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점적 경쟁시장의 특성과 완전경쟁시장과의 비교
본 내용은
"
독점적 경쟁시장의 특성에 대하여 설명하고, 독점적 경쟁시장은 어떤 면에서 독점이나 완전경쟁시장과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8.13
문서 내 토픽
  • 1. 독점적 경쟁시장 특성
    독점기업은 완전경쟁기업과 같이 이윤극대화를 추구하고 한계수입과 한계비용이 일치하는 점에서 생산량을 결정하게 되는데 수요곡선과 만나는 점에서 가격을 결정하게 된다. 이는 독점가격이라 부른다. 이때의 독점가격은 한계비용보다 더 높은데 이는 상품 하나를 더 생산하는데 드는 비용보다 더 높은 가격에 물건을 팔 수 있다는 뜻으로 총비용은 평균비용과 생산량의 곱이기 때문에 독점이윤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독점이윤은 독점기업이 갖는 가격설정자로서의 지위로부터 발생된다. 장기적으로 새로운 기업 진입이 없어 장기에도 초과이윤을 얻을 수 있는 것이 독점기업이라면 독점적 경쟁기업은 유사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이 장기적으로 자유로이 진입할 수 있고 기존 기업의 퇴출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진입과 퇴출이 자유로워 독점기업과 다르게 독점적 경쟁기업은 장기적인 초과이윤을 얻을 수 없는 것이 특징이다.
  • 2. 완전경쟁시장 특성
    완전경쟁시장은 기업의 진입과 퇴출이 자유로운데 개별공급자의 공급곡선은 우상향할 수 있지만 완전경쟁시장 전체의 공급곡선은 달라지게 된다. 그래서 만약 가격이 평균비용보다 높아 조금이라도 이윤을 얻을 수 있다면 즉시 새로운 공급자가 진입하게 되는데 이 때 공급이 증가하면 가격은 하락하고 가격이 평균비용과 같아질 때까지 지속되게 된다. 한편 가격이 더욱 하락함에 따라 평균비용보다 더 낮아지게 되면 시장에서 퇴출하는 공급자가 생기는데 개별공급자 중 평균비용이 시장가격보다 더 높은 공급자가 시장에서 먼저 퇴출되는 것으로 공급자가 줄어들면 공급이 감소함에 따라 가격이 평균비용으로 수렴된다.
  • 3. 독점, 완전경쟁, 독점적 경쟁 시장의 단기 및 장기 균형
    완전경쟁시장에서의 단기균형은 공급곡선과 수요곡선이 교차하는 E점에서 달성되는데 개별 기업은 P?의 주어진 상황에서 Q?라는 매출량을 선택하게 된다. 완전경쟁시장에서 기업이 가격수용자였기 때문에 한계수익곡선(MR)이 수평선으로 그려졌다. 한 기업이 제품을 더 판매한다고 해서 가격에 영향을 줄 수 없는 까닭이다. 하지만 독점적 경쟁시장은 독점적 지위를 누리는 부분이 있어 가격을 조정하면 거래량 또한 조정이 이뤄진다. 그래서 MR 곡선이 우하향한다. 이윤 극대화 생산량( QE )의 결정이 MR과 MC가 같은 경우로 수요곡선과 만나는 지점에서 가격( PE )이 결정되고 균형점은 MR > 0 인 부분, 즉 수요의 가격탄력도 > 1 인 부분에 위치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독점적 경쟁시장 특성
    독점적 경쟁시장은 다수의 판매자와 다수의 구매자가 존재하는 시장 구조입니다. 이 시장에서는 제품의 차별화가 이루어지며, 각 기업은 자신만의 독특한 제품을 판매합니다. 가격 경쟁이 이루어지지만, 기업들은 제품 차별화를 통해 일정 수준의 가격 결정력을 가집니다. 진입장벽이 낮아 새로운 기업의 시장 진입이 비교적 자유로우며, 장기적으로는 초과이윤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독점적 경쟁시장은 현실 경제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관찰되는 시장 구조라고 할 수 있습니다.
  • 2. 완전경쟁시장 특성
    완전경쟁시장은 다수의 판매자와 다수의 구매자가 존재하며, 모든 기업은 동질적인 제품을 판매하는 시장 구조입니다. 이 시장에서는 개별 기업이 가격 결정력을 가지지 못하며, 시장 가격을 수용할 수밖에 없습니다. 진입장벽이 낮아 새로운 기업의 시장 진입이 자유롭고, 장기적으로는 초과이윤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완전경쟁시장은 이상적인 시장 구조로 간주되며, 실제 경제에서는 완전경쟁시장의 특성을 가지는 시장은 거의 존재하지 않습니다. 다만 농산물 시장과 같이 일부 시장에서 완전경쟁시장에 가까운 특성을 보이기도 합니다.
  • 3. 독점, 완전경쟁, 독점적 경쟁 시장의 단기 및 장기 균형
    독점, 완전경쟁, 독점적 경쟁 시장의 단기 및 장기 균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기 균형: - 독점시장: 한계수입과 한계비용이 일치하는 지점에서 균형이 달성되며, 이 때 가격은 한계비용보다 높고 생산량은 완전경쟁 수준보다 적습니다. - 완전경쟁시장: 시장가격이 개별 기업의 한계비용과 일치하는 지점에서 균형이 달성됩니다. - 독점적 경쟁시장: 각 기업의 한계수입과 한계비용이 일치하는 지점에서 균형이 달성되며, 가격은 한계비용보다 높습니다. 장기 균형: - 독점시장: 장기적으로 초과이윤이 발생하므로 새로운 기업의 진입이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 완전경쟁시장: 장기적으로 정상이윤만 발생하므로 새로운 기업의 진입과 기존 기업의 퇴출이 반복됩니다. - 독점적 경쟁시장: 장기적으로 정상이윤만 발생하므로 새로운 기업의 진입과 기존 기업의 퇴출이 반복됩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