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엑세스의 색인과 특징 - 디지털 자료검색을 중심으로
본 내용은
"
정보검색론_A+<오픈엑세스의 특징 및 색인비교> 문헌정보 문정과 전필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1.25
문서 내 토픽
  • 1.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은 국내에서 발간된 모든 자료의 납본, 국가서지의 발간, 국내 도서관의 지도와 지원, 국제표준자료번호부여, 도서관정보협력망 등 국가도서관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디지털화를 통해 고서, 고지도, 교과서, 희귀본, 한글판 딱지본 소설, 한국경제정책자료 등 다양한 디지털 컬렉션을 구축하여 제공하고 있다.
  • 2. 국회도서관
    국회도서관은 국회의 입법 활동을 지원하는 의회도서관으로, 국내외 주요 자료를 수집하여 제공하고 있다. 색인어의 일치도가 낮아 용어선정의 정확성과 일관성 향상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3. 국가전자도서관
    국가전자도서관은 국내 주요 도서관들을 연계하여 디지털 콘텐츠를 공동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국립중앙도서관을 중심으로 운영되며, 다양한 기관의 정보자원을 통합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 4. RISS
    RISS(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는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이 운영하는 학술정보 포털로, 학위논문, 학술지논문, 연구보고서 등 다양한 학술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해외 학술DB 무료 이용, 맞춤 추천 논문 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다.
  • 5. 디비피아(DBpia)
    디비피아는 국내 대표적인 논문 검색 사이트로, 전자책, 전자저널, 웹DB, 참고자료 등 다양한 학술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맞춤 추천 논문, 서지관리 서비스 등을 통해 이용자 편의성을 높이고 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은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국가도서관으로, 국내 최대 규모의 장서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 도서관은 국가 문헌정보 수집과 보존, 국민의 지적 욕구 충족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특히 국내외 학술 및 연구 자료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국가 문화유산 보존에 힘쓰고 있습니다. 또한 디지털 도서관 구축을 통해 온라인 자료 이용 편의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국립중앙도서관은 국가 지식정보 허브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며, 국민의 지적 발전과 문화 향유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2. 국회도서관
    국회도서관은 대한민국 국회의 의정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국가도서관입니다. 이 도서관은 국회 의원과 직원들에게 필요한 정보와 자료를 제공하고, 국회 의정 활동에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회 회의록, 법률 자료, 정책 보고서 등 국회 관련 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 보존, 관리하고 있습니다. 국회도서관은 국회 의정 활동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국가 정책 결정 과정에 필요한 정보와 자료를 제공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 3. 국가전자도서관
    국가전자도서관은 국내외 다양한 기관의 디지털 자료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온라인 도서관 서비스입니다. 이 도서관은 국내외 학술 논문, 학위논문, 연구보고서, 정부 간행물 등 다양한 유형의 디지털 자료를 수집하고 있으며, 이용자들이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가전자도서관은 디지털 자료의 장기 보존과 공동 활용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국민들의 지식 정보 접근성을 높이고, 학술 연구 활동을 지원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 4. RISS
    RISS(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는 국내 대학 및 연구기관의 학술 정보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RISS는 국내 학술지 논문, 학위논문, 연구보고서 등 다양한 유형의 학술 자료를 검색하고 원문을 제공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