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 간호와 영양 비판적 사고 퀴즈 풀이
본 내용은
"
A+ 간호와 영양 비판적 사고 퀴즈 풀이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8.15
문서 내 토픽
-
1. 하부위장관 장애 대상자를 위한 영양서00님은 만 18세의 대학교 1학년인 여대생으로 12년 전 제1형 당뇨병을 진단받았다. 서 씨는 인슐린 펌프를 휴대하고 있고, 표준 체중이며, 다른 중요 병력은 없고, 피로, 복통, 설사를 호소하여 캠퍼스 내의 보건실에 갔다. 피로, 복통, 설사는 1형 당뇨병의 주요 증상이며, 자율신경계의 이상으로 인해 위장장애가 생긴다. 식이요법과 운동, 약물요법이 병행되어야 하며, 무자극식이와 소량식 자주 섭취가 도움이 된다. 서00님의 경우 우유가 문제라고 결론을 내리고 모든 유제품을 제외시켰지만, 이로 인해 영양소 불균형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대체제 섭취가 필요하다. 또한 셀리악병 진단을 받아 글루텐 섭취를 줄이고 고칼로리, 고단백식이가 권장된다.
-
2. 당뇨병 대상자를 위한 영양김00님의 경우, 신장 177.8cm이고 진단 시 체중은 93kg였다. 김씨는 인슐린을 맞지 않기 위해서 체중 감량을 원하고 있다. 김씨의 체질량지수BMI는 29.42로 비만에 해당한다. 당뇨병 위험인자는 비만이며, 체중 감량은 당화혈색소 수치를 개선하고, 고밀도지질단백질 콜레스테롤을 높이며, TG를 감소시켜 죽상경화성 심혈관질환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체질량 지수를 24 아래로 유지해야 하며, 저열량 식이와 신체활동 증가가 도움이 된다. 김씨의 경우 뇌졸중과 심근경색의 병력이 있어 혈당관리가 더욱 중요하므로 인슐린 투여와 함께 운동, 식이요법이 병행되어야 한다.
-
1. 하부위장관 장애 대상자를 위한 영양하부위장관 장애 대상자의 경우 소화 및 흡수 기능이 저하되어 있기 때문에 영양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이들에게는 소화가 잘되고 흡수율이 높은 식단이 필요합니다. 섬유질, 지방, 단백질 등의 섭취량을 조절하고 수분 섭취를 충분히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개인의 증상과 상태에 따라 맞춤형 영양 관리가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설사가 있는 경우 지방 섭취를 줄이고 탄수화물 섭취를 늘리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영양 상태 개선을 위해 필요에 따라 영양 보충제 섭취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이처럼 하부위장관 장애 대상자의 영양 관리는 개인의 증상과 상태를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
2. 당뇨병 대상자를 위한 영양당뇨병 대상자의 경우 혈당 조절이 매우 중요하므로, 이를 위한 적절한 영양 관리가 필요합니다. 당뇨병 대상자에게는 탄수화물 섭취량 조절, 섬유질 섭취 증가, 지방 섭취 제한 등이 권장됩니다. 또한 규칙적인 식사 패턴 유지, 식사와 운동의 균형, 충분한 수분 섭취 등이 중요합니다. 개인의 혈당 수준, 합병증 유무, 활동량 등을 고려하여 맞춤형 식단을 구성해야 합니다. 필요에 따라 영양 보충제 섭취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당뇨병 대상자의 영양 관리는 혈당 조절을 위한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의료진과의 긴밀한 협력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