator, 저항, 커패시터, Function generator 접지의 순서로 연결하고 저항의 양단에 오실로스코프의 단자를 연결시킨 후 파형을 측정해 보며 오실로스코프와 Function generator의 접지 단자가 연결 되어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Offset는 DC성분을 더하는 기능이다. 커패시터의 특성상 전압이 exponential 함수에 따라 변하여 DC성분으로는 커패시터에 걸리는 전압을 바꿀 수 없다. 하지만 저항에 걸리는 전압에는 DC성분을 더해줄 수 있으므로 그만큼의 파형이 y축방향으로 올라간다.
-
2. DMM의 내부저항 측정DMM의 내부저항을 측정하기 위해 저항과 DMM을 직렬 연결하여 전압의 분배법칙을 통해 값을 구해냈다. DMM의 내부저항의 오차율은 0.7%로 낮아 성공적인 실험이라고 판단된다.
-
3. RC회로의 시정수 측정RC회로의 시정수는 저항과 커패시터값의 곱으로 구할 수 있고, 충전될 때는 입력 전압의 저항에 걸리는 전압이 0.368배가 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고, 방전될 때는 입력 전압의 -0.368배가 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1.36%의 오차율로 성공적인 실험이 이루어졌다고 판단된다.
-
4. 오실로스코프와 Function Generator의 접지 연결Function generator(+), 저항, 커패시터, Function generator(접지)의 순서로 연결하고 저항의 양단에 오실로스코프의 단자를 연결시킨 후 파형을 측정해 보며 오실로스코프와 Function generator의 접지 단자가 연결 되어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
5. Offset 기능Offset는 DC성분을 더하는 기능이다. 커패시터의 특성상 전압이 exponential 함수에 따라 변하여 DC성분으로는 커패시터에 걸리는 전압을 바꿀 수 없다. 하지만 저항에 걸리는 전압에는 DC성분을 더해줄 수 있으므로 그만큼의 파형이 y축방향으로 올라간다.
-
6. 충전 및 방전 시간 부족 시 RC회로 파형충분한 충전과 방전 시간이 주어지지 않을 경우의 커패시터와 저항 전압 파형을 관측하여 입력전압, 커패시터 전압, 저항 전압 사이의 관계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었다.
-
7. 오차 분석전체적으로 오차율이 낮고 이론과 같은 실험 측정 결과가 나왔기에 본 실험은 성공적이라고 판단된다. 오차의 원인으로는 DC Power Supply 전압이 정확히 알 수 없고 DMM의 응답속도에 있어 조금의 딜레이가 존재하고 사람의 손으로 직접 시간을 측정하기에 정확한 전압이 되는 순간을 기록하는데 있어 오차가 발생했다고 판단된다.
-
8. RC회로 파형 관찰저항에 걸리는 전압파형이 거의 사각파형이 나오는 것을 알 수 있고, 커패시터에 걸리는 전압파형은 거의 삼각파형이 나오는 것을 알 수 있다. 커패시터에 걸리는 전압파형이 이와 같이 나오는 이유는 커패시터에 충정된 전압이 제대로 충전 또는 방전이 되지않아 이러한 파형이 관찰됨을 알 수 있다.
-
9. 실험 결과 요약본 실험을 통해 RC회로에서의 입력전압, 저항전압, 커패시터 전압 사이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었고, 커패시터가 갖는 특성과 시정수가 갖는 의미에 대해 알아볼 수 있었다. 더 나아가 Function Generator와 Oscilloscope와 같은 계측장비의 정확한 사용법을 익힐 수 있는 실험이다.
-
1. RC회로의 시정수 측정RC회로의 시정수 측정은 전자공학 실험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시정수는 RC회로의 과도응답 특성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이며, 이를 정확히 측정하는 것은 회로 설계와 분석에 필수적입니다. 실험을 통해 RC회로의 시정수를 측정하면 회로의 동작 특성을 이해하고 예측할 수 있습니다. 또한 측정 결과를 이론값과 비교하여 실험 오차를 분석하고 개선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전자공학 실험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2. DMM의 내부저항 측정DMM(Digital Multimeter)의 내부저항 측정은 전자공학 실험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DMM의 내부저항은 회로에 미치는 부하 효과를 결정하므로, 이를 정확히 측정하는 것은 회로 분석과 설계에 필수적입니다. 실험을 통해 DMM의 내부저항을 측정하면 회로의 동작 특성을 보다 정확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또한 측정 결과를 이론값과 비교하여 실험 오차를 분석하고 개선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전자공학 실험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3. RC회로의 시정수 측정RC회로의 시정수 측정은 전자공학 실험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시정수는 RC회로의 과도응답 특성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이며, 이를 정확히 측정하는 것은 회로 설계와 분석에 필수적입니다. 실험을 통해 RC회로의 시정수를 측정하면 회로의 동작 특성을 이해하고 예측할 수 있습니다. 또한 측정 결과를 이론값과 비교하여 실험 오차를 분석하고 개선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전자공학 실험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4. 오실로스코프와 Function Generator의 접지 연결오실로스코프와 Function Generator의 접지 연결은 전자공학 실험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이들 장비의 접지가 올바르게 연결되지 않으면 측정 결과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실험을 통해 접지 연결을 확인하고 문제가 있는 경우 이를 해결하는 것은 실험 결과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데 필수적입니다. 또한 접지 연결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전자공학 실험 장비의 동작 원리와 사용법을 보다 깊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
