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위험물의 분류에 따른 저장 및 취급대책
본 내용은
"
각 위험물의 분류에 따른 저장 및 취급대책을 쓰시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8.18
문서 내 토픽
  • 1. 제1류 위험물의 저장 및 취급대책
    제1류 위험물의 종류는 염소산염류, 아염소산염류, 과염소산염류, 브롬산염류, 무기과산화물류, 질산염류, 삼산화크롬산, 요오드산염류, 과망간산염류, 중크롬산염류 등이 있다. 제1류 위험물의 대표적인 성질은 산화성 고체이며 이 물질들은 모두 산소를 포함하고 있는 무기화합물이라고 할 수 있다. 제1류 위험물은 가열, 충격, 마찰에 의해 분해가 이루어지고 가연물이 혼합될 경우 연소가 일어나고 폭발을 하는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제1류 위험물의 저장과 취급은 가열물, 직사광선과 불기운을 피하고 바람이 잘 통하는 찬 곳에 저장하고 용기는 반드시 밀폐 저장해야 한다. 또한 마찰, 타격, 충격 등 불이 붙을 수 있는 에너지를 차단하며 용기 가열, 파손, 전도를 방지해야 한다.
  • 2. 제2류 위험물의 저장 및 취급대책
    제2류 위험물의 종류는 황화인, 적인, 유황, 마그네슘, 철분, 금속분류 등으로 나누어지며 모두 가연성 고체로 낮은 온도에서도 착화가 일어날 수 있다. 제2류 위험물은 산소와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산화가 쉬워서 산화제와 접촉할 경우 충격, 마찰로 인해 폭발이 급격하게 이루어지는 가연성, 이연성 물질이다. 제2류 위험물의 경우 저장, 취급할 때에는 화기를 피하고 가열을 해서는 안 되며 불티 고온체와의 접촉을 피해야 한다. 그리고 산화제 제1류, 제6류 위험물질과 혼촉, 혼합을 피해야 하고 특히 철분, 금속분류, 마그네슘의 경우 저장 시 습기, 물, 산과의 접촉을 피해야 한다.
  • 3. 제3류 위험물의 저장 및 취급대책
    제3류 위험물의 경우 칼륨, 황인, 알킬알루미늄, 나트륨, 알칼리금속유 및 알칼리토금속유, 알킬리튬, 금속수소화합물류, 금속인화합물류, 유기금속화합물류, 칼륨, 알루미늄의 탄화물류 등으로 나누어지며 자연 발화성 물질 및 금수성 물질로 보통 온도에서는 고체 형태로 존재하고 접촉할 시 발열이 일어나고 가연성 가스를 발생시키며 급격히 발화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제3류 위험물의 경우 적은 양으로 나눠서 저장을 하고 저장용기가 파손, 부식되지 않고 공기와 접촉하지 않도록 완전히 밀폐해야 한다. 또한 물이나 수분이 침투하지 않도록 접촉을 금지해야 한다.
  • 4. 제4류 위험물의 저장 및 취급대책
    제4류 위험물은 제1석유류, 제2석유류, 제3석유류, 제4석유류, 특수인화물류, 알코올류, 동식물유류 등으로 분류된다. 제4류 위험물의 경우 대표적인 인화성 액체이며 대다수 유기화합물이다. 제4류 위험물의 경우 액체가 누설되거나 증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증기를 배출시킬 때는 가급적 높은 곳으로 하며 폭발이 일어나지 않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연소를 일어날 수 있게 하는 점화원, 화기로부터 멀리해야 하며 용기는 밀전하고 인화점 이상 가열이 일어나지 않도록 해야 한다.
  • 5. 제5류 위험물의 저장 및 취급대책
    제5류 위험물은 아세틸퍼옥사이드, 디이소프로필퍼옥시디카보네이트, 벤조일퍼옥사이드, 호박산포옥사이드 등의 유기과산화물류, 니트로글리세린, 니트로셀룰로오스, 니트로글리콜, 질산에틸 등의 질산에스테르류 등으로 나뉜다. 제5류 위험물을 저장, 취급할 때에는 분해를 촉진시키는 물질, 점화원을 멀리해야 하며 저장할 시 충격, 가열, 마찰을 피해야 한다. 또한 직사광선을 차단하고 습도에 주의해야 하며 바람이 잘 통하는 차가운 곳에 보관하도록 한다.
