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명덕이 사례 - 등교 거부
본 내용은
"
다음의 사례를 보고 한가지를 선택합니다. 선택한 사례자가 자신을 찾아온 내담자라고 생각해 봅시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8.17
문서 내 토픽
-
1. 등교 거부명덕이는 18세 고2 학생으로 아무런 이유도 말하지 않고 학교에 가지 않고 집에 있는다. 어머니는 혼내고 달래보았지만 명덕의 태도는 완고했고 걱정되어 눈물이 난다고 한다. 상담자를 방문한 어머니는 눈이 붓고 초췌한 모습으로 아들의 생각을 알 수 없어 도움을 요청했다. 가정 형편은 어려워 아버지가 6년 전 사고로 반신불수가 되어 거동이 불편하고 명덕의 누나와 형은 대학생이다. 명덕이 상담에 왔지만 거의 말을 하지 않고 학교에 가지 않는 것이 조금 쉬고 싶어서라고 했다. 어머니는 명덕이 학교에 가지 않아 걱정되지만 아버지 간호와 집안일을 도와주어 편해졌다고 말했다.
-
1. 등교 거부등교 거부는 복잡한 문제로, 학생들의 개별적인 상황과 요구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일부 학생들은 학교 환경에 적응하기 어려워하거나 정신적 건강 문제를 겪고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학교와 가정이 협력하여 학생들의 필요를 파악하고 맞춤형 지원을 제공해야 합니다. 또한 학교 내 폭력이나 따돌림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등교 거부 문제에는 다양한 요인이 작용하므로, 개별 학생의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학생 중심의 해결책을 모색해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