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성간호학 ] 경막외마취, 자궁수축양상, 태아심음 요약정리
본 내용은
"
[ 여성간호학 ] 경막외마취, 자궁수축양상, 태아심음 요약정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8.15
문서 내 토픽
  • 1. 경막외마취
    경막외마취(epidural anesthesia)는 활동기와 분만 2기의 통증관리를 위해 시도되며 질식분만과 제왕절개 분만 시 둘 다 사용될 수 있다. 경막외 공간에 국소 마취제 혹은 아편유사제와 혼합한 마취제를 주입하여 진통과 마취 효과를 나타낸다. 산부가 앉거나 측위로 누운 상태에서 요추 4~5번 사이의 경막외 공간에 약물을 투여한다. 간헐적 또는 지속적인 점적 펌프(continuous infusion pump)에 연결하여 지속적인 마취가 가능하다. 카테터는 자가통증조절기(PCA)에 연결하여 조절될 수도 있다. 천자부위나 주입량에 의해 분절마취가 가능하며 경부, 흉부, 상지의 수술에도 이용할 수 있다. 약제 및 천자침에 의한 척수손상이 적고 혈압강하 및 호흡억제의 정도도 가볍다.
  • 2. 자궁수축양상
    자궁수축은 불수의적을 태아와 태반을 자궁으로부터 밀어내는 주요한 힘이다. 자궁수축은 산부의 주관적인 표현, 복부 촉진, 태아 모니터를 이용하여 평가할 수 있다. 자궁수축은 서서히 증가하다가 절정에 달한 후 급격하게 감소한다. 자궁수축 강도의 질을 평가하면 약한 수축, 중정도 수축, 강한 수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빈도 또는 간격은 초기에는 20~30분 간격으로 시작되다가 점차 2~3분 간격으로 빈번해진다. 강도는 분만의 진행에 따라 증가하며, 기간은 처음에는 30초에서 경관이 완전 개대될 때는 60~90초까지 증가한다.
  • 3. 태아심음양상
    태아심박동수는 심음의 기본선, 심음의 변이성과 자궁수축으로 인한 스트레스 반응으로 나타나는 태아심박동수의 변화 등을 사정함으로써 평가할 수 있다. 기저 태아심박동수의 정상범위는 120~160회/분이다. 변이성은 없음, 최소, 중간, 과다로 분류되며 중간 정도의 가변성은 태아 자율신경계와 중추신경계가 잘 발달하여 산소공급상태도 양호함을 의미한다. 빈맥은 10분 혹은 그 이상동안 기저 태아심박동수가 160회/분 이상일 때를 말하며, 서맥은 기저 태아심박동수가 10분 이상 110회/분 이하일 때를 말한다. 태아심박동의 주기적, 일시적 변화에는 상승, 조기하강, 만기하강, 변이성 하강, 지연된 하강이 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경막외마취
    경막외마취는 산과 마취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기술입니다. 이 마취 방법은 산모와 태아에게 미치는 영향이 적고, 통증 조절이 효과적이며, 합병증 발생률이 낮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시술 시 주의가 필요하며, 숙련된 의료진의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경막외마취는 산모의 안전과 편안한 분만을 위해 지속적으로 발전되어야 할 중요한 기술이라고 생각합니다.
  • 2. 자궁수축양상
    자궁수축양상은 산모와 태아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 데 매우 중요한 지표입니다. 정상적인 자궁수축 패턴은 분만 과정에서 태아의 원활한 진행을 돕고, 산모의 통증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비정상적인 자궁수축 양상은 태아 곤란증이나 산모의 합병증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주기적인 모니터링과 적절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자궁수축양상에 대한 이해와 관찰은 안전한 분만을 위해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 3. 태아심음양상
    태아심음양상은 태아의 건강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정상적인 태아심음 패턴은 태아의 산소 공급과 심장 기능이 원활함을 나타내며, 이는 분만 과정에서 태아의 안녕을 보장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반면 비정상적인 태아심음 양상은 태아 곤란증이나 태아 위험을 시사할 수 있어, 신속한 대응과 적절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태아심음양상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모니터링은 산모와 태아의 건강을 지키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