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 오실로스코프와 함수발생기 결과보고서
본 내용은
"
[A+] 오실로스코프와 함수발생기 결과보고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8.16
문서 내 토픽
-
1. 오실로스코프오실로스코프의 스트로브 테스트 단자를 통해 자기 진단을 해 보라. 오실로스코프에서 프로브 셋팅을 한 후, 주파수 : 10 Hz , 전압 : 5V , 파형 : 구형파 를 설정하고 AUTOSET 버튼을 누른 결과로 몇 초 내에 위와 같은 10 Hz , 5V , 의 구형파가 디스플레이에 정상적으로 나타났다.
-
2. 함수발생기함수 발생기로 AC 1V, 3V, 5V (100Hz, 1KHz, 10KHz)의 전압을 발생시킨 후 오실로스코프로 함수발생기의 발생 전압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함수발생기에서 발생시킨 전기신호와 실제로 오실로스코프 상에서 측정되는 전기신호의 주파수, 전압, 주기의 값이 서로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
3. 전기신호 측정오실로스코프에서 발생시킨 전압의 값과 실제로 오실로스코프 상에서 측정되는 전압의 값이 서로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함수발생기에서 발생시킨 전기신호와 실제로 오실로스코프 상에서 측정되는 전기신호의 주파수, 전압, 주기의 값이 서로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
4. 오차 분석함수발생기와 오실로스코프를 연결하는 과정에 사용되는 프로브와 전선이 노후 되었거나 전기 신호 전달 과정에서 문제를 일으켰거나 전선이나 프로브 고유의 저항값 때문에 두 값 사이에서 오차가 발생하였다고 생각한다. 또는 오차가 발생한 원인으로, 함수발생기 자체의 오차가 발생했거나, 오실로스코프의 디스플레이를 판독하는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하였을 수도 있다.
-
5. 첨두치 측정오실로스코프에서 첨두치의 값이 5.44V로 측정되었다. 이렇게 첨두치의 값에 오차가 있는 이유를 분석해보자면, 파형에서 잠깐 튀어나온 부분(Bouncing)을 오실로스코프가 최대값과 최소값으로 인식하여 계산했기 때문에 발생한 오류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튀어나오는 부분(Bouncing)을 제외하고 계산하여야 더 정확한 첨두치를 측정할 수 있을 것이다.
-
6. 오실로스코프 사용법오실로스코프 화면에 나타나는 신호파형이 멈추지 않고 흔들리거나 움직일 때 당황하였는데, 이때 오실로스코프의 트리거 MODE를 Auto로 맞추고 TRIG LEVEL 조정손잡이로 트리거레벨을 조정해 신호파형이 멈출 때까지 좌우로 돌려줘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파형이 스코프 화면에 크게 나타나야 하는데, 이 파형이 화면을 차지하는 범위를 크게 하기 위해서는 VOLTS/DIV를 이용하여 파형의 크기를 적절하게 넓게 조절하여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
1. 오실로스코프오실로스코프는 전기 신호의 파형을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는 중요한 전자 계측 장비입니다. 오실로스코프를 통해 전압, 주파수, 위상 등 다양한 전기 신호의 특성을 분석할 수 있으며, 이는 전자 회로 설계, 디버깅, 고장 진단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오실로스코프는 아날로그 방식과 디지털 방식이 있으며, 각각의 장단점이 있습니다. 아날로그 오실로스코프는 실시간 파형 관찰에 유리하지만 저장 및 분석이 어려운 반면, 디지털 오실로스코프는 파형 저장 및 분석이 용이하지만 실시간 응답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용 목적에 따라 적절한 오실로스코프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함수발생기함수발생기는 다양한 형태의 전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중요한 전자 계측 장비입니다. 함수발생기를 통해 사인파, 구형파, 삼각파, 펄스 등 다양한 파형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는 전자 회로 설계, 테스트,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함수발생기는 아날로그 방식과 디지털 방식이 있으며, 각각의 장단점이 있습니다. 아날로그 함수발생기는 실시간 파형 생성에 유리하지만 정밀도가 떨어지는 반면, 디지털 함수발생기는 정밀도가 높지만 실시간 응답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용 목적에 따라 적절한 함수발생기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3. 전기신호 측정전기 신호 측정은 전자 회로 설계, 디버깅, 고장 진단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작업입니다. 오실로스코프, 멀티미터, 신호 분석기 등 다양한 전자 계측 장비를 활용하여 전압, 전류, 주파수, 위상 등 다양한 전기 신호의 특성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전기 신호 측정을 위해서는 측정 장비의 선택, 측정 방법, 측정 환경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측정 결과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오차 분석 및 보정 기법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전기 신호 측정은 전자 공학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기술이며, 이를 통해 전자 회로의 동작을 이해하고 개선할 수 있습니다.
-
4. 오차 분석오차 분석은 측정 결과의 정확성을 평가하고 개선하기 위한 중요한 기술입니다. 측정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오차 요인, 예를 들어 측정 장비의 정밀도, 측정 환경, 측정자의 숙련도 등을 분석하여 측정 결과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오차 분석에는 통계적 기법, 불확도 분석, 민감도 분석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됩니다. 이를 통해 측정 결과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고, 측정 과정의 개선 방향을 찾을 수 있습니다. 오차 분석은 과학 기술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기술이며, 실험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는 데 필수적입니다.
