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 케어 보고서
본 내용은
"
신생아 케어 보고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8.13
문서 내 토픽
  • 1. 신생아 목욕 관리
    신생아 목욕은 1일 1회 5분에서 10분 정도가 적당하며 일정한 시간과 보온 유지가 중요하다. 목욕 순서는 ① 아기 옷을 벗긴 뒤 머리 부분만 뺴고 몸통 전체를 목욕 수건으로 감싼 후에 옆구리에 끼우듯 안는다. ② 아기를 안은 손의 첫째 셋째 손가락으로 물이 들어가지 않게 아기의 양 귀를 감싼다. ③ 얼굴의 눈부터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닦으며 눈, 코, 입, 귀, 목 등을 닦아주며 비누 사용을 금한다. ④ 얼굴을 닦은 후 머리를 감는다. 이제부터는 아기 전용 비누를 사용해도 된다. 한손으로 아기 앞쪽 가슴과 복부를 지탱하고 등, 엉덩이, 다리, 생식기 차례로 닦아준다. ⑤ 아기의 목과 등을 손과 팔로 지지하고 팔, 가슴, 배 순서로 닦아준다. ⑥ 목욕이 끝난 후 큰 수건으로 감싸서 눕혀 물기가 남지 않도록 닦은 후 오일, 로션을 바른다.
  • 2. 배꼽 관리
    배꼽은 7-10일 이내로 자연적으로 떨어지지만 아기에 따라 개인차가 있다. 배꼽 소독은 ① 배꼽의 물기를 완전히 제거하고 깨끗한 솜에 알코올을 묻혀 배꼽 중심에서 바깥쪽으로 소독한다. 목욕 후 1일 2~3회 소독한다. ② 배꼽은 공기에 노출시켜 주는 것이 좋으므로 기저귀를 배꼽 위까지 채우지 않는다. ③ 배꼽이 떨어진 후 안쪽이 잘 마를 때까지 소독을 계속해 준다. 배꼽에서 짓물과 피가 나고 제대 주위의 피부가 붉고 냄새가 날 때에는 병원을 방문한다.
  • 3. 모유수유
    모유는 아기에게 필요한 영양 공급원으로 분만 후 첫 3~4일 동안 나오는 초유는 걸쭉하고 노란색과 오렌지 색의 중간정도의 색을 띈다. 이후 점차 옅어지고 우유 빛으로 변한다. 모유 보관 및 해동 방법은 ① 온도가 다른 모유는 섞지 않는다. ② 아기가 한번에 먹는 양만큼 담아 냉동 보관한다. ③ 55도 미만에서 중탕하여 해동한다. ④ 전자레인지는 성분이 파괴되므로 55도 미만으로 서서히 녹이는 중탕을 이용한다. ⑤ 아기에게 먹이고 남은 모유는 버린다. 성공적인 모유수유를 위해서는 ① 유방에서 젖이 잘 흘러 나온다. ② 자궁이 수축하여 아랫배가 뭉치는 느낌이 든다. ③ 아기가 꿀꺽꿀꺽 삼키는 소리가 난다. ④ 수유 후에는 다시 잠이 든다. ⑤ 하루 동안 소변 5~6번, 대변 2~5번 이상 본다.
  • 4. 분유수유
    분유 수유 방법은 ① 기도 흡인이 되지 않도록 아기 상체를 약간 세운 상태로 안고 안쪽 팔로 아기의 머리를 받쳐준다. ② 아기가 입을 벌렸을 때 아기의 혀 위에 젖꼭지가 올라가도록 넣어준다. ③ 아기가 바닥에 바로 누운 자세에서는 사례가 잘 걸리고 질식의 위험, 중이염의 위험이 있으므로 수유를 하지 않는다. ④ 수유가 끝나고 바로 눕히면 위의 압력이 높아져 구토를 유발하므로 트림을 시킨 후 30분~1시간 정도 고개를 오른쪽으로 돌려 눕혀준다.
  • 5. 구토 및 역류
    구토를 하다가 기도로 넘어가면 청색증이 오거나 창백해질 수 있으며 울지 않을 경우 발바닥을 떄려 울리거나 머리를 아래로 하고 등을 두들겨 아기를 울린 뒤 호흡을 관찰한다. 이상 소견으로는 ① 분수처럼 왈칵 토하는 증상 ② 계속적인 구토 ③ 토물에 황록색 담즙이 섞인 경우 ④ 안색이 창백하여 체중이 감소하는 경우가 있다.
  • 6. 신생아 황달
    신생아 황달은 생후 2~3일 경우에 발현하여 7~10일부터 없어지기 시작한다. 주로 얼굴부터 시작해 아래로 진행하며 환한 곳에서 피부를 눌렀다 떼어보고 노란색을 띄면 황달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증상이 배까지 나타날 경우 병원에 방문한다. 치료를 위해서 광선치료를 하며 심한 경우에는 교환수혈을 한다. 만약 광선치료가 지연된 경우 핵황달이 발생하면서 뇌손상, 지능장애, 뇌성마비를 유발할 수 있다.
  • 7. 체온조절
    정상 체온은 36.5도~37.5도로 아기가 보채면 체온이 상승할 수 있으므로 안정상태에서 측정해야한다. 체온이 37도 이상인 경우 열이 있다고 본다. 만약 열이 지속되거나 보채거나, 수유 후 구토, 축 늘어짐, 경기를 보일 경우 병원을 방문한다. 열이 있을 때는 ① 실내가 덥지 않은지 확인한다. ② 옷을 너무 많이 입혔는지 살펴본다. ③ 30~1시간 간격으로 열을 측정한다. ④ 따뜻한 물수건으로 몸을 닦아준다. ⑤ 미지근한 물에 목욕을 시켜준다.