-
5. Offset 기능오실로스코프의 Offset 기능은 전자공학 실험에서 매우 유용한 기능입니다. Offset 기능을 사용하면 입력 신호의 DC 성분을 제거하고 AC 성분만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신호의 세부적인 특성을 보다 잘 관찰할 수 있습니다. 실험을 통해 Offset 기능의 사용법을 익히고 이를 적절히 활용하면 전자공학 실험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크게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Offset 기능의 원리와 활용 방법을 이해하면 전자공학 이론을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
6. 충전 및 방전 시간 부족 시 RC회로 파형RC회로의 충전 및 방전 시간이 부족한 경우 회로의 파형이 이상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는 RC회로의 과도응답 특성과 관련이 있으며, 실험을 통해 이를 관찰하고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실험 결과를 이론과 비교하여 분석하면 RC회로의 동작 원리를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를 통해 실험 오차를 분석하고 개선할 수 있어 전자공학 실험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7. 오차 분석전자공학 실험에서 오차 분석은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실험 결과와 이론값 사이의 차이를 분석하고 그 원인을 찾는 것은 실험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데 필수적입니다. 오차 분석을 통해 실험 과정에서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개선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실험 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오차 분석 과정에서 전자공학 이론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자공학 실험에서 오차 분석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8. RC회로 파형 관찰RC회로의 파형 관찰은 전자공학 실험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RC회로의 과도응답 특성을 이해하고 분석하기 위해서는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의 파형을 정확히 관찰하고 측정할 수 있어야 합니다. 실험을 통해 RC회로의 파형을 관찰하고 이를 이론값과 비교하면 회로의 동작 원리를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또한 파형 관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분석하고 개선하는 것은 실험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데 필수적입니다.
-
9. 실험 결과 요약전자공학 실험에서 실험 결과를 체계적으로 요약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실험 과정과 결과를 정리하고 분석하는 것은 실험의 목적을 달성하고 실험 기술을 향상시키는 데 필수적입니다. 실험 결과 요약을 통해 실험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향후 실험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실험 결과 요약 과정에서 전자공학 이론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자공학 실험에서 실험 결과 요약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중앙대학교 전기회로설계실습 설계실습 7. RC회로의 시정수 측정회로 및 방법설계1. DMM의 내부저항 측정 DMM의 내부저항을 측정하여 10.05의 값을 얻었다. DMM으로 큰 저항의 전압을 측정하는 것에 유의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2. RC회로의 시정수 측정 타이머를 이용하여 RC회로의 시정수를 측정하였는데 오차가 -5.68%이었다. DMM의 응답속도와 사람의 반응속도 때문에 큰 오차가 발생하였다. 이후 오실로스코프를 이용하여 ...2025.05.15 · 공학/기술
-
중앙대학교 전기회로설계실습 7. RC회로의 시정수 측정회로 및 방법 설계(예비) A+1. DMM의 내부저항 측정 DMM의 내부저항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계하여 제출하라. 1) DMM의 측정단위를 Ω으로 맞춘다. 2) DMM의 측정치를 10 Ω보다 크게 맞추고, 임의의 수십[MΩ] 정도의 저항의 저항값을 측정한다. 3) DMM의 측정단위를 Vdc로 바꾼다. 4) DC Power Supply 와 임의의 저항, DMM을 연결한다. 5) DMM에서...2025.01.27 · 공학/기술
-
