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본간호학 실습 보고서(참고용) / 소독과 멸균, 무균술의 적용
본 내용은
"
기본간호학 실습 보고서(참고용) / 소독과 멸균, 무균술의 적용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8.13
문서 내 토픽
-
1. 의료물품 멸균 방법실습 보고서에서는 의료물품 멸균 방법으로 Autoclave, E.O gas, Radiation 등 3가지 방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Autoclave는 고온 수증기를 이용하여 미생물과 포자를 제거하는 방법이며, E.O gas는 화학적으로 박테리아를 파괴하는 방법, Radiation은 자외선을 이용하여 살균하는 방법입니다. 각 방법의 특징과 적용 대상 기구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
2. 의료물품 포장(Autoclave)Autoclave로 멸균할 물품을 포장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포장지나 수술포를 마름모 모양으로 펴고 물품을 중앙에 두고 접어서 포장하며, 인디케이터를 부착하고 물품명, 멸균 날짜, 이름을 기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
3. 멸균된 의료물품 포장 개봉멸균된 물품을 개봉할 때는 몸에서 먼 쪽으로 향하게 개봉하고, 한 손으로 물품을 잡고 나머지 한 손으로 포장을 벗기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특히 E.O gas로 멸균된 물품은 윗부분을 일부 개방하고 롱 포셉으로 꺼내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
4. 개방형 장갑 착용개방형 장갑 착용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오른손으로 왼손 장갑의 커프 안쪽을 잡아 왼손에 씌운 후 오른손 장갑을 착용하는 순서로 진행합니다.
-
5. 폐쇄형 장갑 착용폐쇄형 장갑 착용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수술용 모자와 마스크 착용, 외과적 손 씻기, 수건으로 물기 제거, 수술 가운 착용 등의 단계를 거쳐 장갑을 착용하는 과정을 상세히 기술하고 있습니다.
-
6. 실습을 통해 알게 된 점실습을 통해 멸균과 무균술에 대한 중요성을 깨달았고, 내과적 무균술과 외과적 무균술의 차이점을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특히 외과적 손 씻기 방법의 세부적인 주의사항들을 학습하였고, 무의식적인 행동이 오염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수술 가운 착용과 폐쇄형 장갑 착용 과정의 복잡성을 경험하였습니다.
-
1. 의료물품 멸균 방법의료물품의 멸균은 환자의 안전과 직결되는 매우 중요한 과정입니다. 멸균 방법에는 고압증기멸균법, 건열멸균법, 화학멸균법 등이 있으며, 각 방법마다 장단점이 있습니다. 고압증기멸균법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 높은 온도와 압력을 이용하여 미생물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습니다. 건열멸균법은 고온의 건조한 열을 이용하며, 화학멸균법은 화학 약품을 사용하여 멸균합니다. 의료기관에서는 멸균 대상 물품의 특성과 사용 목적에 따라 적절한 멸균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또한 멸균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철저한 관리와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
2. 의료물품 포장(Autoclave)의료물품의 포장은 멸균 과정에서 오염을 방지하고 멸균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Autoclave를 이용한 포장 방법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 멸균 처리된 물품을 적절한 포장재로 감싸 고압증기멸균기에서 멸균합니다. 이때 포장재는 멸균 과정에서 파손되지 않고 멸균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합니다. 또한 포장된 물품은 보관 및 운반 과정에서도 오염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의료기관에서는 포장 방법과 포장재 선택, 보관 및 운반 절차 등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멸균 물품의 안전성을 확보해야 합니다.
-
3. 멸균된 의료물품 포장 개봉멸균된 의료물품의 포장을 개봉할 때는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매우 주의해야 합니다. 포장이 손상되었거나 멸균 유효기간이 지난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포장을 개봉할 때는 무균 기법을 사용하여 멸균 상태를 유지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개봉 전 손 씻기, 멸균 장갑 착용, 작업대 소독 등의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또한 개봉한 물품은 즉시 사용하거나 재포장하여 보관해야 합니다. 멸균 물품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개봉 과정에서의 철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
4. 개방형 장갑 착용개방형 장갑은 멸균 처리된 의료물품을 다룰 때 주로 사용됩니다. 개방형 장갑은 손가락 부분이 개방되어 있어 촉감이 좋고 민첩성이 높아 정밀한 작업에 적합합니다. 하지만 개방형 장갑은 오염 위험이 높기 때문에 멸균 처리된 물품을 다룰 때만 사용해야 합니다. 개방형 장갑 착용 시에는 멸균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무균 기법을 철저히 준수해야 합니다. 장갑 착용 전 손 씻기, 장갑 표면 소독 등의 절차를 거쳐야 하며, 장갑이 오염되면 즉시 교체해야 합니다. 개방형 장갑 사용은 의료 현장에서 매우 중요한 감염 관리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5. 폐쇄형 장갑 착용폐쇄형 장갑은 멸균 처리된 의료물품을 다룰 때 주로 사용됩니다. 폐쇄형 장갑은 손가락 부분이 완전히 덮여 있어 오염 위험이 낮습니다. 따라서 멸균 처리된 물품을 다룰 때 폐쇄형 장갑을 착용하면 멸균 상태를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폐쇄형 장갑 착용 시에도 무균 기법을 준수해야 하며, 장갑이 오염되면 즉시 교체해야 합니다. 또한 장갑 착용 전후로 손 씻기, 장갑 표면 소독 등의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폐쇄형 장갑은 멸균 물품 취급 시 감염 예방을 위해 필수적인 개인보호장비라고 할 수 있습니다.
