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스스터디 아동간호학 신생아 일과성 빠른호흡 및 고빌리루빈혈증
본 내용은
"
케이스스터디 아동간호학 신생아 일과성 빠른호흡 및 고빌리루빈혈증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8.14
문서 내 토픽
  • 1. 신생아 일과성 빠른 호흡
    신생아 일과성 빠른 호흡(transient tachypnea of newborn)은 출생 시 폐포 내에 있던 폐액의 제거와 흡수가 정상보다 늦어져 발생한다. 제왕절개술로 출생한 아기, 경산부의 아기, 분만 시 마취로 인한 과다 진정, 둔위분만, 저체중 출생아, 주산기 가사, 당뇨병 산모의 아기에서 나타날 수 있다. 국내에서는 호흡곤란 증후군보다 흔하며 주로 만삭이 가까운 신생아에서 발병되나, 미숙아에서도 나타난다. 신생아 일과성 빠른 호흡은 산소와 지지적인 간호를 통해 쉽게 조절되는 질환이다.
  • 2. 고빌리루빈혈증
    고빌리루빈혈증은 생후 1주 이내에 만삭아의 약 60%, 미숙아의 약 80%에서 관찰되는 흔한 질환으로 황달이 주증상이다. 신생아에서 황달이 많은 이유는 혈색소의 70%가 상대적으로 수명이 짧은 태아 헤모글로빈(Hb F)으로 구성되어 과다한 적혈구 파괴가 이루어지고, 또 신생아의 간에서 파괴된 적혈구의 산물인 빌리루빈을 제거하는 능력이 저하되어 있기 때문이다. 고빌리루빈혈증의 주된 치료는 광선요법이고, 용혈성 질환이 있는 경우 교환수혈을 고려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신생아 일과성 빠른 호흡
    신생아 일과성 빠른 호흡은 신생아기에 흔히 나타나는 현상으로, 대부분의 경우 특별한 치료 없이 자연스럽게 호전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신생아의 폐 발달이 완전하지 않아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증상이 심하지 않고 자연적으로 호전되지만, 심각한 경우에는 산소 공급 등의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의사의 정기적인 진찰을 통해 신생아의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고, 필요한 경우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부모들은 신생아의 호흡 상태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관찰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2. 고빌리루빈혈증
    고빌리루빈혈증은 신생아기에 흔히 발생하는 질환으로, 혈액 내 빌리루빈 수치가 높아져 피부와 눈이 노랗게 보이는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말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일시적이며 자연적으로 호전되지만, 심각한 경우에는 영구적인 뇌 손상을 초래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의사의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빌리루빈 수치를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경우 광선 치료나 약물 치료 등의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부모들은 신생아의 피부와 눈 색깔 변화에 주의를 기울이고, 이상 징후가 발견되면 즉시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