중앙대학교 전기회로 설계실습 결과보고서 7. RC회로의 시정수 측정회로 및 방법설계1. RC 회로 이번 실험에서는 저항과 커패시터로 구성된 RC 회로의 time constant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오실로스코프에 나타나는 파형을 통해 커패시터와 time constant의 기능과 동작 원리, 의미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DMM의 내부 저항과 커패시터를 활용하여 RC time constant를 측정하고, 이론값과 비교하여 ...2025.04.29 · 공학/기술
-
[중앙대학교 전기회로설계실습] A+ 예비보고서 7. RC회로의 시정수 측정회로 및 방법 설계1. 오실로스코프 연결 Function generator, 저항, 커패시터를 순서대로 연결하고 저항의 양단에 오실로스코프의 단자를 연결하면, 전류가 CH1의 접지단자로 흘러들어가서 커패시터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됩니다. 따라서 저항의 파형은 Function generator와 동일하게 나오지만 커패시터의 파형은 나타나지 않을 것입니다. 1. 오실로스코프 ...2025.05.03 · 공학/기술
-
[A+] 중앙대학교 전기회로 설계실습 예비보고서 7. RC 회로의 시정수 측정회로 및 방법설계1. DMM 내부 저항 측정 DMM의 내부 저항을 측정하기 위한 회로도를 제시하였다. DMM을 DCV 측정 모드로 변경하고 저항 R, Power Supply와 직렬로 연결한 후 Power Supply에서 전압 V를 출력시키고 DMM으로 측정된 값 V'을 이용하여 DMM의 내부 저항 R_DMM을 구할 수 있다. 2. RC time constant 측정 DMM...2025.04.29 · 공학/기술
-
[중앙대학교 전기회로설계실습] A+ 결과보고서 7. RC회로의 시정수 측정회로 및 방법 설계1. RC 회로 이 보고서는 RC 회로의 시정수 측정 회로와 방법을 설계하는 내용입니다. RC 회로는 저항과 커패시터로 구성된 회로로, 시정수는 RC 회로의 중요한 특성 중 하나입니다. 시정수는 RC 회로에서 전압이 63.2% 변화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나타냅니다. 이 보고서에서는 커패시터의 충전 및 방전 과정을 통해 RC 회로의 시정수를 측정하는 방법을 ...2025.05.03 · 공학/기술
-
[A+]설계실습 7. RC회로의 시정수 측정회로 및 방법설계 결과보고서 중앙대 전기회로설계실습 5페이지
설계실습 7. RC회로의 시정수 측정회로 및 방법설계요약: RC회로의 시정수를 측정하고 과도 응답을 확인한다.1. 설계실습 결과 및 분석4.1 DMM의 Input Impedance 측정DC Power Supply로 5V를 22M ohm 저항과 DMM이 직렬 연결된 회로에 인가한다. 회로도는 다음과 같다.DMM으로 전압을 측정한 결과 1.537V가 나왔다. 전압 분배 법칙을 이용하여 DMM의 input impedance를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다.실험에서 사용하는 DMM의 입력 임피던스는 10M ohm이므로 실험 결과와 일치한다. 오차...2021.09.12· 5페이지 -
중앙대학교 전기회로설계실습 설계실습 7. RC회로의 시정수 측정회로 및 방법 설계 A+ 결과보고서 6페이지
설계실습 7. RC회로의 시정수 측정회로 및 방법 설계결과보고서요약 : RC time constant를 ‘을 통해 이론적으로, 그리고 DMM을 통해 시계측정으로오실로스코프의 커서를 이용하여 구하였다. 시계를 측정한 결과 오차율은 한 자리수로 비교적작았다. 하지만 오실로스코프를 이용했을땐 40%의 큰 오차율의 경향성을 보였다. 기기의 출력값을 읽는 어려움, 혹은 사람의 반응속도에는 한계가 존재하기 때문에 오차가 발생한 것으로생각한다. 이 외에도 주기를 변경하며 전압파형을 분석한 결과 커패시터가 충∙방전할 때 정도의 충분...2022.09.15· 6페이지 -
[A+] 전기회로설계실습 예비보고서 7. RC회로의 시정수 측정회로 및 방법설계 5페이지
설계실습 7. RC회로의 시정수 측정회로 및 방법설계1. 목적주어진 시정수를 갖는 RC회로를 설계하고 이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계한다.2. 실습 준비물* 기본 장비 및 선Function generator: 1 대DC Power Supply(Regulated DC Power supply(Max 20 V 이상): 1대Digital Oscillo오실로스코프(Probe 2 개 포함): 1 대Digital Multimeter(이하 DMM, 220V 교류전원 사용): 1 대40 cm 연결선: 빨간 선 4개, 검은 선 4개(한쪽은 계측기에 꼽을 ...2022.01.10· 5페이지 -
[A+] 전기회로설계실습 결과보고서 7. RC회로의 시정수 측정회로 및 방법설계 5페이지
설계실습 7. RC회로의 시정수 측정회로 및 방법설계제출날짜 : 2021.11.14*코로나로 인한 대면수업 불가로 실험조교의 강의영상을 참조함요약이번 실험을 통해 RC회로의 시정수(time constant)를 측정하는 회로를 직접 설계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FG의 출력과 저항의 전압파형을 오실로스코프의 화면에 출력해보았다. 큰 저항의 전압을 측정할 때의 주의사항을 알게 되었다. 또한, 4.2와 4.3에서 비교적 큰 오차율이 나왔는데, 이는 측정방법의 한계와 1회 측정의 한계점이 기여했다고 생각한다. 오실로스코프로 파형을 출력할 경...2022.01.10· 5페이지 -
중앙대학교 전기회로설계실습 결과보고서 실습 7. RC회로의 시정수 측정회로 및 방법설계 7페이지
실험실습 7. RC회로의 시정수 측정회로 및 방법설계20XXXXXX전자전기공학부XXX(제출기한 : 2019. 11. 06)1. 요약주어진 시정수를 갖는 RC회로를 설계하고 이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계한다. DMM의 내부저항과 2.2[mu F] 커패시터로 이루어진 RC 직렬회로에서 RC Time Constant는 23.948[sec] (오차율 : 8.17%)로 측정되었고 9.410[nF] 커패시터와 1.007[kΩ]으로 설정된 가변저항으로 이루어진 RC 직렬회로에서는 9.400[ mu s], 9.600[ mu s](약 1%)로 측정되었...2020.09.04· 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