  • 8. 대소변 관찰
    아기는 출생한 후 첫 소변을 24시간 이내에 배변은 하루나 이틀정도 짙은 녹색의 끈적끈적한 태변을 본다. 3일째부터 2주까지는 약간 묽고 점액성이며 녹색에서 황갈색의 이행변을 본다. 모유를 먹는 아기는 분유를 먹는 아기에 비해 정상적으로 더 묽은 변을 보며 색깔은 황색, 녹색변을 볼 수 있다.
  • 9. 선천성대사 이상검사
    선천성대사 이상검사는 태어났을 때부터 체내에서 아미노산, 지방 등 필수 영양소를 분해하는 효소의 결함 및 결핍으로 발생하는 질환을 선별하는 검사이다. 국가에서는 페닐케톤뇨증, 갑상선기능저하증, 호모시스틴뇨증, 단풍당뇨증, 갈락토스혈증, 선천성 부산과형성증의 6종 검사를 무료로 시행한다.
  • 10. 예방접종
    예방접종은 질병에 대한 저향력이 거의 없는 아기에게 저항력을 길러주어 전염병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B형 간염은 생후 1주 이내에 오른쪽 대퇴부위에 1차 접종을 하며 2차, 3차까지 접종을 한다. 결핵을 예방하기 위한 BCG는 생후 4주 이내에 수행한다. 주의사항으로는 ① 접종 당일 과도한 활동, 외출 삼가한다. ② 접종 당일 목욕은 피하며 다음날은 이상이 없으면 목욕을 해도 괜찮다. ③ 접종부위는 청결하게 보존한다. ④ 예방접종 후 미열, 고열, 경련 등이 나타났을 경우 병원에 방문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신생아 목욕 관리
    신생아 목욕 관리는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신생아의 피부는 매우 민감하므로 적절한 온도와 시간, 그리고 부드러운 동작으로 목욕을 해주어야 합니다. 또한 목욕 후에는 피부를 부드럽게 건조시키고 보습제를 사용하여 피부 건강을 유지해야 합니다. 신생아 목욕 시 주의사항을 잘 숙지하고 실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배꼽 관리
    신생아의 배꼽 관리는 감염 예방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배꼽 관리 시 청결한 환경에서 소독제를 사용하여 배꼽 주변을 깨끗이 관리해야 합니다. 또한 배꼽이 아물 때까지 배꼽 주변을 건조하게 유지하고 옷이나 기저귀가 배꼽을 자극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배꼽 관리를 소홀히 하면 감염의 위험이 있으므로 주기적인 관찰과 관리가 필요합니다.
  • 3. 모유수유
    모유수유는 신생아에게 가장 이상적인 영양 공급 방법입니다. 모유에는 신생아에게 필요한 영양분과 면역 물질이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어 신생아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에 도움을 줍니다. 또한 모유수유는 모자 간의 유대감을 형성하고 정서적 안정을 제공합니다. 하지만 모유수유에는 어려움이 따르므로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적절한 방법으로 수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4. 분유수유
    모유수유가 어려운 경우 분유수유는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분유는 신생아에게 필요한 영양분을 제공할 수 있지만 모유에 비해 면역 물질이 부족하므로 감염 위험이 높습니다. 또한 분유 준비 과정에서 위생 관리가 중요하며, 적절한 양과 농도로 섭취하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분유수유 시에는 모자 간의 유대감 형성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을 고려해야 합니다.
  • 5. 구토 및 역류
    신생아의 구토와 역류는 매우 흔한 증상이지만 심각한 경우에는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구토와 역류는 신생아의 건강과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원인을 파악하고 대처 방법을 숙지해야 합니다. 구토와 역류가 지속되거나 심각한 증상이 나타나면 의사와 상담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6. 신생아 황달
    신생아 황달은 매우 흔한 증상이지만 적절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황달은 신생아의 간 기능이 완전히 발달하지 않아 발생하는 것으로, 대부분 자연적으로 호전됩니다. 하지만 심각한 경우에는 영구적인 뇌 손상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기적인 검사와 관리가 필요합니다. 신생아 황달 발생 시 의사와 상담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7. 체온조절
    신생아의 체온 관리는 매우 중요합니다. 신생아는 체온 조절 능력이 미숙하므로 과도한 냉·난방은 피해야 합니다. 신생아의 체온은 정상 범위 내에서 유지되어야 하며, 체온이 높거나 낮을 경우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신생아의 체온 변화에 주의를 기울이고 필요 시 의사와 상담하여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8. 대소변 관찰
    신생아의 대소변 관찰은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지표입니다. 신생아의 대소변 양상, 색깔, 냄새 등을 주기적으로 관찰하여 이상 징후를 파악해야 합니다. 대소변 관찰을 통해 수분 섭취량, 배변 습관, 소화 기능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필요 시 의사와 상담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 9. 선천성대사 이상검사
    선천성대사 이상검사는 신생아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이 검사를 통해 선천성 대사 질환을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선천성 대사 질환은 조기 발견과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신생아 선별 검사를 반드시 받아야 합니다.
  • 10. 예방접종
    신생아의 예방접종은 감염병 예방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예방접종을 통해 신생아를 각종 감염병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이는 신생아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에 필수적입니다. 예방접종 일정을 준수하고 접종 후 부작용 여부를 관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가족과 주변 사람들의 예방접종 상태도 확인하여 신생아를 보호해야 합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