-
6. 실습을 통해 알게 된 점이번 실습을 통해 의료물품 멸균과 취급에 대한 중요성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멸균 과정에서의 오염 방지, 멸균 물품의 포장과 보관, 개봉 시 무균 기법 준수 등 세부적인 절차들이 환자 안전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또한 개방형 장갑과 폐쇄형 장갑의 특성과 사용 방법을 실습을 통해 직접 경험할 수 있었습니다. 이를 통해 의료 현장에서 감염 관리를 위한 개인보호장비의 중요성을 깨달았습니다. 이번 실습은 향후 의료 현장에서 환자 안전을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지에 대한 통찰을 제공해 주었습니다.
-
[여성간호학실습] [간호진단 8개, 간호과정 3개] 자궁근종 CASE STUDY (케이스 스터디) 22페이지
사례연구보고서 (Case study)자궁근종(Leiomyoma of uterus)Ⅰ.서론1. 간호사례 선정 이유2. 대상자 질환Ⅱ. 문헌고찰1. 해부, 병리, 생리2. 원인3. 증상4. 진단적 검사5. 치료 및 간호Ⅲ. 간호사례1. 간호력2. 신체검진3. 진단적 검사 및 기타자료, 투약4. 병의 경과5. 간호과정 적용Ⅳ. 결론1. 간호과정 적용 느낀 점2. 여성건강간호학 실습 소감Ⅴ. 참고문헌Ⅰ. 서론1. 간호사례 선정 이유실습이 시작된 8월 16일 오전 8시 30분에 시작하여 처음으로 관찰한 수술이 복강경 자궁근종절제술(Lapar...2023.02.28· 22페이지 -
성인간호학 수술실 사전학습보고서! 사진포함! 칭찬! (수술실 환경, 수술실 안전관리, 수술실 간호사의 역할 및 기능, 수술을 위한 대상자의 피부 준비, 수술체위 종류, 수술을 위한 기본 준비, 수술 기본장비, 수술기구, 전신마취 단계, 전신마취의 방법, 흡입마취제의 종류, 척수마취 간호, 국소마취의 종류, 회복실 간호, 문헌고찰) 25페이지
사전학습 보고서과목명:성인간호학 실습실습지: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담당교수:교수님학과:이름:제출일:1. 수술실 환경1물리적 설비(온도, 습도, 공기질)1.구역의 의미1.청소12. 수술실 안전관리1Time Out1.Spong/Gauze count2욕창예방2.화상예방23. 수술실 간호사의 역할 및 기능2소독간호사2순환간호사34. 수술을 위한 대상자의 피부 준비3Skin preperation3피부소독45. 수술체위 종류46. 수술을 위한 기본 준비67. 수술 기본장비88. 수술기구99. 봉합사와 봉합침의 종류1210. 수술과 마취로 인한...2025.01.31· 25페이지 -
성인간호학실습 수술실 사전학습 보고서(OR) 18페이지
사전학습보고서- OR -실습기관 :실습부서 :실습기간 :제출자 :담당교수 :1. 수술실 환경? 비제한 구역- 수술복, 마스크, 수술실 전용 실내화, 모자를 착용하여 들어가는 곳으로 각 방의 수술실과 수술실 방 복도, 손을 씻는 스크럽 지역 등이 있다.? 준제한 구역- 실내화를 마찬가지로 착용하지만 회복실, 장비창고, 수간호사실, 간호사 휴게실, 통제실 등이 있다.? 제한 구역- 비제한 구역은 일반복장으로 출입이 가능하며 환자의 대기공간, 수술실 내부의 회의실, 식당, 사무실 등이 있다.? 이행 구역- 탈의실1) 물리적 설비(온도, ...2023.10.01· 18페이지 -
A+ (기본간호학) 단순도뇨, 유치도뇨 목적, 적응증, 주의사항 레포트 11페이지
기본간호학 실습Ⅱ 보고서2020.04.04과 목 명기본간호학 실습Ⅱ학 과간호학과이 름학 번목 차1. 비뇨기계의 구조와 기능 ............................................................................ 32. 도뇨관의 종류 .......................................................................................... 43. 도뇨의 목적 ...........................................2022.04.08· 11페이지 -
[체온변화의 위험성 간호과정] 복강경 담낭절제술 후 대상자 간호진단 1개 (간호계획 간호수행 총 9개 포함) 8페이지
0년도 0학기ㅇㅇ간호학실습- 간호과정 사례 보고서 -간호진단: 수술 후 회복기 및 면역기능 저하와 관련된 체온변화의 위험성(복강경 담낭절제술 후 1일차 대상자의 체온변화 위험성)실습병원실습부서실습기간지도교수제출자제출일- 목 차 -1. 간호진단#1. 수술 후 회복기 및 면역기능 저하와 관련된 체온변화의 위험성2. 간호사정2-1. 주관적 자료 (Subjective Data)2-2. 객관적 자료 (Objective Data)3. 간호목표3-1. 단기목표3-2. 장기목표4. 간호계획4-1. 진단적 중재4-2. 치료적 중재4-3. 교육적 중...2025.06.20· 8페이지