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동간호학 실습 case study(케이스 스터디) _ 설사, 난원공 개존증, 동맥관 개존증, 심방중격결손
본 내용은
"
아동간호학 실습 case study(케이스 스터디) _ 설사, 난원공 개존증, 동맥관 개존증, 심방중격결손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8.14
문서 내 토픽
-
1. 설사설사는 변이 무르거나 물기가 많은 상태로 배설되는 것이다. 그러나 대변의 무른 정도는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어려워 보통 배변 횟수나 대변 무게로 설사 여부를 판단한다. 이에 배변 횟수가 하루 3회 이상이거나 대변 무게가 200g 이상인 경우를 설사로 정의하고 있다. 설사는 바이러스, 세균, 기생충, 음식, 약물, 의학적 상태에서의 치료, 면역결핍, 스트레스 시에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다. 경증 설사의 경우 대변의 횟수가 약간 증가하고 액체가 좀 더 있는 농도의 대변을 보며 중증도 설사의 경우 아동이 여러차례 묽거나 물이 섞인 대변을 본다. 외에도 식욕부진, 구역, 구토등이 동반되는 경우가 있다.
-
2. 난원공 개존증난원공 개존증은 태아 시기 탯줄을 통해 산소가 포함된 혈액이 산소 공급의 효율성을 위해 좌우 심방 사이에 뚫려있는 구멍을 통해 우심장에서 좌심장으로 흘러가는 데 이 구멍을 난원공이라 한다. 난원공 개존증은 출생 후 어떠한 원인으로 인해 이러한 난원공이 폐쇄되지 않고 개방된 질환을 의미한다. 난원공 개존증은 대부분 무증상이다. 다만 피로하거나 운동할 때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드물게 난원공을 통해 혈전이 우심방에서 좌심방으로 넘어가면 뇌졸중의 원인이 될수있으나 진찰 소견에서는 보통 이상 소견이 없다.
-
3. 동맥관 개존증동맥관 개존증은 태아에게는 태아 순환을 유지하기 위해 대동맥과 폐동맥 사이를 연결해주는 동맥관이라는 혈관이 있는데, 이는 출생 직후에 닫혀야 한다. 동맥관 개존증은 출생 후에도 동맥관이 정상적으로 닫히지 않고 지속적으로 열려 있는 경우를 말한다. 가벼운 경우에는 거의 무증상으로, 심잡음이 청취되어 발견되기도 한다. 동맥관 개존이 클 경우 영아기부터 심부전과 성장 지연을 동반할 수 있다.
-
4. 심방중격결손심방 중격 결손은 우심방과 좌심방 사이의 벽의 결손을 통해 혈류가 새는 기형을 의미한다. 동맥혈은 폐순환을 지나서 좌심방으로 돌아오는데, 그중 일부가 심방 중격 결손을 통해 우심방으로 유입되고 우심실을 거쳐서 다시 폐순환으로 들어간다. 그 결과 우심방과 우심실의 부담이 커지며 폐혈류량이 증가하게 된다. 운동 시 호흡곤란, 심방 부정맥, 피부 긴장도 저하, 심잡음, 잦은 상기도 감염, 청색증 등이 나타난다.
-
1. 설사설사는 매우 불편하고 건강에 해로운 증상입니다. 설사의 원인은 다양할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감염성 장염, 과민성 장증후군, 음식 알레르기 등이 있습니다. 설사가 지속되면 탈수, 전해질 불균형, 영양 결핍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설사 증상이 있다면 의사와 상담하여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설사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개인 위생 관리, 균형 잡힌 식단, 스트레스 관리 등의 노력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
2. 난원공 개존증난원공 개존증은 태아기에 존재하던 난원공이 출생 후에도 완전히 닫히지 않는 선천성 심장 질환입니다. 이로 인해 정상적인 혈액 순환이 이루어지지 않아 호흡 곤란, 피로감, 청색증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심각한 경우 폐동맥 고혈압, 뇌졸중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난원공 개존증은 약물 치료나 수술적 치료를 통해 관리할 수 있으며,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합니다. 또한 평소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하는 것도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
3. 동맥관 개존증동맥관 개존증은 태아기에 존재하던 동맥관이 출생 후에도 완전히 닫히지 않는 선천성 심장 질환입니다. 이로 인해 정상적인 혈액 순환이 이루어지지 않아 호흡 곤란, 심부전, 폐동맥 고혈압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심각한 경우 심장 기능 저하, 뇌출혈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동맥관 개존증은 약물 치료나 수술적 치료를 통해 관리할 수 있으며,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합니다. 또한 평소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하는 것도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
4. 심방중격결손심방중격결손은 심장의 심방 사이에 구멍이 생기는 선천성 심장 질환입니다. 이로 인해 정상적인 혈액 순환이 이루어지지 않아 호흡 곤란, 피로감, 심부전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심각한 경우 폐동맥 고혈압, 부정맥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심방중격결손은 약물 치료나 수술적 치료를 통해 관리할 수 있으며,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합니다. 또한 평소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하는 것도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