-
5. 첨두치 측정첨두치 측정은 전기 신호의 최대값을 측정하는 것으로, 전자 회로 설계, 고장 진단, 전력 시스템 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첨두치 측정은 오실로스코프, 디지털 멀티미터 등의 계측 장비를 통해 수행할 수 있으며, 측정 방법에 따라 정확도와 측정 범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오실로스코프를 이용한 첨두치 측정은 실시간 파형 관찰이 가능하지만 측정 범위가 제한적인 반면, 디지털 멀티미터를 이용한 첨두치 측정은 측정 범위가 넓지만 실시간 파형 관찰이 어렵습니다. 따라서 측정 목적과 환경에 따라 적절한 계측 장비와 측정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6. 오실로스코프 사용법오실로스코프는 전자 회로 분석, 디버깅, 고장 진단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필수적인 계측 장비입니다. 오실로스코프의 사용법을 숙지하는 것은 전자 공학 분야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오실로스코프의 주요 기능으로는 전압, 시간, 주파수 등의 측정, 트리거 설정, 파형 저장 및 분석 등이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오실로스코프의 각 기능과 설정 방법을 이해하고 숙련되어야 합니다. 또한 오실로스코프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측정 대상 회로의 특성, 측정 환경, 오차 요인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측정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오실로스코프 사용법 숙련은 전자 공학 분야에서 필수적인 기술이며, 이를 통해 전자 회로의 동작을 보다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
[서울시립대] A+ 전전설1 함수발생기 및 오실로스코프 사용법1 예비+결과 보고서 17페이지
가.실험의 목적1.Function generator (신호발생기)와 Oscilloscope 사용법 습득2.Function generator에서 각종 모양의 신호 발생3.Function generator의 출력저항과 부하저항의 관계 이해4.Oscilloscope의 Probe의 입력저항의 이해나.실험 이론1.Function Generator(함수발생기): Agilent 33220A - 위의 그림에서 각 번호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① 번: Graph 키를 눌러 출력 파형에 대한 정보를 그래프 모드로 볼 수 있다.② 번: 전원(on/of...2020.11.26· 17페이지 -
전기회로설계실습 결과보고서6 11페이지
전기회로설계실습 결과보고서실험요약실험실 벽면의 두 개의 소켓의 접지단자 사이의 전압을 측정한 결과 두 단자가 접지를 공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주파수가 DMM 측정값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해 주파수를 증가시키면서 DMM과 Oscilloscope의 전압 측정값을 비교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500kHz 부근에서 전압 측정값이 감소하기 시작하였고 700kHz 부근에서 DMM의 전압 측정값이 오실로스코프의 값의 50%가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DMM을 이용하여 AC+DC신호를 측정하고 이를 오실로스코프의 값과 비교하였다. 이...2023.09.07· 11페이지 -
4. 신호발생기 예비보고서 - [아날로그및디지털회로설계실습 A+ 인증] 10페이지
아날로그 및 디지털 회로 설계 실습-실습 4 예비보고서-신호발생기소속중앙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담당 교수님*** 교수님제출일2021.09.30(목)분반, 조**분반, *조학번2*******이름***1. 실습을 위한 이론적 배경:신호발생기는 일정한 주파수와 위상, 크기를 가진 주기 함수를 발생시키는 회로이며 주 목적은 주파수와 신호 크기를 안정적으로 왜곡 없이 발생하는 것이다.Positive feedback Op-amp 는 다음의 식을 만족할 때 발진하게 된다.Wien bridge 신호 발생기는 발진을 일으키기 위한 위의 두 조건을 만족...2022.09.18· 10페이지 -
차동증폭기 예비보고서 [인하대 전자공학실험1] 3페이지
7주차 차동증폭기 예비보고서01. 실험 제목차동 증폭기 실습02. 실험 목적차동 증폭기 회로를 구성하고 입력 신호에 따른 공통 모드와 차동 모드의 응답 특성을 이해한다.03. 실험 이론1. 차동 증폭기의 정의: 출력 신호가 2개의 입력 신호의 차에 비례하는 증폭기 회로를 말한다.두 개의 입력 단자와 한 개 또는 두 개의 출력 단자를 가지며 두 입력 신호의 차를 증폭시키기 때문에 ‘차동 증폭기’라고 부른다.2. 차동 증폭기의 구조1) 은 차동 증폭기의 기본적 구조를 나타낸다. 두 트랜지스터Q _{1} ,`Q _{2}가 이미터 결합 차...2022.02.20· 3페이지 -
전자회로실험 결과보고서 - OP Amp 특성 및 응용 회로 6페이지
12주차. OP Amp 특성 및 응용 회로결과보고서112 주차. 결과보고서과목전자회로실험학번이름소속분반/조제출일1. 실험 제목- OP Amp 특성 및 응용 회로2. 실험 목적- OP Amp 특성과 원리를 이해한다.- 비교기의 원리를 이해하고 응용한다.3. 실험 준비물- 오실로스코프(Oscilloscope)- 함수 발생기(Function generator)- 전원 공급기(Power supply)- 멀티미터(Multimeter)- 빵판(Bread board)- 저항(10k OMEGA, 20k OMEGA)- LM3244. 실험 결과 및 ...2020.12.16· 6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