  • 6. 제6류 위험물의 저장 및 취급대책
    제6류 위험물의 경우 과산화수소, 과염소산, 황산, 질산 등에 해당하고 산화성 액체에 속한다. 제6류 위험물은 물과 접촉할 시 열이 발생하고 유기물질과 혼합될 경우 유기물질을 산화시키며 유독성 가스를 발생시킬 수도 있어서 금속, 옷 등을 부식시키기 때문에 저장, 취급, 사용 시 주의해야한다. 제6류 위험물을 보관, 저장할 때는 화기와의 접촉을 절대로 피해야 하며 직사광선을 차단하고 유기물질, 강환원제, 가연성 위험물, 물, 염기성 물질, 제1류 위험물과의 접촉을 피해야 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제1류 위험물의 저장 및 취급대책
    제1류 위험물은 폭발성 물질로 매우 위험한 물질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물질의 저장 및 취급 시 안전성이 가장 중요합니다. 저장 시에는 전용 창고에 보관하고, 취급 시에는 정전기 방지, 화기 엄금 등의 안전조치를 철저히 이행해야 합니다. 또한 관련 법규를 준수하고 전문 인력을 배치하여 사고 예방에 힘써야 합니다. 이를 통해 제1류 위험물의 안전한 관리가 가능할 것입니다.
  • 2. 제2류 위험물의 저장 및 취급대책
    제2류 위험물은 가연성 액체로 화재 위험이 높습니다. 따라서 저장 시 통풍이 잘되는 장소에 보관하고, 화기 및 발화원을 멀리해야 합니다. 취급 시에는 정전기 방지, 환기 등의 안전조치를 취해야 하며, 관련 법규를 준수해야 합니다. 또한 누출 사고에 대비하여 흡착제 등의 비상 장비를 갖추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제2류 위험물의 안전한 관리가 가능할 것입니다.
  • 3. 제3류 위험물의 저장 및 취급대책
    제3류 위험물은 인화성 고체로 화재 위험이 높습니다. 따라서 저장 시 통풍이 잘되는 장소에 보관하고, 화기 및 발화원을 멀리해야 합니다. 취급 시에는 정전기 방지, 환기 등의 안전조치를 취해야 하며, 관련 법규를 준수해야 합니다. 또한 누출 사고에 대비하여 흡착제 등의 비상 장비를 갖추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제3류 위험물의 안전한 관리가 가능할 것입니다.
  • 4. 제4류 위험물의 저장 및 취급대책
    제4류 위험물은 산화성 물질로 화재 및 폭발 위험이 높습니다. 따라서 저장 시 통풍이 잘되는 장소에 보관하고, 가연성 물질과 격리해야 합니다. 취급 시에는 정전기 방지, 환기 등의 안전조치를 취해야 하며, 관련 법규를 준수해야 합니다. 또한 누출 사고에 대비하여 흡착제 등의 비상 장비를 갖추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제4류 위험물의 안전한 관리가 가능할 것입니다.
  • 5. 제5류 위험물의 저장 및 취급대책
    제5류 위험물은 자연발화성 물질로 화재 위험이 매우 높습니다. 따라서 저장 시 통풍이 잘되는 장소에 보관하고, 가연성 물질과 격리해야 합니다. 취급 시에는 정전기 방지, 환기 등의 안전조치를 철저히 이행해야 하며, 관련 법규를 준수해야 합니다. 또한 누출 사고에 대비하여 흡착제 등의 비상 장비를 갖추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제5류 위험물의 안전한 관리가 가능할 것입니다.
  • 6. 제6류 위험물의 저장 및 취급대책
    제6류 위험물은 유독성 물질로 인체에 매우 유해합니다. 따라서 저장 시 전용 창고에 보관하고, 누출 방지 시설을 갖추어야 합니다. 취급 시에는 개인보호장비 착용, 환기 등의 안전조치를 철저히 이행해야 하며, 관련 법규를 준수해야 합니다. 또한 누출 사고에 대비하여 흡착제 등의 비상 장비를 갖추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제6류 위험물의 안전한 관리가 가능할 것입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